View : 9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
dc.creator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8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81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operation practices of public preschool parent's associations and to clarify whethe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ir recognition of public preschool parents' associations and their roles, and among their recognition of the association roles depending on parents' background factors. For the purpos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are public preschool parent's associations operated? 2. What is the recognition of the parents of public preschool parents' associations ? 3. What is the recognition of the parents of the roles of the public preschool parents' associations ? 4. Is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recognition of the roles of the public preschool parents' associations, according to background factors (including school education, earnings and maternal employment sta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ed ninety-two public pre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and other public preschools. Referring to the questionnaires used in 'A Research on the Operation and Roles of Parents' Association', Kim Deok-hui, 1987 and in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Applications of Parental Participation in Preschool Education', Lee Hye-sim, 1997, the researcher directly produced a questionnaire and use it in this study. For a tool used in this study, validity of its contents was verified from and expert in childhood education and five public preschool head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operation practice of public preschool parents' associations, it was found that 69.1% of the entire preschools had their parents' associations - that is, public preschools without any parents' association existed. For the forms of parents' associations, the most common form corresponded to that parents' associations by classes were organized and a general parents' association was composed of their representatives. Members of the board in such associations were elected spontaneously, democratically and the term mostly lasted for a year. Although it was the most common that meetings of the parents' associations took place through discuss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presechool interest and the board, it was not a few that the preschool interest directly convened a meeting. Generally, the parents' associations didn't hold regular meetings, instead of, they held an adhoc meeting every time an event or important matter occurred.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most public preschools had no regulation for their parents' association.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recognition of parents on public preschool parents' associations, it was shown that the majority of parents recognized that a parents' association is necessary. For the form of parents' associations, the most thought that parents' associations by classes should be organized and a general parents' association composed of their representatives. Also, the most recognized that members of the board should be elected in a spontaneous and democratical manner and their term should last for a year or half-year, that the associations should hold regularly a meeting, which should be convened through discuss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preschool interest and the board of the association. And, the majority recognized that connection between public preschool parents' association and elementary school operators' committee was unnecessary. Meanwhile,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satisfaction of parents in public preschool parents' associations, responses corresponding to 'Average' or Satisfied'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Most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participation in the parents' association activities, however, couldn't afford to do so, due to limited time. And, with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parents' associations,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ey didn't understand correctly the roles of the parents' association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cognition of parents of the roles of public preschool parents' associations, the highest percentage of answerers responded that the roles should include proposing improvements of education environment; proposing opinions related to meals system and health control, improving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chool interest and the parents, and assisting in educational activities were followed in order. In the other hand, the role of proposing opinions related to drawing up of the budget of preschool operational expenses corresponded to the lowest percentage and next, proposing opinions related financial support and administration of school hours was followed.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parents of the roles of public preschool parents' associations,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factors includin school education, average earnings per month and maternal employment state, findings are as follows;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 조직의 운영 실제를 살펴보고,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 조직 및 역할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학부모회 역할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2.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 조직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3.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 역할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 역할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 유치원 92개원과 공립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자녀의 부모 30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김덕희(1987)의 '학부모회의 운영과 역할에 관한 조사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와 이혜심(1997)의 '유치원 교육에서 부모참여 실태 및 활용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 도구는 유아교육 전문가 1인과 공립 유치원 원감 5인으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분석,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 운영 실제를 살펴본 결과, 학부모회가 조직되어 있는 경우가 69.1%로서, 학부모회 조직이 없는 공립 유치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회 조직의 형태는 학급별 학부모회가 구성되고, 이들 대표들이 모여서 전체 학부모회를 구성하고 있는 형태(46.8%)가 가장 많았다. 학부모회 임원은 자발적, 민주적으로 선출(95.7%)되었고, 임기는 1년인 경우(97.9%)가 많았다. 학부모회의 모임은 유치원과 학부모회 임원단이 협의하여 소집하는 경우(42.6%)가 가장 많았으나, 유치원에서 소집하는 경우(34.0%)도 많았다. 학부모회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지 못하고, 행사나 안건이 있을 때마다 모임을 갖는 경우(78.7%)가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공립 유치원이 학부모회 회칙을 가지고있지 않은 것(87.2%)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 조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과반수의 부모가 학부모회 조직이 필요하다(81.3%)고 인식하고 있었다.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 조직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유치원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이 증대되기 때문으로(31.1%) 인식하는 학부모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에 학부모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으로(28.7%) 인식하는 학부모가 많았다. 학부모회 조직 형태는 학급별 학부모회가 구성되고, 이들 대표들이 모여서 전체 학부모회를 구성하여야 한다(57.0%)는 인식이 가장 많았다. 학부모회 임원은 유치원 학부모회가 자발적, 민주적인 방법으로 선출(93.0%)하여야 하고, 임원의 임기는 1년(63.3%) 또는 6개월(32.3%)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많았다. 학부모회는 각종 행사나 안건이 있을 때마다 모임을 가져야 한다(35.0%)는 인식이 가장 많았고, 학부모회 모임은 유치원과 학부모회 임원단이 협의하여 소집하여야 한다(86.0%)는 인식이 많았다.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와 초등학교 운영위원회와의 연계의 필요성에 대하여 과반수의 부모가 필요하지 않다(70.3%)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보통'(51.0%) 또는 '만족'(42.2%)의 의견이 많았다. 학부모회 활동 참여에 대하여 관심은 있으나,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고 응답한 부모(59.4%)가 가장 많았다. 또한 학부모회 운영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는 학부모회 역할에 대하여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32.3%)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27.6%)는 응답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셋째,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 역할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교육환경 개선에 관한 의견 제안의 역할(4.13)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급식 및 위생관리에 관한 의견 제안(4.11), 유치원과 학부모의 상호 협력 관계 증진(3.98), 교육활동의 보조 및 봉사(3.69) 등의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반면, 유치원 운영비 예산 편성에 관한 의견제안의 역할(2.75)을 가장 낮게 인식하였고, 그 다음 재정적 지원(2.76), 수업시간 운영에 관한 의견제안(3.16) 둥의 순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넷째, 어머니의 취업 유무에 따라 학부모회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취업을 하고 있는 어머니가 취업을 하지 않은 어머니보다 교육활동의 보조 및 봉사, 재정적 지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반면, 학부모 경비부담에 대한 의견제안에 대해서는 취업한 어머니가 취업하지 않은 어머니에 비하여 보다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목적 및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유아교육기관과 부모 참여 = 4 B. 학부모회 의미와 역할 = 10 Ⅲ. 연구의 방법 = 15 A. 연구의 대상 = 15 B. 연구 도구 = 15 C. 연구절차 = 19 D. 자료 분석 = 20 Ⅳ. 결과 및 해석 = 21 A.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 운영 실제 = 22 B. 공립 유치원 학부모회 조직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9 C. 학부모회 역할에 대한 부모의 인식 = 41 Ⅴ. 결론 및 제언 = 44 A. 논의 = 44 B.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5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254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공립-
dc.subject유치원-
dc.subject학부모회-
dc.subject유아교육-
dc.title공립 유치원 학부모회 운영 실제 및 부모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Operation practices of public Kindergarten parent's associations and their recognition-
dc.format.pageix,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