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미희-
dc.creator신미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6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2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또래관계에서 인기도에 따라 사회·정서적 특성 중 자아개념과 사회성숙도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 목적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인기도와 자아개념간의 관계 2. 인기도와 사회성숙도간의 관계 3. 자아개념과 사회성숙도간의 관계 연구방법으로서는 부산시에 위치한 J국민학교에 다니는 2학년 아동 343명 중 인기도 검사에 의거 인기아, 비인기아, 외톨이로 선정된 아동 99명을 대상으로 하여 아동에게는 자아개념 검사를, 아동의 어머니를 통해 아동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Moreno의 사회성 측정법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작성한 인기도 검사와 Shiffler의 자아개념 검사, 그리고 김 승국, 김 옥기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로 전산처리하였는데 각 자료간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적률상관계수 r을 산출하였고, 집단별로 자아개념과 사회성숙도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분산분석과 t검증을 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에 의거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기도와 자아개념간에는 유의한 차가 있었다. 즉, 인기아는 비인기아, 외톨이보다 자아개념이 더 높았다. 2. 인기도와 사회성숙도간에는 유의한 차가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opularity of peer relation, self-concept and social maturity among socio-emotional characteristics. The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popularity and self-concept? 2.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popularity and social maturity? 3.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social maturity ?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total of 99 of popular children, rejected children and isolate children, selected by popularity test among 434 second graders of J elementary school in Busan. Self- concept test was given to the children and social maturity test to their mothers. The instruments employed in the study are popularity test revis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Moreno's sociometry, Shiffler's self-concept test, social maturity test of Seung-kook kim and Ok- kee Kim. Data was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of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Anova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pularity and self- concept: Popular children showed higher self-concept than rejected children or isolate children.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pularity and social maturity: Popular children showed higher social maturity than rejected children or isolate children.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social matur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social maturity among popular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및 가설 = 3 C. 용어의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사회성 발달 = 5 B. 인기도 = 9 C. 자아개념 = 11 D. 선행연구 = 15 Ⅲ. 연구방법 = 20 A. 연구의 대상 = 20 B. 연구의 도구 = 21 C. 연구의 절차 = 24 D. 자료처리 = 24 Ⅳ. 결과 및 해석 = 25 A. 인기도와 자아개념간의 관계 = 25 B. 인기도와 사회성숙도간의 관계 = 27 C. 자아개념과 사회성숙도간의 관계 = 29 Ⅴ. 요약 및 결론 = 31 A. 요약 = 31 B. 결론 = 32 참고문헌 = 34 부록 = 38 ABSTRACT =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45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또래관계-
dc.subject인기도-
dc.subject자아개념-
dc.subject사회성숙도-
dc.title또래관계에서의 인기도와 자아개념 및 사회성숙도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lationship between popularity of peer relation, self-concept and social maturity-
dc.format.pagevii, 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