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상위범주화 습득에 관한 상황적 단서와 언어적 단서 유형의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상위범주화 습득에 관한 상황적 단서와 언어적 단서 유형의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Using Context and Linguistic Cues for Acqusition of the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Authors
장선희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상위범주화습득발달지체아상황적 단서언어적 단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범주화는 여러 사물과 현상들을 그 속성의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여 이들의 공통적인 범주를 찾아내는 것으로 아동이 일상생활에 적응하는데 중요한 인지적 능력이다. 그리고 이러한 범주화는 하위, 상위, 하부의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위, 상위, 하부 수준의 범주화 중 하위 수준의 범주 개념은 습득하였으나 상위 수준의 범주화를 습득하지 못한 3~5세의 발달지체아를 중심으로 범주화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지과정에 대한 이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효율적인 의미론적 처리를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상위범주화와 의미론적으로 관련된 상황적 단서(테마정보)를 제공하였고 상황적 단서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하여 이를 기존 학습상황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적 단서제공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생활연령이 4~6세이면서 1~2년 정도의 지적 지체를 보이는 즉 정신연령이 3~5세인 6명의 아동을 각각 정신연령이 비슷한 아동끼리 짝지어 짝 1, 2, 3으로 나누고 각 짝의 2명의 아동 중 한 명에게는 상황적 단서를 제공하고 다른 한명에게는 언어적 단서를 제공하는 형식의 중다기초선 설계를 활용하여 구조화된 놀이를 통한 상위범주화 개념을 위한 중재를 실시하였다. 각 아동의 수행정도는 상위범주 옷, 동물, 차에 관한 상, 중위 수준으로 등급화된 사물로 구성된 9개의 분류과제에 대한 수행으로 관찰되었으며 중재 후 다른 상황에 대한 아동의 수행정도를 살펴보기 위한 일반화로 중재 전 상황과 동일한 조건 아래에서 짝 1은 교사 일반화, 짝 2는 교재 일반화, 짝 3은 교실 일반화를 각각 실시하였으며 중재효과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 달 후 중재가 시작되기 전 상황과 동일한 조건 아래에서 분류과제에 대한 아동의 수행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습득 가능 연령에 있음에도 아직 상위범주화 개념을 습득하지 못한 발달지체아에게 상황적 단서를 제공한 결과, 상황적 단서 제공의 아동은 상위범주화 개념을 습득하였다. 둘째, 상황적 단서 제공의 중재가 끝난 후 발달지체아가 습득한 상위범주화 개념은 중재 전 조건과는 달리 교사, 교재, 교실이 바뀌는 조건 아래에서 일반화 되었다. 셋째, 상황적 단서 제공의 중재가 끝난 한달 후 발달지체아가 습득한 상위범주화 개념은 중재 전 조건과 동일한 상황에서 유지되었다. 넷째, 상황적 단서 제공의 아동이 언어적 단서를 제공한 아동보다 상위범주화 개념에 대한 습득이 더 빠르게 이루어졌다. 다섯째, 상황적 단서 제공의 아동이 보다 나은 수행정도를 보였지만 짝 1, 2 아동의 상황적 단서 제공 아동과 언어적 단서 제공 아동 모두 상위 범주 분류과제에 대한 일반화를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짝 3의 경우 일반화에 대한 수행 정도가 짝 1, 2에 비하여 낮았으며 상황적 단서 제공의 아동이 언어적 단서 제공의 아동보다 더 잘 일반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상황적 단서 제공 아동과 언어적 단서 제공 아동의 상위범주화 개념 습득의 유지에 관한 분류과제 수행에 있어 짝 1, 3의 경우 상황적 단서제공의 아동이 언어적 단서 제공의 아동보다 더 잘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짝 2의 경우 상황적 단서 제공 아동이 언어적 단서 제공 아동의 상위 범주 분류과제에 대한 보다 나은 수행을 보이나 모두 유지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제공된 중재 방법인 상황적 단서의 제공은 발달지체아의 상위범주화 개념을 습득케 하였으며 아동이 습득한 상위범주화 개념이 일반화되고 유지되었다. 또한 상황적 단서 제공은 언어적 단서를 제공하는 경우보다 상위 범주화 개념을 더 잘 습득하였으며 일반화의 경우 짝 3 아동은 상황적 단서의 제공이 언어적 단서의 제공보다 더 잘 일반화 되었으며 짝 1, 2 아동은 상황적 단서 제공의 아동이 상위 범주화 분류과제에 대한 보다 나은 수행을 보였지만 상황적 단서 제공 아동, 언어적 단서 제공 아동 모두 일반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지의 경우 짝 1, 3 아동은 상황적 단서 제공의 아동이 언어적 단서 제공의 아동보다 더 잘 유지되었으나 짝 2 아동은 상황적 단서 제공의 아동이 상위 범주화 분류과제에 대한 보다 나은 수행을 보였으나 상황적 단서 제공 아동, 언어적 단서 제공 아동 모두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구조화된 학습상황보다는 아동에게 친숙한 일과를 테마적 정보로 제공하는 상황적 단서로 제시하여 놀이를 통한 보다 자연스러운 방식의 학습상황이 제안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인지교육은 아동의 능동적인 참여를 촉진하고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아동이 의미론적으로 효율적인 인지과정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앞으로 발달지체아를 위한 인지교육 분야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developmentally delayded children (DDC) who didn't acquired the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acquire the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through context and linguistic cues. In this paper, three pairs of DDC selected from the children who have taken early special education using context and linguistic cues are considered. Throughout the subjects, children's performance about the sorting task for the superordinate categorization(clothes, animal, and vehicle) were measured using multiple-baseline design. During training sessions, one of two children in each pairing was provided with context cues and the other was provided with linguistic cues for learning the superordiate categorization. Teacher prompts children to learn it. Generalized observation was implemented after withdrawing intervention for 3 Sessions. And follow-up observation was implemented for one month after withdrawing intervention for 5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1. The result shows that DDC provided with context cues didn't acquired the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but the children using context cues acquried the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2. After withdrawing intervention which provided context cues, the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which DDC acquried were generalized each other in condition of changing teacher, task, and classroom. One month after withdrawing intervention that provided context cues, the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maintianed. 3. The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to children provided context cues was faster than those provided liguistic cues. 4. Paring 1 and 2 were generalized about the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but pairing 3's performance for generalization were lower than paring 1 and 2. Performance indicates that children provided context cues about the sort task for the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was more maintained than those provided liguistic cues except paring 1. These results from this investigation suggest that DDC who didn't acquire the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could acquire it in the naturalistic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