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차경숙-
dc.creator차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5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9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5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 중에 특별히 아동과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머니와 관련된 변인 중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언어통제유형을 중심으로하여 각 변인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며, 또한 아동의 성별 및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아동 30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연어통제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세 가지 유형의 설문지를 아동들에게 배부하여 조사하였다. 아동의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는 Coopersmith(1967,1981)의 SEI(Self Esteem Inventory)를 연구자가 번안하여 타당화 절차를 밟은 후 사용하였으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측정도구는 오성심·이종승(1982)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측정도구는 이현주(1990)가 제작한 척도에 어머니의 음성과 어조등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자율적일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2.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인성지향적인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지위지향적인 아동의 자아존중감보다 높았다. 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양육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인성지향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자율적이었으며, 명령·지위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하는 어머니는 적대·거부적 양육태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라 그 양육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가장 높은 집단이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애정-자율적 양육태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언어통제유형간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7. 아동의 성별과 자아존중감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8. 아동의 성별과 어머니의 교육수준,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및 양육태도 변수들 중에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수를 알아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하게 나타난 것은 양육태도와 언어통제유형의 2개 변인이었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양육태도 및 언어통제유형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 또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자율적인 경우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았으며,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통제유형이 아동의 특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인성적 언어통제유형인 경우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 rearing attitude and verbal control mode of mothers on children's self-esteem. An additional goal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x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children's self-esteem. To conduct this study a sample of 308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5th and 6th grade were given three types of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employed were : (1) Self Esteem Inventory (SEI), (2) Mothers' Child Reading Attitude, and (3) Mothers' Verbal Control Mode. The results of an ANOVA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t-test, and control mode, and educational level of mother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Children's self este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Children's self esteem was higher as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showed ‘Love-Autonomy’child rearing tendency. 2. Children's self este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others' verbal control mode. Namely, children's self-esteem was higher as mothers used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mode. 3.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verbal control mode. In other words, the child rearing attitude of mothers who use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mode demonstrated ‘Love-Autonomy’child rearing tendency, while that of mothers who use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mode showed ‘Hostility-Control’child rearing tendency. 4.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mothers' educational level. As mothers' educational level was higher, they tended to show ‘Love-Autonomy’child rearing tendency. 5. There was no strong relation between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their verbal control mode. 6. There was no strong relation between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children's self-esteem. 7. Children's self-esteem showed no strong relation with children's sex. 8. Results of a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their verbal control mode we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can predict children's self-esteem. To sum, the important variables which affect children's self-esteem were : (1) mothers' educational level ; (2)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 and (3) mothers' verbal control mode. In other words, children's self-esteem was higher when (1) mothers' educational level was higher ; (2)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reveals the tendency of ‘Love-Autonomy’ child rearing attitude ; and (3) mothers use ‘person-oriented’verbal control mode. This study implies that mother-related variables such as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verbal control mode are of great importance. Since children's self-esteem is a crucial factor influencing the children's social and cognitive areas of development, more in-depth study needs to be don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5 3.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9 A. 주요개념의 이론적 전개 = 9 1. 자아 존중감 (self-esteem) = 9 2. 양육태도 = 13 3.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 16 B. 관련 선행연구의 고찰 = 23 Ⅲ. 연구방법 = 28 1. 척도를 위한 예비조사 = 28 2. 본조사 = 29 3. 측정도구 = 31 4. 자료의 분석 및 처리 = 3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7 1. 주요변인의 서술통계치 = 37 2.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 37 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 = 38 4.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양육태도 = 38 5.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른 양육태도 = 39 6.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른 언어통제유형 = 40 7.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 = 41 8. 아동의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 = 41 9. 아동의 성별과 어머니의 교육수준, 언어통제유형, 양육태도 변수들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 = 42 Ⅴ. 결론 및 논의 = 44 참고문헌 = 49 부록 = 57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026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아동-
dc.subject지각-
dc.subject양육태도-
dc.subject언어통제유형-
dc.title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언어통제유형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Child Rearing Attitude and Verbal Control Mode of Mothers on Children's Self-Esteem Reported by Children-
dc.format.pagev, 7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