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 2학년 음악 감상학습에 관한 실태 조사연구

Title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 2학년 음악 감상학습에 관한 실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al Activities ok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by the 6th curriculum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Authors
이경희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제6차 교육과정중학교음악감상학습음악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e can get a lot of chances to be in contact with music in modem society. But it doesn't mean that we've got matured in music. It depends on the systematic contents of music education whether listening to music is helpful to musical susceptibility and sense development. The basic aim of school education is individual desirable growth in music. We can expect such desirable growth when musical abilities develop with comprehension and balance. The objectives of the 6th curriculum revision are focused on rais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s involved in music, developing expression ability and growing positive attitude to and values in music. Above all, the 6th curriculum emphasizes integrative education, which organizes different parts altogether. Essentially all musical activities include appreciation activities. Appreciation activities, which play a basic role among all musical activities, include listening to sounds and recognizing th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a) to research teachers' and students' response to real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poll, (b) to grasp if the directions suggested by the 6th curriculum are really accomplished at school, (c) and then to find out the problems of music education and examine the ways of improvement by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First, to investigate how much teachers' are interested in the 6th curriculum and understand it. Second, to survey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performed at real appreciation class. Third, to research students' and teachers' opinions of the compositions for appreciation selected in the textbooks. Last, to examine individual appreciative tendency. We can get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rom the thesis: First, teachers understand the 6th curriculum much differently between female and male teachers. They don't feel any difference between the 5th and 6th curriculum. It shows that the objectives and the contents of current curriculum are not carried out enough at real appreciation education at school. Second, most of teachers recognize that the objectives of the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6th curriculum is to develop creative expression ability an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through conceptional elements. But another result of the research reveals they read and explain the commentaries of the compositions described in the textbooks by using directing and cramming teaching method. Besides they use a few limited media such as CDs and tape recorders at real appreciation class. Last, this thesis researched the rate of response to the compositions demonstrated by the textbooks regarding parts, countries, genres, performance forms, periods and composers. As a result, we can find the textbooks don't introduce various kinds of compositions. The pollees shows they tend to prefer to the compositions suggested high frequently in the textbooks. That means they prefer, in general, to the compositions they have been educated to, and the degree of their preference can be controlled by educated contents. Last, about 90 percents of the students showed over average degree of interest in music, especially in popular music the highest. Referring to such appreciative tendencies, we should change the education centered on teachers and textbooks into the education centered on students' experiences. Also, we should try to help students experience, analyze and evaluate various kinds of music, and finally form wider values in music.;현대사회에 들어오면서, 음악을 접할 기회가 많아 졌다. 그러나 단지 음악을 들을 기회가 많아 졌다고 음악적으로 성숙했다고는 할 수 없다. 음악을 듣는 일이 음악적 감수성과 음악적인 심성계발에 도움이 되는가의 여부는, 체계적인 교육내용과 방법 등이 주요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은 학생들 개개인의 바람직한 음악적 성장을 근본 목표로 한다. 다양한 음악활동이 폭넓고 균형 있게 이루질 때, 바람직한 음악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제6차 교육과정의 목표에서는 음악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능력을 기르고, 표현하는 능력을 개발하고,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가치관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각 영역간의 유기적인 통합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본질적으로 모든 음악활동 속에는 음악을 형성하고 음을 인식하는 데 근원적 역할을 하는 듣는 감상행위가 포함되어 있다. 감상영역은 각 영역간의 유기적인 통합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이므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제로 교수 및 학습활동을 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의 음악 감상학습에 대한 반응을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고, 제6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음악 감상교육의 목표와 내용 등이 실제 수업현장에서 적절하게 실행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음악교육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 개선방안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는 우선, 음악교사들이 제6차 교육과정에 대하여 얼마나 많은 관심과 이해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학교 음악 감상시간에 행해지는 교수 및 학습 활동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반응을 알아보았으며, 음악교과서의 감상제재곡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선호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생과 교사의 개별적인 음악감상성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교사들은 제6차 교육과정에 대하여, 남녀별 교사에 따라 교육과정을 이해하는 부분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제5차와 비교하여 제6차 교육과정의 변화된 차이점을 뚜렷하게 느끼고 있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현행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은 실제 학교 음악 학습에서 그다지 만족스러운 성취도를 보이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대다수 교사들이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감상교육의 목표를 창의적 표현능력 개발과 개념적 요소를 통한 구조의 이해 등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반응을 보였으나, 감상학습 방법으로 교과서의 악곡해설을 읽고 설명하는 지시적인 주입식 방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으며, CD나 녹음기의 한정된 감상매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결과 밝혀졌다. 셋째, 음악교과서의 감상제재곡에 대하여 영역별, 나라별, 종류별, 시대별, 작곡가별 비율에 대한 반응을 살펴본 결과, 교과서 내에 다양한 종류의 악곡이 소개되고 있지 못한 결과가 나왔다. 또한 교과서의 빈도수가 높은 곡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교육되어진 내용에 대해 선호도가 높은 경향으로서, 선호도가 교육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학생과 교사들은 학교뿐만 아니라, 사회생활 속에서 많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접하게 되는 데, 약 90%에 달하는 학생들이 음악에 대한 관심정도가 대부분 보통이상으로 응답하였으며, 특히, 대중음악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감상학습의 실태는 보다 바람직한 음악적 성장을 위해서 교사중심, 교과서 중심에서 탈피하여 학생들의 자유로운 상상력과 창의적인 사고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학생의 경험이 중시되는 교육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모든 시대, 모든 종류의 다양한 음악을 경험하고,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가치관을 폭넓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