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숙원-
dc.creator문숙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5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5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4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535-
dc.description.abstract우리 역사교육계는 오래 전부터 역사지도를 이용하여 수업해왔다. 그러나 이때 역사지도는 역사적 사건이 발생한 장소를 확인하는 것에 그치거나 역사적 사실과 현상의 시간적․공간적 변천에 주로 주목하여 왔을 뿐 우리가 살펴보아야할 또 다른 요소인 역사적 사실의 현상과 지리적 요인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지고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점은 1995년 제6차 교육과정이 시행된 이후 현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역사교과와 지리교과가 여전히 공통사회라는 하나의 교과로 묶여있는 현 상황과 연관지어 생각해볼 문제이다. 현재 이들 교과는 단지 하나의 교과로 묶여있을 뿐 교과의 구성이나 내용에 있어서는 독립적으로 학습되고 있으며 이들을 연계하여 학습하는 것은 오로지 교사 개개인의 능력에만 의존되고 있을 뿐이다. 우리나라의 공통사회처럼 ‘Social Studies'라는 이름으로 일반사회교과와 더불어 역사교과와 지리교과가 하나로 묶여있는 미국의 경우에는 오래 전부터 역사와 지리를 연계하여 수업할 수 있는 하나의 틀(Framework)을 만들려는 시도가 계속되어 왔다. 그러한 연구들의 결과로 어떻게 역사적 사건에 지리적 요소를 연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여러 방안이 도출되었다. 그 중에 가장 기본적인 것은 5가지 지리적 주제요소-위치, 장소, 장소 간의 연관성, 이동, 지역-로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는 것이다. Rocca, Backler, Danzer 등의 여러 연구자들도 나름대로 이 둘을 연계하는 여러 방법들을 실제 지도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외국의 선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역사학습에도 사용될 수 있는 수업 안을 작성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때 수업내용은 최대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 ‘중학교 사회2’를 바탕으로 구성하였고 이 내용에 적당한 지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때 사용한 지도는 주로 The times history of the world (Timesbooks)에 삽입된 것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학습하기에 적당하도록 수정하거나 보완한 것으로 때로는 거의 새로운 지도로 다시 바꾸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제작된 수업 안을 실제 수업을 해보고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과거에 지도를 이용한 역사수업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으며 지도를 이용한 경우에도 지리적 연계를 시도한 경우가 없어서 이 연구에서 지도를 도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업내용을 구성하는 과정에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가 주로 반영되었다는 것이며 둘째, 수업을 실시하고 반응을 분석하는 경우 연구자가 현직 교사가 아니라는 한계로 수업 안을 실험하는데 많은 기회를 가지지 못하여 도출된 결과가 제한적일 수 있는 것이다.;This study was designed to incorporate maps into history educations with the aim of improving student's awareness of the influence of geography upon the historical events. Maps have traditionally been part of history education. However, more often than not, they have served only as fragmentary accounts employed to illustrate where historical events took place or to show how historical events have been changing in time and space. Maps should play a bigger role in history education. Visually maps can explain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ctivity and its physical environment locally, regionally, nationally, and globally by connecting historical events with geography. As a result, they can help students understand history through the relation of cause-and-effect and develop how to think historically. To take this advantage, history and geography have been integrated in a curriculum since 1995 in Korea. However, it is the integration only of the textbook remaining each subject still independent. Besides there is no framework how to connect history and geography. Therefore, it requires to have a discussion of it at present. To propose the framework, this study had tried to as follows: Firstly, introduce several theses of connecting history and geography using maps from overseas. Secondly, make a history teaching model by taking the strategies which were mentioned in the theses. Finally, give lessons in order to receive feedback from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model. The students' responses were very positive. During the lesson, students could be familiar with maps easily and understand human activities that is influenced by geographic fac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방법 및 내용 4 Ⅱ. 학습자료로서의 역사지도 7 A. 역사학습에서 지도의 의미 7 B. 역사와 지리 간의 연계 방안 9 Ⅲ. 수업 안 개발 17 A. 수업 선정 17 B. 수업 안 작성 20 C. 역사지도 활용 방법 24 Ⅳ. 수업 실시 및 반응 분석 47 A. 수업 실시 47 B. 반응 분석 48 V. 맺음말 53 참고문헌 55 부록 59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860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지도를 이용한 역사수업 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History Teaching Model by Using Maps : Connecting the awareness of the influence of geography upon historical events-
dc.creator.othernameMoon, Sook Won-
dc.format.pagevii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