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심옥화-
dc.creator심옥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4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9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5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designed to enhance children's ability to express creative thought in an positive and open atmosphere, reach reasonable solutions in real problem situation through various experiences of creative activities, respond to the diversification of future society and adapt the needs of the times appropri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is program on creasing children's creativity. There are four hypotheses in this study.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trained by this creative programs and control group not trained by that may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Hypothesis 2. There may b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garding the subordinate elements of creativity. Hypothesis 3. A Gender gap may not be showed in the level of creativity.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boys and gir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on't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elements of creativity. Hypothesis 4. There'll be th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inclination by self-statement and the level of creativity. To verify these four hypotheses, the research was made at the J elementary school in Uijongbu, Kyunggi from the twenty-first of May to the twenty-second of October in 1996. The object group was of the fifth grade students in two classes. The experimental group class was trained in the various programs of thinking power faculty twice or these times a week. The control group class was not trained in any programs. In the pre-test, the test of creativity was given to the all children. It was the test of the same shape with a simple standardized test designed by myself. In the post test for this research, a Standardized simple test used nationwide was taken by all of them. To analyze date ANCOVA ANOVA, Pearson's product correlation coefficient Cronbach were used. When appropriate the opinions of researchers were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these programs achieved significantly better scores than control group in the total score of creativity test. These creative programs had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creativity. Four sub-components of creativity were increased by experimental lesso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four factor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Openness. This result was the reflection of experimental effec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pre and post test. The gender difference was not apparent in showed the effect of the creative training in subordinate elements. The correlation of the creative inclination and level were not different in the pre test. Two relations were found in the statical correlation in the post te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more creative inclination than the control group in pre-test. But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he same as each other in the pre test. The correlation of the creative inclination and level were the same, even though there was an education effect in the post test. In conclusion, these programs for this study jad great effects on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This research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 education of creativity can significantly increase children's creativity. Above all, it is important that the creative programs are studied and made systematically. If children participate in the creative experience and training for enough time through these programs, their creative ability will be increased very significantly.;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은 긍정적이고 개방적인 분위기에서 아동들이 창의적인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창의적 활동 경험을 통해 실제의 문제 상황에서 창의적 사고와 합리적인 해결방안에 도달하는 능력을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고안되었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과 수업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은 창의성 증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과 수업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창의성 증진 효과는 창의성 하위 요인에 따라 차이가 날 것이다. <가설 3> 남녀의 성차에 따른 창의성 정도의 차이와, 실험집단의 창의성 하위 요인에 대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증진 효과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 문제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6월 5월 21부터 1996년 10월 22일까지 경기도 의정부시에 있는 J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아동 8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다양한 기법으로 구성된 창의성 프로그램을 주 1-2회씩 총 30회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교육도 실시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사전 검사는 표준화 간편 창의성 검사와 동형이 되도록 본인이 제작한 창의성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사후 검사는 표준화 간편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성 총점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두 집단간 차이가 유의미하여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이 크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성 하위요인인 개방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세째, 창의성과 성별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사전-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성별에 따른 창의성 교육 효과에 대한 사후 점수의 총점과 하위요인별 점수에서도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창의성은 교육 프로그램에 의해 증진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무엇보다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연구와 적절한 구성이 중요하며, 충분한 교육 기간 동안 아동의 수준과 욕구에 적합한 창의적 경험을 하게 되면, 창의적인 능력은 크게 증진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 1 B. 연구 가설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창의성의 개념 및 구성 요인 = 5 B. 창의성 교육 = 14 C. 창의성을 개발시키기 위한 훈련 기법과 사고 모형 = 18 D. 선행 연구의 고찰 = 23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 대상 = 28 B. 측정 도구 = 29 C.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 34 D. 연구 절차 = 43 E. 자료처리 = 44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45 A. 가설 1의 검증 :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창의성 증진의 차이 = 45 B. 가설 2의 검증 :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창의성 하위요인별 효과 = 47 C. 가설 3의 검증 : 창의성과 성별과의 관계 = 50 Ⅴ. 논의 = 52 참고문헌 = 57 부록목차 = 64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480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창의성-
dc.subject교육프로그램-
dc.subject효과-
dc.subject개발-
dc.title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Programs of Thinking Power on Increasing Children Creativity-
dc.format.pagevi, 9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