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창희-
dc.creator박창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7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67-
dc.description.abstractThe current trends of globalization and the perpetuation of the information age are producing unprecedentedly fast changes, integrating the world as an entity. Given this, civic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individuals' position not only as to their own nationality but also as to members of global society. Global Education, which includes the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respect of other cultures, is important in pursuing of this goal.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should deal with this issue in formal school edu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related to Global Education, and to propose possible improvement;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qualitative analyses of the current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7th ed.) were used as research method.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the following was summarized: necessity of Global Education, development of note of Global Educ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Glob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in schooling. This literature research led to drawing four important topics in Global Education, which were used as the basic criteria of analyses: Universal Values, inter-cultural understanding, World System, and Global Issues. These criteria were also divided to 13 sub-topics(sub-criteria) for evaluation of text and pictorial contents. Researcher found the facts as below through this procedure. First, with regard to theme, current social studies text 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seem not to be well organized. Even though it was obvious that Global Education is the main topic, the contents were not systematically organized; sketchy and sporadic descriptions made them obscure in general. Second, in terms of quantity, text contents related to Global Education were relatively adequate, and the above referenced four main topics were distributed in the balanced way. The variations, however, among the grades and sub-topics, were still fairly large, which also meant that contents were not well-organized. Third, the numbers of chapters related to Global Education showed large variation depending upon the grade. Fourth, lack of variety in pictorial contents was found. These results led to the conclusion tha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nhancement in the Global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efficient education, relevant contents should be added and organized in the context of entire school curriculum.;세계화와 정보화의 추세는 지금까지의 사회변화와 비교할 수 없는 빠른 속도로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지구촌 사회의 급속한 세계화로 인해 지구는 하나의 운명 공동체로 결속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이제 사회 구성원들은 한 국가의 시민으로 뿐 아니라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 국제체제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국제문제 해결에 참여하고 다문화를 이해, 존중하며 세계시민으로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기능 및 태도를 함양시키는 국제이해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사회과는 사회 현상을 주 학습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 변화를 반영하여 국제화·세계화 시대에 대응해 나가기 위한 내용과 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이는 곧 사회과에서의 국제이해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 목적은 국제사회, 세계화 시대에 대응해 나가기 위해 중학교 사회과의 국제이해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구성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현행 제7차 사회과 교과서 내용분석을 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세계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의 필요성, 국제이해교육 개념의 변화, 사회과와 국제이해교육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유네스코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사회과에서 포함해야 할 국제이해 교육의 중심주제를 선정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유네스코에서 제시한 4가지 중심주제를 기본으로 하여, 13가지의 소주제를 설정하고 관련 내용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사회과 교과서의 국제이해교육 관련 내용 구성이 제7차 교육과정의 목적에 맞게 적절히 구성되었는지 내용과 단원을 학년별로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제7차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국제 이해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국제이해교육 중심주제 관련 내용을 분석해보면, 내용상으로 통합적·체계적 구성에 미흡한 점이 나타났다. 국제이해교육 내용을 다루고자 노력한 것을 인식할 수 있었으나 국제이해 교육 내용의 실질적 통합이 아니라 관련된 내용을 단순하고 산발적으로 함께 서술한 것에 가까워 아쉬운 점이 있다. 둘째, 사회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국제이해교육 관련 내용의 비중은 주제별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국제이해교육의 내용이 비교적 풍부하면서도 균형 있게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년별, 소주제 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 국제이해교육 관련 내용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내의 전체 단원에서 국제이해교육 관련 내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학년별·단원별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 나라의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보다 효과적인 국제이해교육을 위해서는 국제이해교육의 목적에 맞는 내용이 추가됨과 동시에 국제이해교육의 중심주제에 맞게 체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국제이해교육의 중요성은 앞으로 더욱 강조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지구촌 사회의 바람직한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 국제이해교육 내용구성에 관한 많은 연구와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게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세계화와 국제이해교육 = 6 B. 국제이해교육의 개념 및 변화 = 8 C. 사회과와 국제이해교육 = 11 D. 국제이해교육의 내용 = 18 Ⅲ. 연구 설계 = 33 A. 연구 내용 = 33 B. 분석 방법 및 절차 = 34 C. 분석 기준 = 36 Ⅳ. 분석 및 해석 = 39 A. 내용분석 = 39 1. 중학교 사회과 국제이해교육 관련 내용 분석 = 39 2. 사회과 국제이해교육 단원 비중 분석 = 63 Ⅳ. 결론 = 67 참고문헌 = 74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623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사회과-
dc.subject국제이해교육-
dc.title중학교 사회과에 나타난 국제이해교육 내용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for Global Education : focused o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Textbook-
dc.format.pagevi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