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0 Download: 0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기질 및 만족도에 따른 문제행동

Title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기질 및 만족도에 따른 문제행동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s behavior problem in kindergarten and the goodness of fit between the child's behavior problem and two factor : mother's satisfaction with her child's temperament and the degree of similarity in temperament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
Authors
김민희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유아기질어머니만족도문제행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과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와 어머니-자녀간 기질의 유사정도에 따라 유치원에서의 문제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유치원에서의 문제행동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유아의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는 유치원에서의 문제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부모-자녀간 기질의 유사정도는 유치원에서의 문제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 7개 유치원에 다니는 만 3세에서 만 5세의 유아 405명과 그들의 어머니 및 담임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Buss와 Plomin(1984)의 「유아용 기질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기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인용 기질 검사」를 사용하였다 또 문제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Behar와 Stringfild(1974)의 「유아의 행동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 관계를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은 유치원에서의 전반적인 문제행동과 상관 관계가 있었다. 정서성 기질에 있어서는 정서성이 높게 나타난 유아들일수록 유치원에서 적대-공격성, 걱정-불안, 과잉행동-산만의 문제행동을 많이 보였다. 또한 활동성과 사회성 기질에 있어서 활동성과 사회성이 높을수록 유아들의 과잉행동-산만, 적대-공격성 행동이 많이 나타났고, 반면에 활동성과 사회성이 낮을수록 걱정-불안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에 대한 만족도와 문제행동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어머니가 유아의 정서성 기질에 만족할수록 유아의 걱정-불안, 적대-공격, 과잉행동-산만의 문제행동을 적게 나타냈다. 어머니가 유아의 사회성 기질과 활동성 기질에 대해 만족할수록 걱정-불안 행동을 적게 보였다. 셋째, 어머니-자녀간 기질의 유사정도에 있어서는 활동성 기질에서만 적대-공격성 행동과 과잉행동-산만의 문제행동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s temperament and child's behavior problem in kindergarten by explaining th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nd (2) to determine the goodness of fit between the child's behavior problem and two factors: a mother's satisfaction with her child's temperament and the degree of similarity in temperament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409 children, from seven kindergartens in Seoul, between the ages of three and five,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a two-part questionnaire. The first part which adopts the "Temperament Questionnaire" developed by of buss and Plomin focuses on the temperament of the child and adult, and the second part which adopts the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 created Behar and Stringfild focuses on the child's behavior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temperament of child and the behavior problem in a kindergartens. A child's emotionality factor was shown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hostile/aggressive, anxious/fearful and hyperactive/distractible behavior problem. Soci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yperactive/ distractible and hostile/aggressive,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 child's sociability factor and anxious/fearful tendencies.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yperactive/distractible and hostile/aggressive,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 child's activity factor and anxious/fearful tendencies. 2. The mother'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her child provided a higher goodness of fit with the child's behavior problem than the degree of similarity in temperament between mother and child. A mother's satisfaction with her child's emotional temperament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anxious/fearful, hostile/aggressive, and hyperactive/distractible behavior problem. A mother'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her child's activity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xious/fearful behavior problem. A mother's degree of satisfaction of her child's sociability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anxious/fearful behavior problem. And only the degree of similarity of the activity temperament between mother and child was found to be meaningfully correlated with hostile/aggressive and hyperactive/distractible behavi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