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독일 정치교육 분석

Title
독일 정치교육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germany's political education
Authors
윤재연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Keywords
독일정치교육민주시민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독일은 40여년에 걸친 민족분단을 극복하고 1990년 마침내 통일을 달성하였다. 독일통일의 내적요인은 동독에 대한 서독 체제의 절대 우위 확보로써, 여기에는 민주적 정치교육이 상당히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통일 후 독일의 제도적·정치적 통합은 완성되었지만 국민적 통합은 아직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국민적 통합, 즉 시민사회의 결속은 시민이 가진 정치의식에 좌우되며, 이 정치의식은 정치교육에 따라 결정된다. 서독이 통일에 대비하여 독일민족의 동질성 회복을 위해 어떻게 정치교육을 계속해 왔는가 하는 것을 살펴보는 것은 앞으로 우리에게도 실현되어야 하는 '남북통일'이라는 민족적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일의 통일을 전후한 정치교육의 이념과 실태, 문제점들의 분석을 통해 통일기반 조성책의 일환으로 통일을 대비하는 남한 주민들에 대한 정치교육은 물론, 통일이후 남북한 주민간의 국민대통합을 위한 정치교육에 관한 기초자료의 제공 및 시사점을 인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독의 민주정치교육은 건전한 시민의식을 함양하고 자유민주주의 원칙에 따라 국민 개개인이 자아실현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실시되었다. 서독의 정치교육도 연방정치교육본부를 중심으로 학교기관, 교회, 노동조합, 정당등 사회 각층에서 민주적생활방식을 익히고 정치적 사회적 현실을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통찰력과 비판적 인식능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자율적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반해 동독에서는 사회주의적 인간양성을 목적으로 공산주의 체제 수호를 위한 정치교육이 실시되었다. 통독이후 분단 40여년동안 교도주의적이고 전체주의적인 체제하에서 이루어진 구동독사회주의 이념과 질서가 무너지면서 새로운 민주정치제도에 적응해야하는 동독 주민들의 심리적 이질감은 많은 사회적 문제점을 파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통일이후 독일의 정치교육은 동독주민들을 서독의 자유민주주의적 다원주의 체제로 동화시키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즉, 동서독 주민간의 심리적 갈등을 해소하면서 내적 통일기반 조성에 정치교육이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여 국민을 통합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독일의 정치교육 사례는 여러 측면에서 한국에 좋은 모범이 된다. 특히 통일에 따른 급격한 변화와 다양한 균열에 직면하여 전체 사회적 통합을 달성해야 하는 과제는 정치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높여준다. 그러므로 통일 이전 남한 시민들의 민주시민의식의 함양은 물론 통일후 남북 이질화에 따른 후유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정치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치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독일의 민주화에 기여한 '동반자 관계'를 한국 정치교육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통일대비 정치교육은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독일의 정치교육 사례와 같이 민주정치교육의 틀안에서 다양한 의견들이 공통의 가치를 발견해 나갈 수 있도록 실시되어야 한다.;After 40 years of national division, Germany finally achieved unification in 1990. The inner factor of Germany's unification was the assurance of the absolute superiority of West Germany's system over East Germany's, and democratic political education may be said to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is. Although institutional and political integration had been completed after the unification, more time was needed to achieve a true national integration. National integration, in other words a united civil society, depends on the 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and this political consciousness is formed by political education. Therefore, by studying what sort of political education West Germany enforced to regain national homogeneity in view of unification, we may be able to prepare ourselves for the national task of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bout not only political education for the South Korean people in preparing the foundation for unification, but also about the national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fter the unification is achieved, by analysing the ideologies, realities and problems of the political education before and after Germany's unification. West Germany enforced democratic political education with the purpose of cultivating sound civil consciousness and helping each individual attain self-realiz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freedom and democracy. West Germany's political education consisted of learning democratic ways of life in all levels of society-schools, churches, labor unions, political parties-with the federal political education headquarters as the main center, and in developing insight and critical cognition to correctly judge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On the other hand, East Germany enforced political education with the purpose of training socialist-minded human beings to safeguard communism. As the ideologies and order of West Germany which had been constructed by a guided totalitarianism for 40 years collapsed, the West German people experienced psychological heterogeneity as they were trying to adapt to new democratic political institutions, which led to many social problems. After the unification, political education has contributed much to overcoming these problems and assimilating East German people to West Germany's free democracy and pluralism. In other words, political education has played a substantial role in relieving the psychological tension between the West and East German people, and preparing the basis for an inner integration. These examples of Germany's political education act as a model for Korea in many ways. Since unification is followed by rapid changes and various ruptures, political education is especially needed to effect a total social integration. Therefore, political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not only to cultivate the democratic civil consciousness of the South Korean people, but also to minimize the aftereffects of national heterogeneity following unification. In order to enforce this kind of political education, the concept of 'companionship' which contributed to the democratization of Germany should be studied so it may be adapted to Korean political education. In preparing for unification, political education, as seen in the examples of Germany, should be enforced so that various opinions may discover common values within the frame of democratic political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