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유치원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Title
유치원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and Situation in the Free Play Activity of Kindergarten
Authors
김상은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유치원자유선택활동교사운영현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운영하는 교사의 목적인식과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의 역할인식 및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운영하는 교사의 문제점과 자유선택활동시간의 운영현황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운영하는 교사의 목적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가? 2.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의 역할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가? 3. 자유선택활동시간의 운영상 문제점의 내용은 무엇이고, 이는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가? 4. 자유선택활동시간의 운영현황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공·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재구성한 질문지였으며 총 47개의 문항이 수록되었다. 질문지는 유아교육 전문가 4인에게 내용의 타당성을 검토받았으며, 질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하여 하위문항별로 .612 - .819의 계수가 나타났다. 질문지는 총 150부를 배부하여 115부를 회수했고 회수율은 76.7%를 보였으며, 이 중에서 부적절한 질문지 8부를 제외한 107부의 질문지를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Package를 이용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 백분율, 빈도수를 산출하여 유의도 수준 .05에서 F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운영하는 교사의 목적은 유아들이 선택활동을 해 봄으로 만족감과 성취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운영하는 교사의 목적인식에 관해 교사의 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교사의 학력에 따라서는 학력이 낮을수록 주변 사물을 스스로 탐구하고 탐색하는 목적에 대해 강조하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의 주역할은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동을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의 역할에 관해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는 교육경력이 낮은 경우에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는 교사의 역할이 많이 나타났으며, 교사의 학력에 따라서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운영하면서 교사가 느끼는 가장 큰 문제점은 교사의 수에 비해 학급당 아동수가 많다는 것이다.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는 교사가 교육경력이 많은 경우에 공간이 협소하다의 문제점에 대해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경력이 적은 경우에 문제상황에서 적절한 지도방법을 모르겠다의 문제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학력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는 학력이 낮을수록 교구 및 유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에 대해 더 크게 느꼈고, 공간이 협소하다와 교사의 수에 비해 학급당 아동수가 많다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가 가장 크게 느꼈으며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가 가장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유선택활동시간의 운영현황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환경의 구성은 교사가 단원, 계절, 학기에 따라서 구성하였고, 자유선택활동시간의 계획은 아이들과 교사가 함께 계획하였으며, 계획된 자유선택활동을 시작하는 방법은 놀이영역을 선택하는 특별한 방법없이 아이들이 원하는 곳에서 각자 활동하는 것이었다. 자유선택활동의 영역 중 적목놀이영역은 그 영역 자체를 아이들이 선호하기 때문에 운영이 가장 잘 된 반면에 도서영역은 교구나 교재가 적기 때문에 운영이 가장 안되었다. 자유선택활동중 다음 활동의 선택은 아동이 스스로 선택하였고, 자유선택활동시간에 한가지의 활동에만 전념하는 아이는 교사가 대화를 통하여 아동이 하지 않은 활동을 다음 활동으로 유도하였다. 한 영역에 아이들이 몰릴 경우 교사는 인원수를 제한하기 위해서 교사와 아동간의 토의를 통해 결정된 약속을 규칙판에 붙이는 방법으로 인원수를 제한하였으며, 이는 규칙, 질서의 습득과 자율성의 발달을 위해서이다. 이러한 자유선택활동에 대하여 교사와 아동은 귀가지도시간에 모두 모여 평가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e teachers' perception and situation in the free play activity of kindergarten. To achieve the purpose, specific questions are given as follows : 1. What are purposes of the free play activity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2. What are roles in the free play activity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3. What are difficult points to guiding the play during the free play activity period? 4. How is the practice situation of the free play activity? This study conducted s series of surveys on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free play activity with the selected subjects of 107 teachers assinged to kindergarten. Th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purpose of teachers' in the free play activity is to get children achieve a feeling of satisfaction as performing the free play activity. 2. The teachers' main role in the free play activity is to guide the children who don't take part in the activity for participate in the activity. 3. The difficult point of teachers' in the free play activity is that the number of children per teachers' is too many. 4. The circumstance for free play activity is composed by teachers according to chapter, season and term. And that plan of free play activity is planned by teachers and children. In the beginning of the free play activity, they played individually in the area, where they want to choose without special way. Block area of free play activity is well operated because they like the area itself. Book area is not operated for lack of teaching tools or teaching materials. They chose the next activity of themselves. A child who performs only one activity is guided other acts by teachers with communication. When all of the children play in the one area, the teachers restrict the number by rule which is made by teachers and children after discussing. The teachers and children duscussed about the free play activity at the time of returning ho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