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자연-
dc.creator박자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0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8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2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귀국초등학생의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귀국반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에 대하여 알아보고 귀국반교사의 성공적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국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귀국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어려움을 교사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조절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시내 귀국초등학생을 위한 귀국반을 운영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서술형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을 위해 먼저 서술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귀국초등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귀국반 교사들의 어려운 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설문조사에서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반구조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서술형 설문지 및 반구조화 심층면담 질문지 구성과 분석과정에서 지도교수 및 구성원의 도움을 받았다. 현재 서울시에서 귀국초등학생을 위한 귀국반을 운영 중인 곳은 다섯 학교이다. 서술형 설문조사는 이 다섯 학교의 귀국반 담당 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이 중 15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설문참여자 중 동의를 얻은 4명의 귀국반교사를 통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귀국반 교사들은 한국어 수업과정이나 귀국반 교실환경에 대한 사회적 지원, 한국어에 대한 학생의 태도면에서 특별히 큰 어려움은 없었다. 하지만 귀국반 교사의 가산점 제도로 초등교사들간의 경쟁이 치열하고 가산점의 혜택을 받는 대신 여러 가지 학교 업무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귀국초등학생을 위해 귀국반을 운영하고 있는 모든 학교가 가산점 제도의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귀국반 운영을 하고 있는 초등학교에서는 귀국반 교사가 되기 위해 교사들간에 경쟁과 갈등이 보이지 않게 작용하고 있다. 둘째, 귀국반 교사들은 직무연수의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한국어 교육 직무연수 기회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국제교육진흥원의 예산부족과 홍보부족의 원인도 있지만 귀국반 교사들이 일반학급의 교사들 보다 수행해야 하는 부가적인 업무와 스트레스로 직무연수 선택기회에 어려운 점이 있다. 치열한 경쟁 속에 어렵게 귀국반 교사가 되었지만 가산점의 혜택을 받고 있는 만큼 원활한 학교운영을 위해 여러 가지 업무를 감수하라는 무언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셋째, 귀국반 교사들은 한국적 정서가 담긴 어휘지도와 쓰기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지는 어휘 설명은 어디서부터 되짚어 줘야 할지 난감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간적인 여유 부족으로 개별지도를 하지만 쓰기지도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결국 이것은 귀국초등학생의 한국문화에 대한 배경지식, 한국 학교생활에 대한 문화적인 배경지식의 부재에서부터 시작된다. 귀국반 교사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귀국초등학생들을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대한 공감보다는 실물자료나 쉬운 말로 풀이된 한국어 사전 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귀국반 교사들은 귀국초등학생들만을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필요성보다는 귀국초등학생들과 교사들간의 문화적인 배경지식의 차이를 좁히고 서로 이해하는 데에 오랜 시간과 인내심이 필요하다. 귀국초등학생들과 학부모, 여러 나라에서 성장해 온 학생들의 특성, 학교 부적응 문제 등으로 한국어 수업을 진행해 가는 과정에서 보다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같이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귀국반 교사와 귀국초등학생에게 필요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교사와 학교장의 귀국초등학생에 대한 작은 관심이다. 둘째, 귀국초등학생을 위한 독립적인 교육과정 편성 대신 자원봉사인력확보, 한국어 교사자격증의 국가수준의 확립과 배치, 교과서 낱말 사전 확충이 요구된다. 현실적인 실효성을 고려해 볼 때, 귀국초등학생들만을 위한 표준화된 교육과정 편성은 부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귀국반에 들어오지 못하는 귀국초등학생에 대한 관심과 이중언어 프로그램 확충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귀국초등학생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 귀국반 교사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가 부족한 점이 많지만 귀국반 교사를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귀국초등학생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져가고 있고 이들의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어려움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 시점이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이러한 작은 시도에서부터 앞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the returnee class teachers who take charg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e returnee elementary students, and to define the successful role of the teachers. This study trie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difficulties the teachers hav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returnee elementary students? Second, how do the teachers control and accept the difficulti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these students?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I executed a detailed questionaire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returne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There are currently five schools that manage the returnee classes for these students in Seoul. I provided sixteen teachers with the detailed questionaires in these five schools and received fifteen back. As well, in-depth one on 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of the fifteen who returned their questionaires. The Major findings f개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the returnee class teachers must perform more duties and go through intensive competition instead of obtaining their benefits by the additive point system only. All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naging a class for returnee students are not influenced by the additive point system. But, in most of these schools there is the intensive competition and as a result, conflict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eachers for Korean returnee classes. Second, Korean returnee class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y for optional training sessions, but it is often hard to fit into their schedule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in their opinions, are lacking funds th deal with this situation and are also not providing sufficient promotions. In addition, the extra work loads and pressure felt by the Korean returnee class teachers gas compounded as a result. Third, Korean returnee class teachers have many difficulties in vocabulary and writing surrounding Korean culture and living. This occurs because there is not sufficient background knowledge for the Korean culture of the returnee elementary student. Fourth, the returnee class teachers usually need time and patience to understand their students and reduce the gap between one another, rather than be concerned about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is not perfect in all aspects, but it is significant in the point of accomplishing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ubject of teaching Korean returnee elementary students for the first time. In the future, I expect more studies on this subject to be carried out because of our necessity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faced by teachers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용어의 정리 = 3 1. 귀국초등학생에 대한 개념 = 3 2. 귀국반의 정의와 목표 = 4 C. 연구자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귀국학생과 초등학교 귀국반의 현황 = 7 B. 귀국초등학생의 특성과 귀국반 적응 프로그램 = 12 1. 귀국초등학생의 특성 = 12 2. 귀국초등학생의 귀국반 적응 프로그램 = 17 C. 한국어 교사와 귀국반 지도 교사 = 24 1.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 = 24 2. 한국어 교사의 요건과 역할 = 26 3. 귀국반 지도 교사의 요건과 역할 = 27 4. 귀국반 지도 교사 연수 = 28 D. 귀국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 29 Ⅲ. 연구방법 = 34 A. 질적 연구 방법 = 34 B. 연구대상 = 36 C. 자료수집절차 = 38 1. 예비연구 = 38 2. 본 연구 = 38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2 A. 서술형 설문분석 결과 = 42 B. 심층면담 분석결과 = 51 1. 귀국반 교사의 가산점 제도와 직무연수의 접근성 = 51 2. 교사가 느끼는 귀국초등학생들의 한국어 영역 선호도 = 53 3. 한국어 수업과정과 귀국초등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 = 54 4. 귀국반 운영에서의 어려움 = 62 5. 한국어에 대한 학생의 태도와 이중언어능력 = 65 6. 한국어 영역별지도에 대한 어려움 = 66 7.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와 귀국반 교실 환경 = 70 8. 귀국반교사의 역할과 성공적 수행 및 한국어교사 = 72 Ⅴ. 결론 및 제언 = 76 참고문헌 = 80 부록 = 85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005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11-
dc.title귀국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의 성공적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uccessful Role of Teacher for Korean Returnee Elementary Students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dc.creator.othernamePark, Ja Yeun-
dc.format.pageⅸ,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