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숙도 및 인기도와의 관계연구

Title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숙도 및 인기도와의 관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 young children's social growth and popularity
Authors
박정선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어머니양육태도유아사회성숙도인기도유아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숙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인기도 및 유아의 사회성숙도와 인기도와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를 위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숙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인기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의 사회성숙도와 인기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숙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인기도 및 유아의 사회성숙도와 인기도간 관계는 어떠한가? 위의 문제들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부속유치원 유아 61명과 그들의 어머니 6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코리안테스팅센터에서 제작한 오 기선의 어버이와 자녀관계 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사회성숙도검사는 한국행동과학연구소에서 제작한 사회성숙도 검사를 이용하였으며 인기도 검사는 검사자가 질문 문항을 작성하여 이용하였다. 조사결과 수집된 자료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사회성숙도, 인기도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평균과 평균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을 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거부적, 보호적, 복종적, 모순불일치적이 아닐수록 유아의 사회성숙도는 높았다. 사회성숙도 하위요인과 어머니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 성숙도는 거부형, 복종형, 모순불일치형, 보호형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의사전달하기 성숙도는 거부형, 보호형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운동하기 성숙도는 지배형, 모순불일치형과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스스로하기 성숙도는 거부형, 보호형, 복종형, 모순불일치형과 정적인 상관을 이루었다. 2.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거부적, 지배적, 보호적, 복종적, 모순불일치적이 아닐수록 유아의 인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아의 사회성숙도와 인기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사회성숙도 하위요인과 인기도와의 관계에서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 스스로 하기 성숙도는 인기도와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운동하기, 의사전달하기 성숙도는 인기도와 부적인 상관을 이루었다. 4.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사회성숙도와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성숙도 하위요인과 어머니 양육태도와의 관계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인기도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지배형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아는 지배형이 인기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아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성숙도와 인기도와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의사전달하기만이 차이가 있었다. 즉 남아는 의사전달하기와 인기도가 부적인 상관을 보인 반면에 여아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agnosis test for parent-child relation made at Korean Testing Center was used. For social growth test, the social growth test made at Korean Behavioral Science Institute was used. To examine the popularity, the present investigator made own questionnair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o check the 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ll types of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social growth showed some meaningful correlation. At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 and the sub-cause of young children's social growth, the rejection typ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t autonomy and socialization. At the same realm, the domination typ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at locomation, the protection type and the obeying typ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t autonomy and socialization. The inconsistency---discord typ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t socialization and autonomy, negative correlation at locomation. 2. All types of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popularity showed some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3. Between young children's social growth and popularity, som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n. The relation between sub-cause of social growth and popularity, autonomy and socializ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popularity, locomation and communic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o popularity. 4.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social growth showed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 That is, boys at protection type and girls at domination type didn't show any relation to the social growth. When we see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 and sub-cause of young children's social growth according to the sex, at rejection type only boy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o locomation and communication. At domination type, only boy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autonomy and socialization. At protection type, boy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o communication and girl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socialization. At obeying type, only boy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o locomation. Between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 and popularity, only domination type showed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 That is, boys at domination type showed some meaningful correlation to popularity, but girls didn't show any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social growth and popularity, only communication showed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 That is, boy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nd popularity while girls did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