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진희-
dc.creator정진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4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5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7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52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음악 선호도와 음악적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동기 유발 차원에서 학교 음악 수업에 대중음악을 도입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대중음악 선호도와 음악적 자아존중감이 음악적 배경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454명의 서울과 부산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들이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대중음악 선호도" 질문지, "음악적 자아존중감" 검사지, "음악적 배경" 조사지였다. "대중음악 선호도" 질문지는 이지현(1994)의 "학교음악과 대중음악에 대한 의견" 조사지를 기초로 하였고 "음악적 자아존중감" 질문지는 Schmitt(1979)의 "Self-Esteen of Musical Ability"를 한글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음악적 배경" 조사지는 Auh(1995)의 "Musical Experiences"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고안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는 1996년 9월 16일 부터 5일 동안 서울 및 부산의 5개의 중·고등학교에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중음악 선호도,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적 배경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피어슨 적률상관관계를 이용하였고 성별 및 학년에 따른 집단간의 각 변수들의 점수의 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중·고등학생의 대중음악 선호도와 음악적 자아존중감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2. 중·고등학생의 대중음악 선호도와 음악적 배경 사이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중·고등학생의 음악적 자아존중감과 음악적 배경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 그밖에, 대중음악 선호도에 있어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음악적 자아존중감에서는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의 음악적 자아존중감이 높았고(p<.001),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음악적 자아존중감이 높았다(p<.01). 또한 음악적 배경에서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1).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지도를 위한 제안을 하면 아래와 같다. l) 음악지도에서 음악적 개념을 설명할 때 학생들에게 친숙한 대중음악을 사용하여 가르치면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교사가 음악수업에 대중음악을 도입할 때 주의할 점으로서 대중음악을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음악 수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대중음악은 가사가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음악, 음악적으로 지나치게 단순하거나 반복적인 음악은 사용을 피해야 한다. 3) 교사는 음악 수업에 대한 동기 유발을 위하여 학생들이 음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권장해야 할 것이다. 또한 후속의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면 아래와 같다. 1) 학생들의 음악적 동기유발을 측정할 수 있는 더욱 적절한 음악적 동기 유발 척도가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2) 대중음악과 음악적 동기 유발에 관한 연구는 음악적 동기 유발의 다른 측면인 음악적 태도, 귀인에서도 폭 넓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3) 대중음악 선호와 같은 감정적 차원뿐 아니라 대중음악 감상, 연주, 창작 등을 포함한 대중음악 활동면에서도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popular-music preference and musical self-esteem for high school students. Also, relationships of musical background with popular-music preference and musical self-esteem for high 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454.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major cities.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questionnaires for "Popular-Music Preference", "Self-Esteem of Musical Ability", and "Musical Background. The "Popular-Music Preference" questionnaire was based on Lee's(1994) questionnaire for "Attitudes Towards School Music and Popular Music", which was revised to be appropriate for this study. Schmitt's(l979) "Self-Esteem of Musical Ability" questionnaire was translated into Korean. The "Musical Background questionnaire was devised by the investigator on the basis of Auh's(1995) "Musical Experiences"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during the period of September 16-20, 1996.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s for the relationships among popular-music preference, musical self-esteem, and musical background. T-test was used to compute differences in popular-music preference, musical self-esteem, and musical background by junior/senior schools and gend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opular-music preference and musical self-esteem for high school students. 2.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opular-music preference and musical background for high school students. 3.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musical self -esteem and musical background for high school student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girls showed higher popular-music preference, higher musical self-esteem and higher musical background than high school boys. Implications for music instruction are as shown below. 1) Music teachers can use popular music as well as Western Classical music to teach concepts of music. Because students are familiar with popular music that they can learn more easily. 2) Music teachers should be discreet in selecting popular music to use for music teaching. For example, popular music usable for music classes should have words of no sexual arousal and no violence and forms and styles containing both unity and variety. 3) Music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musical activities, which will lead to high motivation towards music learning.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shown below. 1) More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s for measuring motivation towards music should be developed. 2) Future research on motivation towards music should also examine musical attitudes and attributions for success and failure in music. They are other ways investigating motivation in music. 3) Further research should employ listening, performance, and composition activities for popular music as well as preference for popular musi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대중음악 = 5 1. 대중음악의 개념 및 특징 = 5 2. 청소년과 대중음악 = 7 3. 학교에서의 대중음악교육 = 10 B. 음악적 자아존중감 = 14 1. 자아개념의 정의 = 14 2. 자아개념의 특성 = 17 3. 학업과 자아존중감 = 19 4. 음악적 자아존중감 = 20 C. 음악적 배경 = 24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 대상 = 25 B. 측정도구 = 25 C. 연구절차 = 28 D. 자료분석 = 28 Ⅳ. 연구결과 = 29 A. 각 변수들의 점수분포 = 29 B. 각 집단간의 차이 = 32 C. 각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 34 Ⅴ. 결론 및 제언 = 37 참고문헌 = 44 부록 = 48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49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대중음악-
dc.subject선호도-
dc.subject음악-
dc.subject자아존중감-
dc.subject상관관계-
dc.title대중음악 선호도와 음악적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Popular-Music Preference and Musical Self-Esteem for High School Students-
dc.format.pagev, 5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