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남북한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비교분석

Title
남북한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비교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history textbook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junior high school
Authors
최광미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Keywords
남북한중학교국사교과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recognition and description of history is analyzed by investigation of history texts being used in middle school of South and North korea. Especially, the purpose and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in junior high school of North Korea(4 years of middle school course, 2 years of high school), the reflection of Kim, Il-Sung's "Juche Ideology" to history text, and the representation of idolization of Kim, Il-Sung's family are investigated by comparing between the textbook of history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course and operation of education about history is also concerning in chapter 2. In case of North Korea, the course of education of junior high school, which make a comparing investigation. In case of South Korea, the 6th public announcement of course of education which is announcement on 30, june, 1992 and enforced in 1995, uses for the same reason. The operation and changes of history education,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selection of contents and structure of history education is found out by using above references. In chapter 3, the analysis of contents of textbook call "Chosun Ryoksa" is carried out. The main factors concerned about this investigation include structure, characteristics, amount of description and intention of edition for different field of history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of the texts of history being used in middle school in South and North Korea is in chapter 4.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study major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s are following : First, in North Korea, the description of modem history covers over 55 percent of the whole texts. That is the expression of Kim, Il-Sung's personal history and the only measurement of explanation is Kim, Il-Sung's "instruction". Both Kim, =Il-Sung's "instruction" and Kim, Jong-I1's "instruction" and Kim, Jong-Il's "admonition" come out in the texts. This is the reflection of idolization of Kim, Il-Sung's family. The book called "Kooksa" describes the system of the king's direct rule and the historical details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Second, the change into the feudal society starts from the time of "Koguryo" written in "Chosun Ryoksa" whereas in "Kooksa", this change is described as an expansion of centralized ancient kingdom. With the analytical point of historical view,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both but typical ancient kingdom with the central figure of strong royal authority is in ancient of three country. If the feudal society already had been built around the first and second century BC.,we should make a fundamental correction about the explanation of that society in the Middle Age. We don't overlook that society activity of the governing class comes to history with bureaucratic governed system and the at that times. In "Chosun Ryoksa", the description of history about the public struggle is in chapter is and 11, covered over 40 percent of the whole in South and North Korea is concerned, we should have a harmonic description about the wide activity the people. Third, there are some differences of contents and expression method on history texts in North Korea. The political consideration for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power of Kim's and the strengthening of "Juche Ideology(主體思想)" is in the new textbook. Even though demagogic expression is reduced, the contents of the texts use as a means to support the political system of North Korea. Moreover,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onversion of description of the texts is changed for amicable relationship 'to China and Russia. Finally, we should point out that the objective writing of ancient history is essential for the influence of history textbook to the public education. Understanding about the glory, wisdom, difficulty and tradition of our history should be served as a guide to the right way of our history. So the representation that the people's struggle against the feudal government is the process of making socialism for finding reasonable monology of developing history have to be changed. Above all, writing personal expression using the big capital letter shows the direction of today's history education and the real feature of history texts in North Korea. We should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about the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al difference of history in North Korea. For preparing the reunion of our people and the reeducation of our history.;본 연구는 남북한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민족동질성 회복의 차원에서 남북사이의 역사인식 상의 차이가 얼마나 있었던가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남북한 중학교 교육과정과 국사과 운영실태를 비교분석하였고, 구체적 연구로서 먼저 북한 「조선력사」 교과서의 내용을 상권·중권·하권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다음 남북한 중학교 국사교과서 목차 및 시대구분의 비교를 통하여 남북한의 역사인식상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내용의 비교에서는 시대구분(고대-중세-근세-근대)을 준거로 삼아 남북한 중학교 국사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은 현대사 서술을 전체의 55%나 할애하고, 그것이 김일성 부자의 개인의 역사 서술이므로 남한의 서술과 비교할 수 없어 제외하였지만, 남한의 현대사는 정권과 연관이 되어 그 비중이 다른 나라 역사교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너무 적다. 「조선력사」는 대부분 인민들의 투쟁을 표제로 내세운 반면, 「국사」는 1996년 교과서가 개편되면서 왕조사 중심의 정치사에서 탈피하여 시대중심의 주제사로 그 내용이 변화하려는 노력은 엿보이지만, 목차부분의 수정에 불과하다는 단점을 낳고 있다. 둘째, 「조선력사」에서는 고구려로부터 중세 봉건사회로 이행된다고 서술하였고, 「국사」에서는 고대 중앙집권국가의 형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역사해석의 견해로는 양쪽의 차이가 있겠으나, 삼국시대는 강력한 왕권을 정점으로 한 전형적인 고대국가이었다. 또한 전근대사회인 전통사회는 집권적 관료제도로서 정치의 주역이 지배층이었던, 그들의 활동이 역사내용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론 이 시기에도 기층사회를 구성하는 농민·천민들의 활동도 주요한 역사내용의 일부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조선력사」는 반봉건, 반외세투쟁과 관련된 농민투쟁과 인민들의 투쟁사실에 집중되어 있고, 역사교과서의 내용선정도 피지배계층의 관점에서 지배세력의 역할을 철저히 배제하는 계급투쟁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반면 「국사」는 정치·사회·문화 등 전반적인 역사내용을 서술하고 있지만, 왕조·정치 중심의 역사내용 비중이 높다. 셋째, 역사교과서 내용이나 서술방법의 차이점이다. 「조선력사」는 김일성 敎示, 김일성 諭示는 매우 중요한 내용으로, 매 단원(章) 또는 주제(節)의 앞부분에 나타난다. 이와 같이 북한의 역사교육은 김일성 부자에게 충직한 주체형의 공산주의 혁명가를 양성할 목적으로 반봉건, 반외세투쟁과 관련된 내용을 선정, 조직하고 있다고 하겠다. 반면, 「국사」교과서의 머리말을 살펴보면 "역사는, 단순한 과거가 아니라 살아 있는 과거이어야 한다는 말도 있다. 이는, 역사는 단순히 과거의 사실을 알려 주는 것만이 아니고, 역사로부터 교훈을 얻고, 오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혜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러한 역사에 대한 기대는 역사를 왜 배워야 하는가의 필요성을 지적한 말이기도 하다. 넷째, 우리는 국사교과서가 국민교육에 주는 영향과 의미를 보아 과거 사실의 객관적 서술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해야 할 것이다. 지난날의 영광과 슬기, 고난과 전통을 사실 그대로 전달함으로써 민족사의 올바른 방향제시에 길잡이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조 선력사」에 나타난 역사발전의 합법칙성 발견을 위한 사회주의 건설과정과 역사를 봉건통치 배들에 대한 인민들의 투쟁이라는 서술은 시정되어야 한다. 더구나 근대사에 있어서 김일 성일가의 왜곡된 날조는 민족정통성 회복을 위해서, 한국사의 왜곡과 사실의 날조를 바로잡기 위해서 우리는 북한의 국사교과서 내용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많은 한계점이 있지만 통일 이후 복원하게 될 새로운 국사교과서 편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주고 올바른 민족사 이해와 민족동질성 회복에 한 지름길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