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5 Download: 0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회피기능의 자해행동 처치의 효과

Title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회피기능의 자해행동 처치의 효과
Other Titles
Treatment of self-injurious escape behavior through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Authors
윤진영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기능의사소통훈련회피기능자해행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개인의 사회적 학업적 성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가정 및 학교, 지역사회로의 적응을 방해하는 문제행동은 장애아동 교육의 우선적 중재목표가 되어 왔다. 최근에는 문제행동이 그 개인을 위하여 목적을 가지는 적응적 행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문제행동에 대한 의미있는 교육적 접근은 행동이 가지는 목적을 정의하고 개인이 사회적으로 더 수용적인 방법으로 목적을 성취할 수 있도록 대체행동을 가르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인 과제 수행요구를 피하기 위해 자해행동을 보이는 학령기 아동들을 선정하여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을 실시한 후, 이 훈련을 통하여 의사소통행동의 사용이 증가하는지, 의사소통행동의 증가에 따라 자해행동이 감소하는지와 그 실험 효과가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중이며 과제회피에 의해 부적 강화된 자해행동을 나타내는 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아동들은 모두 높은 비율의 자해행동을 보였으며 의사소통행동은 전혀 없거나 매우 낮은 발생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총 25분으로 10분간 전날의 훈련 효과를 관찰하고 15분간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진행되었다. 유지검사는 실험처치가 종결된지 2주 후에 각 아동별로 5회기씩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을 통하여/과제회피기능에 의해 부정적으로 강화된 자해행동의 대체행동인 의사소통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의사소통행동이 증가함에 따라 회피기능의 자해행동이 감소하였다. 셋째, 유지검사에서도 감소된 자해행동과 증가된 의사소통행동의 사용은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문제행동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대안적 의사소통행동을 확립하는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은 본 연구 대상아동들의 적절한 의사소통행동을 확립, 증가시킴으로써 과제회피기능의 자해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as an intervention for self-injurious behavior(S1B)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intained by negative reinforcement (escape from educational tasks). Using multiple-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 frequency of SIB and communication behavior were measured. The intervention involved teaching an appropriate escape response to the children to replace SIB. This intervention, also, included an escape- extinction component in which SIB no longer produced escap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 : 1. Teaching appropriate escape responses as alternative behaviors to SIB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 2.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decreased the frequency of SIB through increasing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 3. Increasing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 and decreasing the frequency of SIB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