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변금영-
dc.creator변금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4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8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5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89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미국 음악대학에서 피아노 비전공 학생들을 위한 클래스 피아노 교재로 널리 쓰여지고 있는 교재 중 하나인 "Keyboard Musicianship, Piano for Adults"를 분석하였다. 특히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클래스 피아노 커리큘럼의 내용을 기준으로 클래스 피아노의 지도 목표와 부합하는지 파악하려 하였다. 또한 클래스 피아노 지도 곡 커리큘럼 작성 및 수업 진행의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여 주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교재를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로 삼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일반적인 클래스 피아노의 정의와 역사적 발달 과정, 그 특성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보다 효과적인 피아노 지도를 위해 그룹과 개인 지도의 장, 단점 및 두 지도의 병행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음악 대학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클래스 피아노의 개요, 교과 내용, 그리고 효율적 운영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Keyboard Musicianship"의 교재 내용을 레퍼토리, 이론, 악보 읽기와 조옮김, 테크닉, 화성 붙이기, 즉흥 연주 등 크게 6가지로 나누어 각각의 분야가 어떤 내용을 갖고 어떤 수준과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Keyboard Musicianship" 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레퍼토리는 다양한 작곡가, 장르, 형식, 구조의 솔로와 앙상블 레퍼토리를 수록하고 있고 미국적 스타일의 음악과 미국 작곡가들의 새로운 창작곡들을 비중 있게 포함하고 있다. 이론에서는 장, 단조의 다섯 손가락 패턴을 기초로 음계와 화음을 학습시키고 있었고 화음 진행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악보 읽기를 위한 곡들의 일부는 조옮김용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 곡들은 각 장에서 다루고 있는 레퍼토리나 다른 학습용 곡보다 비교적 쉬운 수준의 곡들이다. 테크닉 부분은 레퍼토리나 학습곡에서 요구하는 테크닉과 연결되어 훈련시키고 있는데 전반적으로 다른 분야에 비해 비중을 적게 두고 있다. 화성 붙이기에서는 학습자들의 반주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화음 기호를 사용하거나 화음 기호 없이 주어진 멜로디에 반주를 붙여보도록 하고 있다. 즉흥 연주로는 각 장마다 새롭게 배운 이론개념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유형의 즉흥적 시도가 제시되고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로 볼 때 이 교재는 음악의 기초와 실질적인 건반기능 기술의 개발 및 연주력 발달이라는 클래스 피아노의 포괄적 목표에 부합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본 교재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우리 나라음악 대학의 피아노 비전공 학생들을 위한 클래스 피아노 교재를 개발하는데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수정, 보완되어야 한다. 1. 레퍼토리나 학습용 곡에 었어서 우리 나라 정서에 맞는 곡, 즉 우리 귀에 익숙한 민요, 대중 음악, 국악, 애국적인 노래들을 포함시켜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흥미나 동기 유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2. 이 교재는 다른 분야에 비해 테크닉 분야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지 않다. 따라서 피아노 비전공 학생들의 연주력 향상을 위하여 테크닉을 강화하기 위한 부분이 좀더 강조되어야 한다. 특히 단순한 손가락 연습뿐만 아니라 손목의 사용이나 소리의 조절, 손의 유연성, 손가락의 독립성 프레이징 등 테크닉의 전반적인 분야가 강화되어야 한다. 3. 리듬 학습에 있어서 교재 전반에 걸쳐 좀 다양하고 복잡한 리듬 패턴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하고 리듬앙상블 연습도 포함되어야 한다. 4. 특히 Ⅱ권의 경우 재즈 화성 붙이기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 하고 있고 어려운 수준까지 다루어 지고 있는데 우리 교재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비중을 좀 줄여야 하며 난이도의 조정 또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5. Ⅰ권의 레퍼토리나 학습용 곡의 경우 난이도가 초보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우리 나라 음대생들은 단순히 악보를 보고 연주하는 수준은 높은 편이므로 난이도의 조절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 논문의 결과를 통해 클래스 피아노에 대한 이해 증진, 클래스 피아노 운영의 확대, 클래스 피아노의 효과적 운영, 클래스 피아노 지도 방법에 대한 지속적 연구, 적절한 커리큘럼의 작성 그리고 우리 나라 실정에 맞는 클래스 피아노 교재 개발 등에 일조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This paper has examined the "Keyboard Musicianship, Piano for Adults", the most commonly used piano textbook for non-piano majors in Music colleges. Specially, I have intend to see whether this textbook follows the general understanding and studies of the class piano program proposed beforehand. Expanding form thereon, by introducing directions and methods, I have aimed to provide guidance for finding the right textbook for our use and need. First of all, historical background, general definition of class piano and its proprieties has been introduc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and efficient way to instruct, pros and cons of the group and private lesson with its possibility of combined teaching has been examined. Moreover, the overall perspective, curriculum and applications of class piano required for music colleges had also been examin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by classifying the book's content into 6 parts, of ; repertoire, theory, music reading, transposition, technic, harmonization, and improvisation, each part's context and directions has also been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pertoire' contains various composers, genres, styles and structures of both solo and ensembles, while American style and newly created pieces by American contemporary artists has been included. In 'Theory', based on major and minor five finger pattern, scale and chord using has been thought, and chord progression is also emphasized throughout. Relatively easy to learn pieces are introduced in the 'Music reading' section. And most of the pieces are both used for transposition skill learning. Less emphasizes are drawn for 'Technic' part, which teaches in relation with the requirements dealt in the repertoires and other study pieces introduced in the textbook.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accompanying ability, melodies are provided with or without chord symbols in the 'Harmonization' section. Finally, based on the above leanings, various types of improvisations are suggested in the 'Improvisation' part. From my analysis and studies, I am safe to conclude that this book meets the very aim to develop the fundamental learnings of musicianship and the functional keyboard skills of class piano study in general. However, in order to develop a curriculum to meet our needs, the needs for non-piano majors in Korean music colleges, following factors and changes are suggested. 1. For a better understanding, enhanced interest and easier way to relate to the study in general by the students, familiar sounds such as our own folk songs, contemporary Korean pop,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atriotic song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pertoires and other study pieces. 2. Compare to other components this textbook does lack studies for technic improvement. Therefore, to develop non-piano major students' technical skills, there is a need for an emphasizes in this part. Specially, not only simple practices for fingers alone but also, posture and hand position, balance of melody and accompaniment, arm fieedom, independent use of fingers, down-up wrist motion for phrasing should also be added. 3. As far as rhythm studies are concerned, more variety and complexity should be introduced throughout the text with inclusion of ensemble practices. 4. In part Ⅱ of this text, jazz harmonization is emphasized with great deal expanding into a higher and complicated skill, which I believe, should be shortened and some degree of skill adjustment is also needed for our adoption and use. 5. The level and difficulties of the repertoires and other study pieces selected for part I are for beginners, and since our music students does have a higher understanding only in simple score reading, adjustment in the pieces are also suggested for an efficient learning. I do hope that throughout my studies and writ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class piano can be established. More on, based on this better understanding, expanded programs, studies, efficient teaching, continued research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class piano are to be developed. Finally, curriculum and textbook based on our needs and understanding are hope to be created and studi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표목차 = ⅵ 그림목차 = ⅶ 악보목차 = ⅷ 논문개요 = ⅹⅱ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정의 = 5 B. 역사 = 6 C. 특징 = 8 D. 클래스와 개인 지도의 조화 = 10 Ⅲ. 대학 클래스 피아노 = 13 A. 개요 = 13 B. 클래스 피아노의 내용 = 15 C. 클래스 피아노의 운영 = 23 1. 교수의 자질 = 23 2. 클래스 편성과 규모 = 24 3. 피아노 랩 = 26 Ⅳ. Keyboard Musicianship 교재 분석 = 29 A. 교재의 구성 = 29 B. Keyboard Musicianship Ⅰ의 내용 분석 = 34 1. 레퍼토리 = 34 2. 이론 = 37 3. 테크닉 = 60 4. 악보 읽기(Music reading)와 조옮김(Transposition) = 68 5. 화성 붙이기(Harmonization)와 반주(Accompaniment) = 75 6. 즉흥 연주 (Improvising) = 81 C. Keyboard Musicianship Ⅱ의 내용 분석 = 85 1. 레퍼토리 = 85 2. 이론 = 87 3. 테크닉 = 92 4. 악보 읽기와 조옮김 = 97 5. 화성 붙이기와 반주 = 100 6. 즉흥연주 = 106 D. 교재 분석 결과 = 108 1. 레퍼토리 = 108 2. 이론 = 109 3. 테크닉 = 110 4. 악보 읽기와 조옮김 = 111 5. 화성 붙이기와 반주 = 112 6. 즉흥 연주 = 112 Ⅴ. 결론 및 제언 = 114 참고문헌 = 116 부록 - 1 Keyboard Musicianship, Piano for Adults Ⅰ의 레퍼토리 분류 = 119 부록 - 2 Keyboard Musicianship, Piano for Adults Ⅱ의 레퍼토리 분류 = 123 ABSTRACT = 1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960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음악대학-
dc.subject피아노 비전공 학생-
dc.subject클래스 피아노-
dc.subjectKeyboard Musicianship-
dc.subject음악교육-
dc.title음악대학에서 피아노 비전공 학생들을 위한 클래스 피아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Keyboard Musicianship 교재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lass Piano Course for Non-piano Majors in Music College : Analysis of class piano textbook "Keyboard Musicianship"-
dc.format.pagexiv, 1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