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은주-
dc.creator정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1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5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5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51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irs Check model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o achieve the these objectives, the specific problem are formulated as follows: 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airs Check model and traditional learning on mathematics anxiety? 1-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airs Check model and traditional learning on emotionality-mathematics performance component? 1-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airs Check model and traditional learning on emotionality -mathematics evaluation component? 1-3.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airs Check model and traditional learning on worry-mathematics performance component? 1-4.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airs Check model and traditional learning on worry-mathematics evaluation component? 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airs Check model and traditional learning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2 children 5th grade students selected from 2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31 students(experimental group) were participated in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and 31 students(control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learning situation. The Pairs Check Model was applied for cooperative learning. The mathematics anxiety questionnaire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est were given as a pretest. As a resul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athematics Anxiety Questionnair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est. Experimental period was 6 weeks; fifth a week and 40∼60 minutes at a time.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mathematics anxiety questionnaire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est were administered as a posttest. And the result of the test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by the t-test. Statistical process and analysis in this research were done by computerization using SPSS/pc+(version 6.1) Pack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mathematics anxie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 In conclusion, the Pairs Check model wa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learning situation on mathematics anxiety,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e Pairs Check model will be considered as a teaching-learning strategy for the reduction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development of Mathematics Anxiety Questionnai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ong-term effects of the Pairs Check model on reduction of mathematics anxiety.;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학습 모형의 하나인 짝 점검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수학불안과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짝 점검 모형을 적용한 학습자와 전통적 학습을 적용한 학습자 사이에는 수학불안의 차이가 있는가? 1-1. 짝 점검 모형을 적용한 학습자와 전통적인 학습을 적용한 학습자 사이에는 정서-수학학습 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1-2. 짝 점검 모형을 적용한 학습자와 전통적인 학습을 적용한 학습자 사이에는 정서-수학평가 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1-3. 짝 점검 모형을 적용한 학습자와 전통적인 학습을 적용한 학습자 사이에는 걱정-수학학습 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1-4. 짝 점검 모형을 적용한 학습자와 전통적인 학습을 적용한 학습자 사이에는 걱정-수학평가 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2. 짝 점검 모형을 적용한 학습자와 전통적인 학습을 적용한 학습자 사이에는 수학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소재한 B 초등학교 5학년 2개학급 아동 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31명)과 통제집단(31명)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검사로서 수학불안 검사와 수학과 학업성취 검사를 하였다. 아동의 수학불안 검사를 위한 연구도구로 Wigfield & Meece(1988)가 개발한 수학불안질문지와 조아미(1995)의 수학태도와 수학불안 검사지 중 수학불안에 관한 부분을 참고로 하여 지도교수의 지도·조언을 받아 연구자가 작성하였으며 수학 학업성취 검사는 1957년 9뭘 3일 실시한 전국 학력평가로 대체하였다. 사전검사의 평균을 t검증한 결과 두 집단간에는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에 적용한 협력학습 모형은 Kagan이 제안한 짝 점검 활동으로 수학과에 한하여 총 6주간에 걸쳐 30차시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 후 수학불안과 수학 학업성취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후 수학 학업성취 검사는 국립교육평가원에서 발행한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우수문항집」와 교육부가 발행한 수학교과서와 익힘책,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통계처리 및 분석은 SPSS 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짝 점검 모형과 전통학습은 수학불안의 사후검사 결과, 수학불안의 하위 요인인 정서-수학학습, 정서-수학평가, 걱정-수학학습 요인은 통계적으로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걱정-수학평가 요인은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수학불안 전체적으로는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짝 점검 모형이 전통학습에 비하여 수학불안 감소에 효과적임이 검증되었다. 2. 짝 점검 모형과 전통학습은 수학 학업성취의 사후검사 결과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짝 점검 모형은 전통학습에 비하여 학업성취에 있어서 효과적임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짝 점검 모형을 적용한 집단은 전통학습을 적용한 집단에 비하여 수학불안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즉, 학습자들은 함께 활동하면서 서로 도움을 주고받게 되는 가운데 개인적인 수학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면서 수학을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자신감은 수학을 좋아하게 되는 기반이 되어 수학불안도 점차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짝 점검 모형을 적용한 집단은 전통학습을 적용한 집단에 비하여 수학 학업성취에 효과적이었다. 이는 짝 점검활동 모형과 같은 협력학습이 아동들의 적극적인 학습에의 참여를 촉진하고 학습동기를 진작시키면서 아동들이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므로 써 학습과정에 몰두하게 되고 따라서 학습효과의 결과에 있어서도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협력보다는 경쟁을 우선으로 하는 교육현실에서 올 수 있는 학습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학습동기를 진작시켜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서도 효과적인 협력학습을 교수전략으로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화된 수학불안 검사지의 개발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짝 점검 모형과 같은 협력학습이 수학불안의 감소에 장기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수학불안의 감소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가에 대한 후속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교수전략으로서의 협력학습 = 6 B. 수학과에서의 협력학습 = 23 C. 수학불안 및 학업성취도 = 26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9 A. 연구 대상 = 39 B. 연구설계 = 39 C. 연구도구 = 40 D. 연구절차 = 43 E. 자료분석 = 44 Ⅳ. 결과 및 논의 = 46 A. 결과 = 46 B. 논의 = 50 Ⅴ. 결론 및 제언 = 52 A. 결론 = 52 B. 제언 = 54 참고문헌 = 56 부록 = 61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809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협력학습-
dc.subject짝점검-
dc.subject모형-
dc.subject수학불안-
dc.subject수학-
dc.subject학습성취-
dc.title협력학습의 짝점검(Pairs check)모형이 수학불안 및 수학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Pairs Check Model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dc.format.pagevi, 8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