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인숙-
dc.creator최인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6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5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0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555-
dc.description.abstractAn important topic in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is to relate mathematics to communication. Identified as one of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curriculum standards in 1989,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has been highlighted as an important goal for all students. The ability to communicate mathematically is seen as crucial in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competent problem-solvers capable of inquiry and the conveyance of thoughts.(NCTM, 1989) These capabilities are seen as critical in today's world as well as fut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ournal writing(=specific writing) as a communication with the interests in the process of learning mathematics as well as across the curriculum. The research is examin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communication" and "the achievement in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within the classroom setting. Two major questions are at the core of the study; (a)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in a specified mathematical topic between students in the classrooms where increased communication is a focus and those where it is not? (b) does th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students in classrooms where communication is increased and students in classrooms where increased communication is not a focus? The subject for this study of two 4th grade classe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One class was taught mathematics by using method of journal writing and the other was taught by traditional method. For a 6-weeks period, experimental group learned mathematics with writing and sharing journals, but controlled group did not. After this study, the SPSS/PC+ and t-test were applied to pretests and posttes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in a specified mathematical topic between students in the classrooms were increased communication is a focus and those where it is not. (b) th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differs significantly between students in classrooms where communication is increased and students in classrooms where increased communication is not a focus. Therefore, the conclusions we obtained from the results above are as follow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in a specified mathematical topic between students in the classrooms where increased communication is a focus and those where it is not and th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differs significantly between students in classrooms where communication is increased and students in classrooms where increased communication is not a focus. In summary, increased communication within the mathematics learning process of the 4th grade students involved in this study seemed to reflect positively upon their achievement in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marked upon the potential and actualized benefits of an increased role of communication through journal writing and sharing within the mathematics classroom.;본 연구는 전 교육과정에 걸쳐서 뿐만 아니라 수학교과 내에서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영역들중 최근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쓰기(Powell & Lopez, 1989 : Gordon & Maclnnis, 1993 ; Abel, 1987 ; Bell & Bell, 1985 ; Burton, 1985 ; Rose, 1989)가 수학 교수 - 학습에 주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쓰기의 특정한 형태인 일지 쓰기(journal writing)가 수학 교과의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주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일지 쓰기(journal writing)로 증가된 의사소통이 강조된 학생들과 그러지 않은 학생들 사이에 어떤 특정한 주제의 학습시 성취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겠는가? 2. 일지 쓰기(journal writing)로 증가된 의사소통이 강조된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 사이에 정의적 영역인 수학적 태도가 유의마한 차이가 나겠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97년 9월 9일 인지적 영역인 학력검사와 정의적 영역인 수학적 태도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97년 9월 10일 ∼ 97년 10월 22일 까지 6주간동안 실험집단에 매 수업 종료전 5-10분간 일지 쓰기(journal writing)를 실시한 직후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인 수학적 태도에 대한 사후검사(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검사지의 결과 처리 방법으로는 SPSS/PC^(+)를 이용하였고, 통계분석 기법으로는 두 집단의 차이검증을 위하여 t - test를 실시하여 유의도 검증을 하였다. 위의 연구 문제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일지 쓰기(journal writing)로 증가된 의사소통이 강조된 실험 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 집단은 인지적 영역인 사후 학업성취도에서 t 값이 2.02이고 유의도가 0.48로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2. 일지 쓰기(journal writing)로 증가된 의사소통이 강조된 실험 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 집단은 정의적 영역인 사후 수학적 태도에서도 t 값이 2.65이고 유의도가 .010으로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지 쓰기(journal writing)와 나누기(sharing)가 수학의 교수 - 학습 과정 내에 통합되어야 할 필요를 느끼며, 일지 쓰기(journal writing)는 아동의 수학적 사고의 명료화와 개념의 이해에 도움을 주어 수학적 사고의 힘을 키워준다고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의사소통으로서의 수학 = 7 B. 수학에서의 쓰기 = 8 C. 일지 쓰기 (Journal Writing) = 13 D. 일지 쓰기(Journal Writing)의 잠재적 이점들에 대한 분석 = 20 E. 선행 연구의 검토 = 24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7 A. 연구 대상 = 27 B. 연구 설계 = 27 C. 실험 처치 방법 및 절차 = 28 D. 검사 도구 = 30 1. 사전 수학 학력검사 = 30 2. 사전 수학적 태도 검사 = 31 3.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 = 31 4. 사후 수학적 태도 검사 = 32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3 A. 통계처리절차 = 33 B. 동질성 분석 = 33 C. 연구 결과 = 35 1. 인지적 영역에서의 학업성취도 변화 분석 = 35 2. 정의적인 영역에서의 수학적 태도의 일반적 성향분석 = 36 가.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수학적 태도의 측정 양적 연구결과 = 36 나. 수학적 태도 검사지의 변수에 대한 신뢰도 검증 = 37 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수학적 태도를 측정한 질적 연구 분석 = 37 (1) 수학에 대한 감정 = 38 (2) 의사소통에 대한 생각들 = 49 (3) 수학과 쓰기의 연결 = 55 (4) 수학에서의 말하기 듣기 = 60 (5) 일지 쓰기 경험 = 68 Ⅴ. 결론 및 제언 = 74 A. 결론 = 74 B. 제언 = 79 참고문헌 = 81 부록-1 사전 수학 학력 검사지 = 87 부록-2 사전 수학적 태도 검사지 = 91 부록-3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지 = 93 부록-4 사후 수학적 태도 검사지 = 96 부록-5 학생용 질문지 = 98 부록-6 교사용 질문지 = 102 부록 7 일지 쓰기(jouranl writing) sample = 104 부록-8 통계자료 = 124 ABSTRACT =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020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수학-
dc.subject학습-
dc.subject일지-
dc.subject쓰기-
dc.title수학 학습 과정에서 일지 쓰기(journal writing)의 효과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journal writing as a communication in learning mathematics-
dc.format.pagevii, 12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