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3 Download: 0

유아국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Title
유아국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Other Titles
(The) current conditions 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kindergarten children
Authors
양은정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유아국악교육교사인식현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유아 국악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현황을 공 ·사립 유치원별로 밝혀 앞으로의 유아 국악 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국악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현장에서의 유아 국악 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현황은 어떠한가? 3. 국악 교육 관련 연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은 어떠한가? 4. 유아 국악 교육의 문제점 및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의 유치원에서 재직 중인 교사 24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 제작한 26문항의 질문지로서 구성되었다. 연구 방법은 질문지 조사법이며, 자료의 처리는 유아 국악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을 알아보고자 공·사립 유치원에 따라 문항별 빈도(f), 백분율(%), x^(2)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국악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을 공·사립 유치원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공립 유치원 교사들이 사립 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유아 국악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으며, 유아 국악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유아기 때부터 우리의 정서를 느끼게 해 주어야 한다고 인식되었다. 둘째, 유치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 국악 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치원에 보유하고 있는 국악기와 교사가 다룰 수 있는 국악기, 유아들에게 소개되었던 국악기의 종류가 소고, 북, 장구, 징, 꽹과리 등으로 모두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유아 국악 교육 관련 참고 자료 및 교구는 음악 감상용 테이프 및 음반과 그 외 전통 생활과 관련된 그림, 퍼즐, 전래 동화, 실물 모형으로 나타났으며, 공·사립 유치원에 따른 전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국악 감상 활동에는 전래 동요, 창작 국악 동요, 민요 등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노래 부르기 활동에서는 전래 동요가 가장 많이 불리우고 있고, 그 다음으로 민요, 창작 국악 동요 순으로 나타났다. 국악을 사용하여 이루어진 음률 활동으로는 자유로운 신체 표현과 전래 동요로 전통 놀이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실시해 보고 싶은 활동에 대해서는 공·사립 유치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전래 동요 노래 부르기 활동을 선호하는 반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음률 활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에게 장단을 소개하는데 있어서는 교사는 완전한 장단과 변형한 장단으로 치지만 유아들에게는 주로 변형한 장단을 치도록 지도하고 있으며, 반면에 장단을 소개하지 않는 교사들도 21.7%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연간 교육 계획안을 세울 때, 유아 국악 교육을 특정 단원에서만 계획하여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악 관련 연수 경험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면 대부분의 교사들이 국악에 대한 사전 교육 경험이 없으며, 교사들의 유아 국악 교육에 대한 현직 교육 경험은 1-2회의 강습 및 연수 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유아 국악 교육에 대한 현직 교육 경험이 전혀 없는 교사들의 순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유아 국악 교육에 대한 현직 교육 참여 의사에는 공·사립 유치원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공립 유치원 교사들이 사립 유치원 교사들보다 현직 교육을 더 받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 국악 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면, 유아 국악 교육의 문제점은 교사 자신의 국악 교육에 대한 지식부족과 유아 국악 교육과 관련된 체계적인 교재, 교구의 부족으로 나타났으므로, 유치원 교사들은 먼저 교사 자신부터 국악 교육을 받으며 손쉽게 할 수 있는 전래 동요 등 노래부르기 활동부터 실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의 유아 국악 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공·사립 유치원별로 유의한 차이가 보여서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대학의 학부 과정에서 국악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반면,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정규적인 교사 연수 및 강습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의 유아 국악 교육의 방향에 대해서는 교사의 국악 교육, 유아를 위한 체계적인 활동 및 교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overnmental and private kindergartens, guid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paths of righteousness, and give basic information to the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on opin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ents and methods of the education,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research stud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present problems and direction for the futu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children. Based upon these objects, this study set the questions as below and try to figure out if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overnmental and private kindergartens. 1. How do the teachers recognise the necessit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in the field? 2. What a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in the field? 3. How do the teachers recognise research stud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How is it done, now? 4. What are the problem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the children? And how do the teachers recognise it? The target of this research were 240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in Seoul, Means of the research were questionnaire composition of 26 quetions made by amending and rewriting prior study. The methods of research were by taking questionnaire, and data processing was based on frequency(f), percentage(%), X^(2) - test for each question to figure outhow the teachers realise and do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the childre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opinion of Korea traditional music was concentrated more on importance of teaching the music(78.8%) than preference of the music(50%). The differences between the qovernmental teachers; recognition of recessit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higher than private teachers. It was because of they believe that the children have to feel Korean spirit when they were young. Seco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in the field were as follows and there were no particular differnce founded between private and governmental kindergartens. The traditional instruments for the music possessed by kindergartens, playable by teachers and introduced to childrent were SOGO, BUK, JANGU, JING GGUENGARI, and reference data and teaching instruments for the education were cassette tapes and records to listen to the music and puzzels, pictures, fairy tales and model for traditional life. Activities for listening to Korean traditional music were based upon traditional children's rhymes, produced Korean nursery rhymes and fork songs, and activities for singing songs were based upon traditional children's fork songs and produced Korean nursery in order. Tone an rhyme activities through Korean traditional music were mostly based upon moving body freely and traditional games through traditional children's rhymes. Activities which the teachers prefer to do in the future were different between governmental and private teachers. Private teachers wished to do the singing activities. However, governmental teachers wished to do the tone and rhyme activities. For the methods to introduce the traditional rhythm to the children, teachers used full traditional rhythms and modified rhythms, but teached mostly modified rhythms. However, the reason that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did not introduce the rhythm was becaused they did not know the rhythm. Most of the teachers plan teach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particular session and not for the whole semester. Third, for the recognition and activity of research study related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most teachers do not have the experience of taking classes to leam the music when they were in school, and most of them only took the research study or lecture for the education once or twice. The opinion of taking study research in the future were different between governmental and private teachers. The governmental teachers wished to take the research study more. Fourth, for teachers' consciousness of the present problems and direction in the future, they believed that the biggest problems are their lack of knowled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systematic teaching instruments. Therefore, they wished to teach singing, first because it is the easiest way. For the methods of teaching the music in the futur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private and governmental teachers. Governmental teachers wanted to take the lectures or research study when they were in their university. However, private teachers wanted to learn when they are in the field of teaching. Most of the teachers believed for better education in the future that education for the teachers, systematic activities for the children, and development of teaching instruments will be necess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