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실-
dc.creator김영실-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4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5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유아를 보내고 있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그에 따른 차이가 무엇인지를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과 어린이집 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과 어린이집 부모들의 유치원 종일반 운영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치원과 어린이집 부모들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이외에서의 학습활동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4. 유치원과 어린이집 부모들의 유아교육 발전을 위한 정부 지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5. 유치원과 어린이집 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 일원화 및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이 된 기관은 총 13개 기관이며, 서울시내 소재 2개 교육청에 속한 7개의 유치원과 2개 행정구청에 속한 6개의 어린이집 부모들 총 3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나정, 천세영, 장명림(1996)의 '유치원 공교육화를 위한 단계적 발전 방안 연구'에서 유치원 교육에 대한 국민의식과 요구를 조사하기 위한 문항과 여러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문항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이러한 응답이 두 유형의 유아교육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χ^(2) 검증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의 부모들은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할 때, 그 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그 기관을 다니는 이유는 역시 '교육 프로그램이 좋아서' 라는 응답을 보인 반면, 어린이집의 부모들은 교육기관을 선정할 때는 자녀들을 위해 시설 및 교육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지만, 그 기관을 다니게 되는 이유에 대하여는 유아를 맡기는 시간에 비중을 많이 두는 것으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두 개의 기관을 전체적으로 볼 때 부모들은 유아교육기관의 시설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바람직한 취원 연령으로는 유치원이 만 4~5세, 어린이집이 만 3~4세로 나타났고, 특히 어린이집 부모들은 만 2세아 취원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보여 전체적으로 볼 때 만 2세와 만 5세에 취원하겠다는 응답이 비슷한 지지율을 나타냈다. 학급 편성에 대하여는 두 개의 기관 모두 동일 연령 집단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불만 사항으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공통으로 학급당 유아가 너무 많다는 데 불만을 나타냈고, 이러한 결과는 취업 비취업모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유치원의 종일반은 지금보다 더 활성화되기를 바라고 있으며, 일일 활동시간으로는 취업 유무에 관계없이 7시간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비취업모를 대상으로, '아이를 맡기는 시간이 자유롭고 집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이 양질의 교육과 보호를 겸해서 실시한다면 취업을 하겠느냐'는 질문에, 꼭 취업을 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 자신을 위한 시간에 투자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셋째, 두 기관의 부모들은 유아교육기관을 전인 교육의 장소가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방과후에는 타기관으로 가거나, 유아교육기관에서 특별 학습을 해 주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이유로는 첫째로 초등학교에 대한 준비 교육이 되기를 원했고, 두 번째로는 특기 교육을 받기를 원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의 부모들은 대부분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가 정부의 지원이 똑같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부가 유아교육 발전을 위해 교육비를 경감해 주기를 원했으며, 쾌적한 유아교육 환경을 위한 시설을 해줄 것을 기대하며, 이에 대한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다섯째, 현재 유아교육의 이원화 체제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볼 때 알고 있는 부모보다는 모르고 있는 부모들이 더 많았고, 특히 유치원 부모가 어린이집 부모보다 더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부모들은 유아교육의 일원화가 꼭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일원화가 된다면 현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통합하여 유아학교로 만들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방향은 취학전 1년간의 교육을 의무 교육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This study, setting up parents who are sending their children to kindergarten or child daycare center as its subject, aimed at analyzing the degree of their recogni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manage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is aim, several issues were set up as a subject for discussion as follows: 1. How is kindergarten-or daycare center-goers' parents'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2. How is parents' recognition of kindergarten full-day-program? 3. How is parents' recognition of the institution's educational activities 4. How is parents' recognition of the governmental support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5. How is parent's recognition of the unif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or making it public? For this study, total thirt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345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 seven kindergartens belonged to two Offices of Education and six daycare centers belonged to two government district offices in Seoul were sampled as a subject. As for the methodology of study, a questionnaire on the recogni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was made and used to carry out a questionnaire research.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items of question chosen from "A study of the plans for the gradual development toward public educationization of kindergarten" (Na Jung, Chun Se-Young, and Jang Myung-rim; 1996) and another precedent studies directly made by the author to investigate people's recognition of and demand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 And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the items into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done χ^(2)-test to se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y the two institutional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consequenc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child daycare center, parents recognize the difference in the substance of education. Also, when choosing educational institution, kindergarteners' parent think educational program is more important while daycare center-goers' parents put more gravity upon the time of care and parents think appropriate kindergarten age is 4 or 5 and daycare center age 3 or 4. Second, About managing full-day-program, most of the parents answered that they hope the management could be more activated than now. Third, though parents agreed that an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be a place of integrated education, they wanted children to do mor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ter class, thus needing mor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itself. Fourth, most of the parent recognized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need governmental support among which financial support to the area of facilities and equipment is demanded in the first place. Fifth, parent didn't know well about the dualized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they though unification of education is necessary and, as to the department in charge of unifying education toward public one, they mostly answered that it should be the Department of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아교육의 개념 및 중요성 = 5 B. 유아교육기관 = 9 C. 유아교육 정책분석 = 12 D. 유치원 종일반 = 26 E. 선행 연구 = 28 Ⅲ. 연구 방법 = 32 A. 연구 대상 = 32 B. 연구 도구 = 34 C.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35 Ⅳ. 결과 및 해석 = 36 A. 유아교육기관의 차이점에 대한 인식 = 36 B. 유치원 종일반 운영에 대한 인식 = 45 C. 유치원과 어린이집 이외에서의 교육 활동에 대한 인식 = 49 D. 정부의 유아교육 지원에 대한 인식 = 55 E. 유아교육 정책의 일원화 및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 = 58 Ⅴ. 논의 및 결론 = 65 A. 논의 = 65 B. 결론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4 부록 = 79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878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교육기관-
dc.subject부모-
dc.subject유치원-
dc.subject어린이집-
dc.title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arents' Perception towar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dc.format.pageix, 9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