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9 Download: 0

개별화된 수정을 통한 최중도 장애인의 여가 활동 교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Title
개별화된 수정을 통한 최중도 장애인의 여가 활동 교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ffect of Teaching a Leisure Activity Using Individualized Adaptation for People with Profound Disabilities : A Portable Bowing Skill
Authors
임신자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장애인여가활동개별화간이볼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여가 활동은 대부분의 시간을 무의미하게 보내게 되는 시설 거주 성인 장애인들에게 유용한 활동이다. 그러나 최중도 장애인의 경우에는 장애로 인한 능력의 제한 때문에 일반인들과 같은 방법으로 여가 활동에 참여하지 못한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개별화된 수정을 통하여 최중도 장애인에게 다양한 여가 활동의 교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별화된 수정을 통하여 최중도 장애인에게 여가 활동을 교수하므로써 최중도 장애인의 여가 활동 교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한 번도 정규 교육을 받지 않은 세 명의 성인 최중도 장애인으로서 모두 수용 시설에 거주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중도 장애인의 교육 내용으로 간이 볼링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기초선에서는 개별화된 수정은 제공하지만 이것의 사용을 위한 직접 교수는 제공하지 않았다. 실험 처치는 관찰과 교수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각 대상자에 대한 실험 처치는 12-18회기 실시하였다. 보조자에 대한 일반화 검사에서는 같은 시설의 경도 장애인이 각 대상자의 보조자로 참여하였다. 유지 검사는 실험 처치가 종결된 한 달 후에 3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화된 수정을 통해서 최중도 장애인의 간이 볼링 수행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수행률의 증가와 함께 수행 시간의 단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유지 검사에서는 세 명의 대상자 모두 간이 볼링 수행율과 수행 시간이 실험 처치 후반 수준으로 지속되지는 않았지만, 기초선과 비교하여 볼 때 점차적인 변화를 보였다. 넷째, 대상자들이 간이 볼링을 하는데 도움을 준 보조자에 대한 일반화가 이루어져서, 실험 처치 때의 보조자가 아닌 다른 보조자와의 간이 볼링에서도 수행율이 증가하고 수행 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최중도 장애인에게 개별화된 수정을 통하여 여가 활동을 교수하는 것은 이들의 여가 활동 기술 습득과 유지 및 보조자에게 일반화 효과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ching a leisure activity using individualized adaptation for people with profound disabilities. In this study, multiple prob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Portable bowling instruction as a leisure activity was provided with three adults with profound disabilities who had no regular education. Individualized adaptation enabled them to partially participate in the activity. The treatment was composed of 12-18 sessions. Three follow-up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after 1 month to examine the maintenance effect. The portable bowling activity was divided into four steps through task analysis and then provided in the form of a total task sequenc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forming rate of the activity was increased, the performing time for the activity was decreased and the performance was generalized to an assistant in doing the activity. These effects extended to 1 month follow-up. The results revealed that using individualized adaptation is effective in the training of people with profound disabilities and enables them to partially participate in a certain a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