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安鏞順-
dc.creator安鏞順-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1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7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745-
dc.description.abstract현행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점의 하나로 전통을 바탕으로 한 민족문화의 창조라는 구절이 있다. 또한 음악교육 내용 선정의 하나로 전통음악의 내용을 강화하도록 한다는 항목도 있다. 이와같이 교육에 있어 주체성있는 교육을 하자는 점에 있어서는 누구도 반대하지 않으나 실제로 음악교육에서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만약 정선된 전통음악내용의 교재가 만들어지지 않고 전통음악을 강화한다는 명시가 현장교육에서 실시되지 않는다면 전통음악의 창조와 계승이란 말은 탁상공론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1984년부터 사용한 현행 5종의 교과서가 학생들에게 전통음악을 이해하는데 어떤 내용 구성으로 이루어졌으며 구 교과서와 비교하면 그 내용은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알아보아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인 내용 선정인지 알아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舊 교과서와 현행 5종의 교과서 내용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舊 교과서보다 현행 교과서의 전통음악 내용은 대체적으로 불충분하게 내용이 선정되었으며 그 비율도 오히려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것은 舊 교과서는 1종 교과서로서 2종 교과서인 현행 교과서보다 균형있는 편집원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리된다. 2. 가창재료로 舊 교과서는 민요외에 시조 등을 포함한 반면에 현행교과서는 민요만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민요외에 歌曲·歌詞·時調 등으로도 가창재료를 삼을 수 있고 또한 이들은 장단학습을 병행할 수 있으며 리듬감을 포함한 기본능력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형태의 가창재료를 선정해야 한다. 3. 新·舊 교과서 모두가 기악학습에서 리듬악기인 장구만을 대부분 소개하였는데 리듬악기 이외에 가락악기인 단소를 소개한다면 학생들에게 국악의 가락과 선율을 동시에 이해시키고 정간보를 이용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전통악기의 소개가 불충분하게 다루어진 것이 아쉬운 점의 하나로 지적될 수 있다. 4. 舊 교과서에서는 감상곡들로 창작곡과 민요를 제시한 반면에 현행교과서는 창작곡을 제외한 곡들을 소개하였다. 만약 이들을 상호 보완해서 전통음악곡부터 창작곡까지를 감상곡으로 소개한다면 학생들의 창작성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가 전통음악을 기초로 하여 이를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One of the objectives pursued actively with major emphasis in the present school curriculum is the creation of the national culture on the basis of our tradition. Set forth in writing clearly in the contents of music education is the endeavor to strengthen the cont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eaching. Although there is no one who is opposed to providing education with our national identity in mind, it is a well-known fact that we failed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almost in music education. If the objective of strengthen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eaching without compiling teaching materials in which its contents are selected strictly, the slogans of inheriting and creat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remain an empty desk theory. This thesis is aimed at clarifying of what contents the five different textbooks in use since 1984 consist in order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hat revision they underwent in terms of contents when compared with the former textbook. The aim is to show of what contents the future textbooks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hould consist to achieve the highest efficiency.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former textbook with the five new textbooks for the above purpose are as follows: 1. The contents of the present textbooks, generally speaking, were selected imperfectly in comparison with the former textbook and the ratio among units is rather lower. It is assumed that this was coused by the fact that the former textbook, only one in number, was compiled with greater balance than the present text-books, five in number. 2. As materials for singing the former textbook included sijo in addition to folk songs whereas the present textbooks deal only with folk songs. As kagok, kasa, and sijo besides folk songs can be treated as materials for singing, they are ideal for group Lessons, and the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basic ability of students including their response to rhythm, they should have been selected as part of materials for singing of various forms. 3. Both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s mostly introduce only the changgo, an instrument of rhythm, for instrument lessons. If the Danso, an instrument of time, were introduced in addition to the instrument of rhythm, it would help students greatly in understanding both the rhythmic and melody of Korean music and w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m to attend lessons utilizing Cheong gan bo (a Korea record note). 4. Whereas the former textbook presented both the Korean traditional creative works and folk songs for appreciation, the present textbooks excluded new the Korean traditional creative works. If work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raditional creative works were introduced in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s, would riot only help students develop their creativity but provide a teaching method that offers valuable guidance to students when they inherit and creat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緖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問題 = 2 C. 硏究方法 및 範圍 = 2 D. 用語의 定義 = 3 Ⅱ. 一般的 考察 = 4 A. 解放以後의 敎育課程 = 4 B. 國樂敎育의 흐름 = 7 Ⅲ. 敎科書 分析 = 10 A. 舊 敎科書의 傳統音樂 內容分析 = 10 B. 現行 敎科書의 傳統音樂 內容分析 = 21 C. 舊·現行 敎科書의 傳統音樂 內容比較 = 38 Ⅳ. 結論 및 提言 = 45 參考文獻 = 47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71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현대-
dc.subject중학교교과서-
dc.subject전통음악-
dc.title現行 中學校敎科書의 傳統音樂內容分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FROM THE JUNIOR HIGH MUSIC TEXTBOXS NOW IN USE-
dc.format.page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