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현정-
dc.creator최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0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5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8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500-
dc.description.abstractMost hot spring in South Korea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sozoic granitic batholith. Temperatures of the hot springs which are pumping from 100 to 200m depth, range from 24℃ to 78℃ with an average value of 55℃. A total 41 thermal water and groundwater samples from the hot spring area were analyzed by I.C. and ICP methoods to interpret the water-rock interaction and to acess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No difference in Eh between thermal water and groundwater was found. TDS values in groundwater increase with conductivity values. Thermal waters, however, show a range of behavior. Thermal waters(av. pH=8.19)are more alkaline than groundwaters(av. pH=7.30).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rmal water were divied into two groups, namely : the Na^(+), K^(+) and HCO_(3)^(-) rich type and the Ca^(2+), Mg^(2+) and Cl^(-) rich type. The thermal waters have high concentrations of SiO_(2), CaO and F than those of the groundwater in the same hot spring area. They also have a good correlation between Ca and Sr (r=0.5) and Cl^(-) and SO_(4)^(2-) (r=0.62). This indicates a relatively high degree of water-rock interaction even though the temperature of the thermal field is low. Increasing K in thermal water with temperature supports the above conclusion.;남한의 온천지역에서의 열수와 지하수에 대한 수리지구화학적 특성연구와 함께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그들간의 유의미한 분류근거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온천수와 지하수에서의 물-암석 반응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한에 분포하고 있는 15개 온천지역에 대하여 총 41개의 온천수(22개)와 지하수(19개)시료를 채취, 용존이온을 정량하고, 지질학적 특성(화강암-화강편마암지대, 변성퇴적암지대, 퇴적암지대)과 용존 이온들의 수리화학적 특징을 대상으로 군집분석, 요인분석, 판별분석 등의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열역학적 자료를 이용 우리나라 온천수의 용존이온의 거동을 연구하고 온천수와 온천지역 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성에서 나타나는 물-암석 상호반응정도를 검토하기 위해 WATEQ4F(Ball and Nordstrom, 1992) 프로그램을 이용, speciation 및 포화지수를 구하여 정성적으로 해석하였다. 우리나라 온천수와 온천지역 지하수는 Eh는 유사하나 온천수가 지하수(평균pH=7.30)에서보다 다소 알칼리성(평균pH=8.19)으로 전이되어 있다. 지하수에서는 전기전도도와 TDS간에 직선의 상관성을 나타내나 온천수의 경우 변화가 나타난다. 이는 물-암석 반응에 의한 용존이온의 함량의 차 때문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용존 K^(+)은 온도의존성이 인지된다. 우리나라 온천은 Na^(+), K^(+), HCO_(3)^(-) rich형(온양, 이천, 백암, 유성, 수안보, 도고, 덕산, 덕구, 오색, 척산, 청도)과 Ca^(2+), Mg^(2+), Cl^(-) rich형( 해운대, 마금산, 동래, 부곡)으로 대분된다. 군집분석에서도 이를 뒷받침하여 주고 있다. 온천수중 Ca 대 Sr 상관성은 상관식 log[Y]=B*log[X]+A에서 상관계수= 0.5(R-squared), 지하수의 상관계수 =0.38(R-squared) 및 온천수의 Cl 대 SO_(4)의 상관계수=0.62(R-squared), 지하수의 상관계수=0.05(R-squared)의 차이는 물-암석 반응 때문으로 해석된다. 온천수가 지하수에서보다 SiO_(2), CaO, F가 많은 현상이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온천수와 지하수의 용존 이온의 요인분석결과 5가지로 구분된다. 즉, 요인 1의 Na^(+)-Cl^(-)-SO_(4)^(2-) 등은 salinity를 의미하며, 요인 2의 SiO_(2)와 Mg^(2+)함량은 상대적으로 높은 천부 지하수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pH는 온천수와 지하수에서 물-암석 반응에 의한 결과를 잘 지시해 주고 있는 유의미한 요인이 되고, 요인 3은 TDS, 요인 4는 NO_(3)^(-)-F^(-), 요인 5는 Alkalinity 이다. 용존 이온종에서 추정된 열역학적 상 안정도 해석에 의하면 지하수는 대부분 kaolinite 안정영역에 도시되며 온천수는 물-암석 반응의 결과 kaolinite, illite, K-운모류 등의 광물의 형성도 기대된다. 이는 광물로부터 용존 이온의 공급이 일어날 가능성과 함께 시료에서의 높은 함량에 대한 설명을 더해주는 포화지수로도 잘 설명되어 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ⅱ 1. 서론 = 1 2. 온천지역의 지질개요 = 4 3. 시료채수 및 화학분석 = 10 3-1. 시료채수 및 분석방법 = 10 4. 현장측정 및 화학분석 결과 = 13 4-1. 현장측정 결과 = 13 4-2. 용존이온의 화학적 특성 = 22 4-2-1. 양이온 = 28 4-2-2. 음이온 = 36 5. 통계적 처리를 통한 온천수와 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성 = 41 5-1. 군집분석 결과 = 41 5-2. 요인분석 결과 = 43 5-3. 판별분석 결과 = 47 6. 온천지역에서의 물-암석 반응 = 51 6-1. 광물상 안정도 해석 = 51 6-2. 포화지수 = 53 7. 결론 = 66 8. 참고문헌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682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남한-
dc.subject온천지역-
dc.subject열수-
dc.subject지하수-
dc.subject지구화학-
dc.title남한의 온천지역의 열수와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