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혜승-
dc.creator유혜승-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3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5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7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523-
dc.description.abstractIt is desirable that children ages 5-6 years are given a training to develop pitch perception among many musical abilities. Because children at these ages are more sensitive to pitch than the other musical elements, and they have a keen sense of hearing. Thus, they can develop the ability to discriminate melodies of up and down and memorize those melodies. Many studies have found that children can develop pitch perception better, when they are offered appropriate instruction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1)to make strategies for teaching pitch perception for children ages 5-6 years by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and 2)to develop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pitch perception for the children by applying them to real teaching situations. This study reviewed the following: 1)definition of the term "pitch"; 2)Gestalt principles for pitch perception; and 3)applying Gestalt principles for pitch perception to children's music development.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perception were devised for children ages 5-6 years. The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applied to real teaching situations by using the strategies to teach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hildren perceived pitch by grasping pitch contour approximately rather than depending on sound waves. 2. Among five pitch contours devised by investigator, that is, up, down, arch, wave, linear, the shapes of up to stepwise and linear are the best melodic contours perceived by children. 3. In learning sequences, children were better at the second stages than at the first stages. First stages were composed of up to stepwise and grasping of the pitch contour, and second ones were composed of jumping and learning about each pitch. Therefore, it was shown that such learning sequences were effective. 4. Children did well body movement among the seven activities, which were body movement, games, singing, hearing, and sightsinging, creativity, improvisation. And they did not do well hearing, creativity, and improvisation. The results show that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children's pitch perception are to teach approximate melodic contours instead of exact pitches of molody . Implication for developing pitch perception of the children is that they get more varied experience by using total activation and games.;음악교육의 여러 분야 가운데 특별히 음의 고저 감각을 개발시키기 위한 교육은 일반적으로 유아기라 일컬어지는 5-6세 정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 시기의 유아들은 음의 다른 요소들보다 음고에 더 예민하고 청각능력의 현저한 발달로 음의 상, 하행 등 방향을 구분하는 능력, 음고에 대한 기억과 분별력, 음고 개념 등을 인식하게 되며 성인의 수준에 이르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음의 고저 감각에 대한 유아의 발달단계를 이해하여 적절한 교육적 배려가 제공된다면 훈련을 통해서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이 많은 연구들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1) 5-6세 유아의 음의 고저 감각을 개발시키기 위한 지도요령을 모색하고, 2) 그 지도요령을 실제 음감지도에 활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음감 지도안의 계획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인 유아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5-6세 유아들이 특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음고란 무엇이고, 어떠한 원리에 의해서 음고 지각이 가능한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음고 지각의 고찰을 유아들의 경우에 적용하여 그 발달심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헌조사를 통하여 기존의 음의 고저 감각지도 방법들에 관하여 살펴보고, 그것들을 기초로하여 연구자가 크게 5가지의 음고윤곽에 대한 수업안을 계획하였다. 또한 이 수업 계획안을 실제로 활용하여 음악지도를 해 보았다. 연구자가 고안해 낸 수업 계획안을 실제 음악지도에 적용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1. 유아의 음고지각은 각각의 음에 대하여 진동수가 많고 적음에 따라서 높낮이를 파악 한다기 보다는 전체음고의 윤곽을 인식함으로써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2. 연구자가 제시한 올라가기, 내려가기, 무지개모양, 물결모양, 수평모양의 5가지 음고윤곽 가운데 차례로 올라가기와 수평모양에 대한 인식이 잘 되었다. 3. 단계별 학습에서 유아들은 2단계보다 1단계의 활동들을 훨씬 잘 해냈다. 다시 말해서 1단계는 차례가기와 음고윤곽의 파악, 2단계는 건너뛰기와 음고학습으로 구성된 유아의 음의 고저 감각 발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수업안이 효과적 이었음을 보여준다. 4. 유아들은 신체표현, 놀이, 노래, 듣기, 악보읽기, 창작, 즉흥연주의 7가지 활동영역 가운데 신체표현을 가장 잘했고 듣기, 창작, 즉흥연주에 대하여 어려워 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음의 고저 감각 개발을 위한 지도는 유아의 음고 지각발달정도를 고려하여, 음의 높낮이에 대한 식별에 치중하는것 보다 대략적인 윤곽선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ⅹⅱ Ⅰ. 서론 = 1 A. 연구의 중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음고 지각 = 4 1. 음고의 정의 = 4 2. 음고 지각(Pitch Perception)의 방법 = 7 B. 유아의 음고 지각 = 19 1. 음의 고저 감각에 대한 유아의 발달심리 = 19 2. 5-6세 유아의 음고 지각 발달 = 28 Ⅲ. 효율적인 음의 고저 감각 지도 방법 = 31 A. 음의 고저 감각 지도의 제방법 = 31 B. 음의 고저 감각 개발을 위한 학습 계획안 = 70 1. 음고의 단계별, 활동영역별 지도요령 = 70 2. 음의 고저 감각 개발을 위한 지도안 = 91 Ⅳ. 수업안의 실제적용 = 96 A. 적용절차 = 96 B. 적용결과 = 97 Ⅴ. 결론 및 제언 = 101 A. 결론 = 101 B. 제언 = 103 참고문헌 = 104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262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음감지도-
dc.subject윤곽구조 이론-
dc.subject고저감각-
dc.subject음악교육-
dc.title5-6세 유아를 위한 효율적인 음감지도 방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윤곽구조 이론을 통한 음의 고저감각 개발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DEVELOPING PITCH PERCEPTION OF CHILDREN AGES 5-6 YEARS-
dc.format.pagexiv, 11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