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실-
dc.creator이경실-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8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8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6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8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놀이의 질적 특성을 나타내는 놀이성(playfulness)과 사회성을 대표하는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연구하여 유아기에 놀이성이 사회적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놀이성(playfulness)은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사회적 능력(social competence)은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위치한 S유치원의 만 5세 유아 103명이며, 연구 기간은 총 3주이다. 연구 절차는 유아의 놀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Barnett이 제작한 '놀이성 평정도구(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사용하였다. 놀이성은 각 유아당 3번 관찰하여 평균을 냈다.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Pease, Clark Crase가 개발한 ISCS(Iowa Social Competence Scale: Preschool Form)의 교사용 사회적 능력 평가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의 분석을 위해서 두 독립표본 t-검증, 단순 적률 상관관계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놀이성 전체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놀이성 전체는 남자의 평균이 69.97, 여자의 평균이 64.24로 남자의 평균이 여자의 평균보다 5점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t통계값은 2. 98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하부요인별 차이를 알아보면 신체적 자발성(P<.001), 인지적 자발성(P<.05), 즐거움의 표현(P<.05), 유머감각( P<.01)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2.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유아의 놀이성 전체와 사회적 능력 전체는 유의한 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 P<.05, P<.01, P<.001). 유아의 놀이성 전체는 사회적 능력 중 지도력, 유능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불안정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능력중 지도력은 놀이성의 하부요인중 사회적 자발성과 유의수준 P<.001에서 .56으로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사회적 능력중 유능성은 놀이성의 하부요인중 사회적 자발성과 유의수준 P< .01에서 .31로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사회적 능력중 불안정성은 놀이성의 하부요인중 즐거움의 표현과 유의수준 P< .001에서 -.27로 가장 낮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of children and their social competence so as to identify how plays during the childhood affect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For the attainment of objectives of this study following topics for researches are laid out: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extent of playfulness of childhood according to genders of children?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extend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s of children? 3.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of children and their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3 children between the age of 5 of S Kindergarten located in downtown Seoul. The period for study was 3 full seeks. As the procedure for study for purpose of evaluation of playfulness of children Children's Playfulness Scale developed by Barnett was used. Subject children were subjected to 3 times of observation for their playfulness and the result was averaged.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ir social competence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teachers of ISCS (Iowa Social Competence Scale: Preschool Form) developed by Pease, Clark Crase was used. For the purpose of analysis of collected data 2 independent samples were t-tested and simple multiplication inter-relationship were performed on the above mentioned data.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playfulnes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ir genders. (p<0.01). Als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children was revealed when checked on their difference in sub-factors including physical spontaneity (P<0.001), manifest joy (P<.05), intelligent spontaneity (P<0.05) and sense of humor(P<0.01) 2. In terms of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s of children. 3. There was significant level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overall status of playfulness of children and overall status of their social competence. (P<0.05, P<0.01, P0.001). In overall terms of playfulness of children there was positive inter-relationship between overall playfulness of children and leadership, competence and oversensitivity and negative inter-relationship with insta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유아의 놀이성 (Palyfulness) = 4 B. 유아의 사회적 능력 = 7 C. 놀이와 사회성 발달 = 11 D. 관련 연구 = 17 Ⅲ. 연구 방법 = 20 A. 연구 대상 = 20 B. 연구 도구 = 20 C. 연구 절차 = 24 D. 연구가설 및 자료분석 = 25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6 A. 유아의 놀이성에서의 성차 = 26 B.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서의 성차 = 27 C.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관계 = 28 Ⅴ. 논의 및 결론 = 31 A. 논의 = 31 B. 결론 및 제언 = 34 참고문헌 = 35 부록 = 42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505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놀이성-
dc.subject관계-
dc.subject사회적 능력-
dc.title유아의 놀이성(Playfulness)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altionship Between Playfulness of Chilren and Their Social Competence-
dc.format.pagevii, 5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