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토고숲모기(Aedes togoi)의 난자 형성 과정에서 Egg Chamber의 미세구조적 변화

Title
토고숲모기(Aedes togoi)의 난자 형성 과정에서 Egg Chamber의 미세구조적 변화
Other Titles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Egg Chamber during Oogenesis of Aedes togoi
Authors
설태민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Keywords
토고숲모기난자 형성 과정Egg ChamberAedes togoi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토고숲모기(Aedes togoi)의 난자 형성 과정 동안에 일어나는, egg chamber를 구성하는 세포의 구조적 변화를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통해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혔다. 난모세포는 난황 축적을 전후하여 크게 변한다. 전난황형성시기(previtellogenic phase)의 난모세포질에는 소포체, 미토콘드리아, 리보소옴등이 다수 관찰되는 반면 흡혈 후, 난황형성시기(vitellogenic phase)에는 다양한 크기의 난황립이 세포질을 채우게 된다. 전난황형성시기부터 영양세포(nurse celL)는 난모세포로의 물질이입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물질이입은 cytoplasmic bridge를 통해서 이루어질 뿐만아니라, 난황형성시기에 관찰되는 pinocytotic vesicle을 통해서도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Egg chamber를 구성하는 여포세포는 난모세포로의 물질이입을 위한 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난황막과 chorion 형성을 위해 물질을 분비한다. 난황형성시기에 난모세포로의 물질이입에 관계된 것으로, 흡혈후 여포세포들 사이의 공간에는 섬유상의 물질이 관찰되는데, 이것은 난모세포의 본격적인 난황립 축적과 시기적인 일치를 보인다. 이 물질들의 대부분은 난황단백질전구체(vitellogenin)로 사료되는데, 이 시기에 관찰되는 coated pit과 coated vesicle은, 난황단백질전구체가, 난모세포로부터 돌출된 미세융모(microvlli)의 기부에 있는,수용분자와 결합하여 내음포 운동(receptor-mediated endocytosis)에 의해 난모세포로 투과됨을 나타낸다. 흡혈 전부터 여포세포에서 관찰되는 dense body는 흡혈 후 여포세포의 골기체로부터 여포세포와 난모세포 사이의 공간으로 분비되어 난황막 형성을 위한 난황체로 축적된다. 이들 난황체는 미세융모들 사이에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미세융모가 소멸해감에 따라 점차로 융합되어 난모세포쪽으로 밀집된 난황막층을 형성한다. 난황막이 완성된 후 여포세포는 chorion형성을 위해서도 물질을 분비하므로 후난황형성시기의 여포세포질에는 더욱 발달된 조면소포체와 골기체를 관찰할 수 있다.;Changes in the egg chamber during oogenesis of Aedes togoi were investigated by electron-microscopy. The ooplasmic constituents were found to change throughout oogenesis. In previtellogenic stages, endoplasmic reticulum, mitochondria, ribosomes are abundant in the ooplasm, and in vitellogenic stages after blood meal, the ooplasm becomes additionally filled with yolk granules of various sizes. Large yolk granules were observed to be formed by fusion of small yolk granules. A different type of yolk granule begins to appear at 24hours after blood meal. Particularly, the cortex of nurse cells confronting the ooplasm has cytoplasmic bridges in the previtellogenic phase and pinocytotic vesicles in vitellogenic phase. The observation suggest that the materials are transported from nurse cells intooocyte through cytoplasmic bridges and oocyte membranes. The follicle cells, which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formation of vitelline envelope and chorion, were observed to be structurally differentiated during oogenesis. Floocculent materials appear in the space between follicle cells after blood meal, coincidently with the earnest appearance of yolk granules in ooplasm. The change in the space between follicle cells may be correlated to internalize vitellogenin into growing oocytes during vitellogenesis. During the vitelline envelop formation, the vitelline envelope plaques and vitelline bodies are deposited in the space between follicle cells and oocyte. These plaques and vitelline bodies may result from dense bodies released from the follicle cells. The large vitelline bodies are fused to form a compact vitelline envelope. The chorionic materials, which were observed in follicle cells, may be released from the cells and fused to form a chor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