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배현경-
dc.creator배현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3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5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3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531-
dc.description.abstract문호 개방 이후 한국 사회는 양반 지배 체제의 해체, 근대화를 향한 진통, 그리고 帝國主義 列强의 침략과 國權의 상실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한말의 대표적인 文人이자 歷史家였던 滄江 金澤榮은 이러한 격동과 시련의 한 시대를 살면서 우리 민족에게 자주, 자강 의식을 고취시키고 민족 문화 기록의 보존이라는 목적에서 많은 歷史書를 저술하였다. 그러나 그동안의 국내 학계에서는 金澤榮의 漢文學史 上 뛰어난 문장가로서의 측면만이 강조되었을 뿐 그의 歷史家로서의 면모는 제대로 밝혀지지 못한 형편이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金澤榮 史學이 지니는 韓國 史學史에서의 위치나 역할 등을 규명하기 위해 그의 대표적인 역사서인 「歷史輯略」의 특징을 고찰하고 「歷史輯略」에 나타난 古代史 認識과 同時代 역사가로서 玄采와 申采浩의 古代史 認識을 비교, 검토해 보았다. 지금까지 金澤榮 史學은 '啓蒙史學'으로 간주하여 '民族史學'과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金澤榮의 계몽사학을 비판하는 申采浩의 민족사학'이라는 틀안에서 두 사람의 역사 인식을 이해해 왔다. 그러나 金澤榮과 申采浩는 고대사 인식에 있어서 본래 같은 실학의 연구업적을 토대로 해서 출발하였을 뿐 아니라, 金澤榮의 역사 인식은 계몽 사학만으로는 이해 할 수 없는, 민족 사학과의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金澤榮 史學이 지니는 민족주의적인 측면을 보면 첫째, 대한제국기 및 일제의 침략이 진행되는 위기 상황 속에서 민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韓國 通史를 서술했다는 점이다. 그것이 「歷史輯略」인 데, 「歷史輯略」은 金澤榮이 學部에서 근무하면서 初學者를 위한 체계적인 本國史의 필요성을 느껴 저술한 책이다. 세계 질서의 새로운 변화를 인식하고 자주, 자강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끼면서, 오류와 편견이 없는 올바른 歷史書를 만들겠다는 一念에서 완성된 이 책은 開化期의 대표적인 역사 교과서이자 金澤榮 歷史認識의 原典이기도 하다. 둘째, 고대사를 系譜的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이다. 그는 18-19세기 실학자 安鼎福과 丁若鏞의 역사연구를 계승하여, 민족의 정통성을 세우기 위해 우리민족의 연원을 檀君에서 시작, 箕子 - 馬韓 - 三國 - 統一新羅로 이어지는 역사 체계를 중시하였다(馬韓正統論). 이는 外紀가 아닌 本紀에서 단군에서 시작되는 고대사의 체계를 생각하여 우리 민족 開國의 上限線을 높이고, 종래 중국에 대한 事大主義에서 벗어나 한국 역사의 독자성을 강조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金澤榮은 실학기의 역사 인식을 계승하고 종래의 역사서와는 비교할 수 없이 많은 자료를 참조한 實證的 방법으로 역사를 서술함으로써 역사 인식의 폭을 넓혔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金澤榮의 고대사 인식은 玄采에게도 계승되어 「東國史略」(1906)과 그 이후 편찬되는 개화기 역사 교과서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음은 물론이다. 金澤榮은 「歷史輯略」에서 역사의 주체를 국왕으로 보고 編年體의 전통적인 서술 방법을 그대로 답습하였다. 그러나 그가 전통적인 儒敎敎育을 받은 사람으로서, 격동하는 한말의 시대적 상황 하에서 한국의 通史를 저술하고, 민족의 정통성을 밝힘으로써 민족적 자부심과 독립심을 고취시키고자 노력한 것이나, 우리 역사의 체계화, 고대사 上限과 폭의 확대, 역사 서술에 있어서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사료 연구 등의 노력은 金澤榮의 역사 의식이 그시대 상황 하에서도 다분히 近代的이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요컨대 金澤榮은 대한 제국기에서 일제 침략기에 걸친 역사의 전환기에 국사 교과서를 편찬해 국사의 通史的 體系를 확립하려고 시도하였으며, 그가 儒學에 바탕을 두고 있으면서도 古來의 역사 인식에 새로운 시각을 가져다준 것은 선구적인 시도로 평가되지 않으면 안된다.;With the opening of ports in 1876, the Korean society was in the throes of a sudden breakdown of feudalism and a movement into modem society, and it was also suffering from the aggression of the Empires and from the loss of national rights. During this period of the severest shocks and the bitterest trials in Korean history, Kim Taek-Young, an outstanding historian and prominent writer, wrote many Korean history books to inspire the awareness of sovereign independence and strenuous efforts, as well as, the conservation of national culture throughout his work. But in Korean academics, Kim Taek-Young is considered a distinguished scholar of Chinese classics but has yet to be identified as a knowledgeable historian. The purpose of the monograph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Yeoksa Chipyak」(歷史輯略) by Kim Taek-Yong, and compare his recognition of the ancient history represented in this work with those of contemporary historians, Hyun Chae and Shin Chae-Ho in order to examine the position and role of Korean history. It has thought that the historical science of Kim Taek-Young was regard as 'a historical science of enlightenment' , rather than as 'a historical science of nationalism'. Accordingly, the historical science of enlightenment by Kim Taek-Young has been recognized as a part of 'the historical science of Shin Chae-Ho. However, both Kim Taek-Yong and Shin Chae-Ho based their recognition of the ancient history on studies of 「Silhak」(實學). Historical recognition of Kim Taek-Young cannot be understood only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ical science of enlightenment. It has common point of view with the historical science of nationalism. The aspects of nationalism represented in the historical science of Kim Taek-Young summed up as follows. First, Kim Taek-Young wrote Korean history books to alleviate racial problems and the severe conditions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and Japanese colonialism. He noticed a new change of the world order and keenly realized the importance of independence and strenuous efforts. With an earnest desire to write a correct history book without error and prejudice, he completed 「Yeoksa Chipyak」 to ensure novices understanding of this period in national history while serving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ly, Kim Taek-Young recognized the ancient history from the standpoint of genealogy. He followed the approaches of Ahn Jung-Bok and Chung Yak-Yong, scholars of 「Shilhak」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and emphasized the historical genealogy of Korean orgin in 「Dankoon」(檀君), followed by Kicha(箕子) - Mahan(馬韓) - Samkook(三國) - Tongilsilla(統一新羅)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Mahan Orthodox Theory). In the 「Dankoon Chosunki」(檀君朝鮮記) section of 「Yeoksa Chipyak」, he claimed that the ancient history originated from 「Dankoon」. As a result, Korea's foundation had gone back gone back father than was first assumed and emphasis was put on the independence of Korean history, free from Chinese submission. Lastly, Kim Taek-Young studied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Shilhak」. and furthered historical understanding positively through extensive data beyond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history books. As mentioned above, there is no doubt that Kim Taek-Young's approach to the ancient history had great influence of 「Tongkook Saryak」(東國史略) by Hyun Chae(published in 1906) and various history books published in the period of civilization. Kim Taek-Young put kings on the subjects of history and wrote 「Yeoksa Chipyak」 in traditional chronological style. Even though he was educated in the period Confucianism, his historical recognition shows not only traditional elements but also partial modern characteristics as well. The Korean history books that he wrote were during the violent and shaky period of the late Chosun. He made great contribution toward inspiring the awareness of Korean self-confidence and sovereign independence. He al so made every effor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systematize its history, expand the comprehension of the ancient history, and scrutinize historical records positively and scientifical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序論 = 1 Ⅱ. 金澤榮의 社會意識과 學問活動 = 4 A. 生涯와 交友關係 = 4 B. 社會意識과 對外認識 = 12 C. 學問과 著述活動 = 17 Ⅲ. 金澤榮의 歷史認識 = 23 A. 開化期 敎科書의 歷史認識 = 23 B. 『歷史輯略』 敍述의 意圖 = 28 C. 『歷史輯略』 의 內容體系와 그 特性 = 31 Ⅳ. 金澤榮의 古代史 認識 = 39 A. 古代史의 構想 = 39 B. 玄采의 古代史 認識과의 比較 = 53 C. 申采浩의 古代史와 認識과의 比較 = 59 Ⅴ. 結論 = 66 참고문헌 = 70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281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창강-
dc.subject김택영-
dc.subject역사인식-
dc.subject역사집략-
dc.subject고대사-
dc.title滄江 金澤榮의 歷史認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歷史輯略에 나타난 古代史 認識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Changkang Kim, Taek-Young's Historical Recognition : focused on the ancient recognition represented in 「Yeoksa Chipyak」-
dc.format.pagevii, 7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