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선영-
dc.creator안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6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2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성인의 행동양식 및 성격발달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유아기 성역할 발달 중 가장 기초가 되고 있는 성이해와, 성역할 지식, 성역할 선호간의 관계규명 및 각각에 대한 성별 및 연령별에 따른 발달양상을 조사함으로써, 유아기 성역할 발달에 관한 하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다섯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성이해는 성별 및 연령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성역할 지식은 성별 및 연령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성역할 선호는 성별 및 연령별에 파라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가? 4. 유아의 성이해와 성역할 지식간에는 의미있는 관계가 있는가? 5. 유아의 성이해와 성역할 선호간에는 의미있는 관계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밝히기 위하여 유치원에 다니고 4,5세의 남, 여 유아 6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성이해를 검사하기 위한 도구로는 Slaby와 Frey (1975)가 그들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10개의 질문내용을 번역하여 그대로 사용했고, 유아의 성역할 지식 및 성역할 선호를 검사하기 위한 도구로는 Edelbrock와 Sugawara(1978)가 고안한 SERLI(Sex Role Learning Index)를 번역,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성이해와 성역할 지식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성이해와 성역할 선호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r로 산출하였으며, 성이해, 성역할 지식 및 성역할 선호에 대한 성별 및 연령별에 따른 의의도는 t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성이해는 성별 및 연령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2. 유아의 성역할 지식은 성별 및 연령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3. 유아의 성역할 선호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없으며, 연령별에 따라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P<. 001). 즉, 연령이 증가할수록 동성지향성이 뚜렷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 유아의 성이해와 성역할 지식간에는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P<.05). 즉, 성이해 정도가 높을수록 성역할 지식을 더 많이 소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여아의 경우 남아에 비하여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이 나타났다. (P<.01). 5. 유아의 성이해와 성역할 선호간에는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없었다.;This study is to suggest one fundamental information on early childhood sex role by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gender understanding, sex role knowledge, and sex _role itself 'that determine adults‘ behavioral modes and character: development, and developmental aspects of each of. them according to sex or age. To accomplish this, the following five question have been selected :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gender understanding according to sex and age?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ex role knowledge according to sex and age?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ex role preference according to sex and age? 4.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hildren's gender understanding and sex role knowledge? 5.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hildren's gender understanding and sex role preference? To understand children's thought of gender, the researcher developed ten questions presented by Slaby & Frey (1975) in their study. And in examining children's sex role knowledge and preference, the research has modified SERLI (Sex Role Learning Index) devised by Edelbrock & Sugawara (1978). Pearson's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correlativity between children's gender understanding, sex role and sex role preference; and as to the degree of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gender understanding, sex role knowledge and preference according to sex or age, t-test was comp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gender understanding according to sex and age. 2.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ex role knowledge according to sex and age. 3.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ex role preference according to sex,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P .00l). That is, the older children become, the more strikingly they become oriented to the same sex. 4.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gender understanding and sex role knowledge (P .05). Tha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gender understanding, children have much more sex role knowledge, and especially this tendency is obvious in girls rather than boys (P .0l). 5. There wasn'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gender understanding and sex role prefer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성역할의 개념 및 성역할의 발달이론 = 7 1. 성역할의 개념 = 7 2. 성역할의 발달이론 = 8 B. 유아의 성역할 개념발달 = 13 1. 유아의 성이해 발달 = 14 2. 유아의 성역할 지식발달 = 16 3. 유아의 성역할 선호발달 = 18 C. 선행연구 = 21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도구 = 26 C. 연구절차 = 27 D. 자료분석 = 30 Ⅳ. 결과 및 논의 = 32 A. 결과 = 32 B. 논의 = 38 Ⅴ. 결론 및 제언 = 42 A. 결론 = 42 B. 제언 = 43 참고문헌 = 44 부록 = 48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008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성역할-
dc.subject유아교육-
dc.subject교육학-
dc.title유아의 성역할 개념 발달에 관한 기초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