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은주-
dc.creator신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5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5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4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54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udio-lingual method and Literature based program for Elementary English. The question to be answered in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test between Audio-lingual method and Literature based program?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test between male and female? The subjects chosen for this study were 94 students at th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The period of the experiment of whole 5th grade were 4 months. Weekly instruction grafted on Audio-lingual method was given to A class, and weekly instruction of Literature based program to the B class. Two tests were administered to measure the extent of the growth in spelling, pronunciation, lexicon, grammar, writ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he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two sample of t-test for difference between mean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tudents applied the literature based program gets high record, but it wasn't significant. (2)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record, but it wasn't significant. On the bases of above result, suggestions are given as follows: (1) In planing the English curriculum for elementary, we should consider the literature based program. (2) Since this study was applied for short time, we should have an investigation like this for a long time. (3) Sinc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record. we should have an investigat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English Education.;본 연구는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 방법으로 청각구두식교수법과 문학중심교수법을 적용하여 영어 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문학중심교수법을 초등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문학중심으로 교수 받은 집단과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의 영어성취도는 어떠한가를 다음의 하부요인별로 비교해 본다. 1) 발음·철자 측면에서 문학중심으로 교수 받은 집단과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의 영어성취도가 어떠한지를 알아 본다. 2) 어휘 측면에서 문학중심으로 교수 받은 집단과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의 영어성취도가 어떠한지를 알아 본다. 3) 문법 측면에서 문학중심으로 교수 받은 집단과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의 영어성취도가 어떠한지를 알아 본다. 4) 청취이해 측면에서 문학중심으로 교수 받은 집단과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의 영어성취도가 어떠한지를 알아 본다. 5) 쓰기 측면에서 문학중심으로 교수 받은 집단과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의 영어성취도가 어떠한지를 알아 본다. 2. 문학중심으로 교수 받은 집단과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의 남, 여에 따른 성취도는 어떠한지를 알아본다. 위의 연구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 지역의 S 초등학교 5학년 중 2개반을 대상으로 1995. 4. 3 - 1995. 7. 7 까지 약 4개월 동안 청각구두식교수법과 문학중심교수법을 적용한 후 1995. 7. 14일에 Sang et. al(1986)의 3요소 모델을 근거로 하여 작성한 지필검사지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연구결과에 따르면 문학중심으로 교수 받은 집단이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에 비해 두 개의 영어성취도가 높았다. 각 하부요인에 따라 살펴 보면, 첫째, 발음·철자 측면에서 문학중심으로 교수 받은 집단은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에 비해 영어성취도가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였다. 둘째, 어휘측면에서 문학중심으로 교수 받은 집단은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에 비해 영어성취도가 높았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셋째, 문법측면에서 문학중심으로 교수 받은 집단은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에 비해 영어성취도가 높았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넷째, 청취이해측면에서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이 문학중심으로 교수받은 집단에 비해 영어성취도가 높았다. 다섯째, 쓰기측면에서 문학중심으로 교수 받은 집단은 청각구두식으로 교수 받은 집단에 비해 영어성취도가 높았다. 두번째 연구문제의 결과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문학중심으로 교수받은 집단과 청각구두식으로 교수받은 집단 모두 남자와 여자의 영어성취도를 비교하여 본 결과 여자가 남자에 비해 영어성취도가 높았다. 그러나 이는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두 집단 모두 여자가 높았으므로 여자집단의 경우 문학중심교수법과 청각구두식 교수법 중 어느 교수법이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 보기 위해 성취도 평균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문학중심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의 평균이 더 높았다. 다음의 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어 오던 청각구두식교수법을 적용한 집단보다 문학중심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의 성취도가 높았던 점은 문학중심교수법을 초등영어에 있어서 적용하는 것이 적절함을 시사한다. 각 하위요인별로 살펴 보면 영역에 따라 효과를 보이는 정도가 달랐음을 알 수 있다. 영어교육의 목표에 따라 더욱 효과적인 교수법을 적절하게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 보면 아직까지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문학중심교수법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초등 영어에 있어서 문학중심교수법의 적용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앞으로 영어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문학중심교수법을 응용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여자가 남자에 비해 성취도가 높은 것은 선행 연구인 이화자(1990)의 결과와 같은데, 이는 남·여간의 정서적, 인지적, 신체적 차이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의 성향에 맞는 적절한 교수법의 개발을 위해 성차가 영어교육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셋째, 청각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의 경우 처음에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나, 점차 반복되는 절차에 지루함을 느끼고 수업에 집중하지 못했다. 반면 문학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은 활동의 참여에 대해 당혹감을 나타내기도 하고 수줍어 하기도 했으나 이야기의 전개에 관심을 갖게 됨에 따라 수업에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보다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해야 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넷째, 학습자가 가장 수업에 흥미를 가질 수 있을 때는 자신의 실제상황과 연관시킬 때이므로 교사는 수업을 계획하고 준비할 때, 교수·학습상황을 학습자 자신의 실제 상황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청각구두식 교수법에서는 주로 구두언어만을 접하므로 문자언어와도 친숙해 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함께 사용해야 하고, 문학중심교수법에서는 정확한 발음 및 말하기를 이끌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함께 실시하고 교실 내에 듣기센터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듣기·말하기활동을 격려해야 한다. 여섯째, 교사의 입장에서 두 교수법을 비교해 보자면 청각구두식 교수법이 일정한 교재와 교구가 갖추어져 있어 사용이 용이한 반면, 문학중심교수법의 경우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에 다양한 원어문학작품이 판매되고 있지 않아 교재의 선택에 어려움이 많으므로 문학중심교수법의 보급과 활용을 위해서는 교육부 차원에서의 많은 지원이 있어야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 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의사소통능력 = 5 B. 초등영어교수법 = 7 Ⅲ. 연구 방법 = 23 A. 연구 대상 = 23 B. 연구절차 및 방법 = 24 Ⅳ. 연구 결과 = 30 A. 교수법에 따른 영어성취도 검사의 차이 = 31 B. 성취도 검사 하부영역에서의 차이 = 32 C. 성별에 따른 영어성취도 검사의 차이 = 37 Ⅴ. 결론 및 제언 = 40 A. 요약 = 40 B. 결론 및 제언 = 41 참고문헌 = 44 부록 = 47 부록1 문학중심교수법에 의한 활동안 = 47 부록2 청각구두식교수법에 의한 활동안 = 53 부록3 영어성취도평가지 = 62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869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초등학교-
dc.subject영어교육-
dc.subject문학중심교수법-
dc.subject청각구두식교수법-
dc.title초등학교 영어교육에 있어서의 문학중심교수법과 청각구두식교수법의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mparitive study on the achievement test of Audio-lingual method and Literature based program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dc.format.pagevi, 6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