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鄭次男-
dc.creator鄭次男-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1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9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89-
dc.description.abstractReady to suffer more or less their side effect, Korea has put top priority on economic growth-oriented policies to enlarge its economic size for the last 30 years. In general, such growth-oriented policies in terms of volume have brought us material affluence, but with such problems as environmental pollution,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demoralization, extravagance, management and labor problems, loss of working moral and distorted distribution of wealth. There has appeared a sign that the steady growth is likely to slow down since the latter part of 1980's with the accumulation of such contradiction and conflict inherent I in the course of economic growth. It can be said that those phenomena are attributed to not only economic structure but also the consciousness carried in people, entrepreneurs who run business and government that works out and implements economic polices. Therefore to tide out the current critical phase of our economy and maintain its steady growth what is required is the establishment of desirable economic ethics as well as revision of our economic structure. Since the starting point of its establishment is said to be school education, economic ethics education has to be included in it as a part of economic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economic education provid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the recognition that current economic education could not live up to the social requirements. Economic education is aimed at bringing up democratic citizens as a whole man based upon economic ability which includes knowledge on economy in reality, functions needed in economic life and value, attitude and faith concerned with public welfare. It can be said that economic ethics education as a part of economic education is the internalization of justice as to economic life. By the way the current economic education emphasizes the cognitive aspect and its contents are similar to the form of abridged edition of an original introduction to economics and still has propensity to the main school of modern economics called neoclassical economics. So the contents of economic ethics are inadequate. And economic education of cognitive aspect imposes some problems on the internalization of value and attitude related to economic life. Although economic ethics is covered in the economic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cultivate economic ethical decision-making ability because it is a simple enumeration of vale for inculcation which is separated from reality. It was found out, however, from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currently us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that unlike the 5th curriculum the 6th one has a lot of improvement in its volume and description method : the contents of economic ethics have increased. Important in the coming economic education is to implant human-oriented thought which treats human being as an absolute end value in himself by turning away from the ideology that economic growth is the most important value and treats human being as a mere means. That will be the way to establish economic ethics.;지난 30여년간 한국은 어느 정도의 부작용을 감수하면서라도 일단은 경제의 크기를 키워야겠다는 일념 하에 경제성장 위주의 정책을 펴왔다. 이러한 양적 경제성장 일변도의 경제정책은 전반적으로 물질적 풍요를 가져온 것이 사실이나 환경오염 문제, 자연자원의 고갈, 퇴폐, 과소비 풍조, 노사관계문제, 근로의욕 상실, 부의 편중 등 여러가지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성장과정에서 내재되어 있던 이러한 모순과 갈등이 누적되면서 80년대 후반기에 와서는 성장세가 둔화하는 징후를 보이고 있다. 이는 한국경제의 구조에도 문제가 있으나 이에 못지 않게 경제정책을 입안하고 실시하는 정부, 기업의 운영을 맡고 있는 기업인, 나아가서는 국민의 경제에 대한 윤리의식에 문제되는 점이 있다하겠다. 따라서 한국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위기적 국면을 극복하고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경제의 구조적 개편과 동시에 경제윤리의 올바른 정립이 시급하다. 올바른 경제윤리의 정립을 위해서는 학교 경제교육에서부터 경제윤리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글은 현행 경제교육이 이와 같은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중·고등학교 경제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경제교육은 경제에 대한 능력을 바탕으로 해서 궁극적으로는 전인으로서의 민주시민육성을 목표로 하는데, 민주시민에게 필요한 경제적 능력은 경제원리와 현실경제에 관한 지식, 경제생활에 필요한 기능, 공공복리를 위할 수 있는 가치, 태도, 신념 등이다 경제교육의 한 부분으로서 경제윤리교육은 경제생활과 관련된 정의적 요소를 내면화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현행 중·고등학교의 경제교육은 대체로 인지적인 측면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그 내용구성에 있어서 경제학원론의 축약 형식으로 되어있다. 그것도 현대 주류 경제학이라는 신고전학파 경제학에 편향되어있다. 그 결과 경제윤리교육의 내용이 적게 나타난다. 또한 인지적 측면의 경제교육은 경제생활에 관련된 가치·태도를 내면화 시키는데에 문제가 있다. 경제윤리교육이 나타나는 경우에도 가치주입식 나열에 그치거나 사실과 가치가 분리되어 경제윤리적 의사결정 능력 함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5차 교육과정과 달리, 6차 교육과정에서는 변화하고 있다. 6차 교육과정이 아직 완전히 실시되지 않고 있으나 현재 부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교과서만을 분석한 결과 점차 경제윤리교육 내용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서술방법에서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등의 바람직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의 경제교육은 경제성장을 위해 인간을 수단화시키는 경제발전 지상주의에서 벗어나, 인간 그 자체가 목적가치임을 인식시킬 수 있는 인간중심의 사고를 재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곧 올바른 경제윤리를 정립하는 길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과 범위 = 2 Ⅱ. 경제윤리의 이론적 고찰 = 4 A. 경제윤리의 개념 = 4 B. 경제윤리의 윤리적 원리 = 6 C. 경제윤리의 변천 = 10 D. 경제윤리의 한국적 적용 = 16 Ⅲ. 경제교육과 경제윤리교육 = 18 A. 경제교육에서 경제윤리교육의 필요성 = 18 B. 경제윤리교육의 목표 = 21 C. 가치교육으로서의 경제윤리교육 = 24 D. 경제윤리교육의 내용영역 = 26 Ⅳ. 중·고등학교의 경제윤리교육 내용 분석 = 30 A. 분석의 기준 = 30 B. 교과서 분석 = 44 Ⅴ. 경제윤리교육을 위한 모색 = 59 Ⅵ. 결론 = 63 참고문헌 = 65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903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고등학교-
dc.subject사회과 교과서-
dc.subject경제윤리교육-
dc.title중,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경제윤리교육 내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the Contents of Economic Ethics Education Covered in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Middls ahd High Schools-
dc.format.pagev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