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초등학교 자연과교과서에 반영된 STS교육내용분석

Title
초등학교 자연과교과서에 반영된 STS교육내용분석
Other Titles
(A) Content Analysis of STS Education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uthors
황경하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Keywords
초등학교자연과교과서STS교육내용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TS education movement which emerged in the 1980's because of the criticism on the academic oriented curriculum and the necessity for scientific literacy education, has been seriously introduced into the 6th curriculum following the 5th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the STS curriculum reflected on our elementary scienc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s of future development by analyzing how much and how the STS content is reflected on the textbook which was edited according to the 6th curriculum. The subject of analysis are the science textbooks and the teacher's guide books of the 3-6 grader's which were revised during the 6th curriculum period. The method of analysis was analyzing the weight of the STS education content in the whole textbook and in each of the knowledge domains. Another method used was dividing the STS content into goal, content, topic, activity domain and analyzing the quantity for each doma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the STS education content included in the 6th science textbook is about 6.74% which is a low percentage for the overall percentage, but is increasing with higher grader's. Second, analyzing the weight of STS education content in each of the knowledge domains, we can see that about 10% is included in 'earth' and 'biology' and not even 5% is included in 'material' and 'movement and energy'. Therefore, the STS education content reflected in the 6th science textbook is not evenly included in each of the knowledge domains and is biased on specific domains. Third, the goal of the STS content is concenb-ated on 'foundation level', 'issue awareness level' and is insufficient in the goal of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level' and 'citizenship responsibility'. Fourth, among the STS content, the knowledge application occupies the most percentage and especially the everyday life application covers most of the part. Content about issue awareness and problem solving are included by just a small amount and content about responsibility is little included. Fifth,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 occupied the most of topics included in STS education. the next were 'Effects of scientific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Energy', 'health and disease' and 'sociology of science' were little dealt with. There was no content on 'population'. Sixth, among the activities included in STS education content,' discussion' was suggested the most. And the next were 'investigation', 'data analysis' and 'experiment'. 'Problem solving' and 'role play' were presented only one time. By looking at such result of the analysis, STS content included in our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seem not to be evenly reflected. In view of the goal level and content domains, they are focusing on the awareness of the effect that knowledge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can give to the society. Also a higher level of STS education which can give an opportunity of direct action through value internalization and skill acquisition which provides the basis for solving practical problem is required very much. The content is very weak compared to the god of the STS education. As the topics and activities included in the STS content deals with only some special domains, various topics and activities are not suggested. With this view, we can see that the STS content reflected on our science textbook has not been introduced with sufficient research. Through the discussion above, we can conclude that the STS education in our elementary science has concentrated on curriculum and has not been included sufficiently in the textbook with respect to quantity and quality. Therefore, an intensive research on the STS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to enhance the relative portion and level of content. Additionally, an STS education curriculum proper to our educational situ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propagated so that the STS education would not be only staying as a theory but could improve the children's ability of inquiry and scientific thinking and suggest a correct science education direction.;1980년대에 들어 학문중심교육과정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과학적 소양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함께 등장한 STS교육운동을 제 5차 교육과정에 이어 제6차 교육과정에 본격적으로 도입 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6차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자연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STS교육내용이 교과서에 얼마나,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초등 자연과에 반영된 STS교육의 성격을 규명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편된 3-6학년 자연과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이며, 분석방법으로는 STS교육내용에 대한 교과서 전체와 지식영역별 비중분석과 함께 STS교육내용을 목표영역, 내용영역, 주제영역, 활동영역으로 나누어 양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제6차 자연과 교과서에 반영된 STS교육내용의 포함정도는 6.74%로 전체적인 비중은 낮지만 학년에 따라 점차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지식영역별 STS교육내용의 비중분포를 보면 '지구'영역과 '생물'영역에는 약 10%정도씩 포함되어 있고 '물질'영역과 '운동과 에너지'영역에서는 5%에도 못미치는 낮은 비중을 보이고 있어 제6차 자연과 교과서에 나타난 STS내용은 각 지식영역에 고루 분포되어 있지 않고 특정영역에 치우쳐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TS교육내용의 목표는 '기초수준'과 '문제인식수준'에 집중되어 있으며 '조사와 평가수준'의 목표와 '시민의 책임감수준'의 목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TS교육내용은 지식적용의 내용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일상생활에서의 적용이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주고 있다. 문제인식과 문제해결에 대한 내용은 많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책임감에 대한 내용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STS교육내용에 포함된 주제영역 중에서 '환경문제와 천연자원'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과학과 기술발달의 영향'이 많이 다뤄지고 있다. '에너지', '건강 및 질병', '과학의 사회학'은 조금씩 다뤄지고 있으며 '인구'를 주제로 하는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STS교육내용에 포함된 활동영역중에서 '토론'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으며 다음으로 '조사활동', '자료해석', '실험활동' 순이다. '문제해결'과 '역할놀이'는 각각 한번씩만 제시되어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볼 때, 우리나라 초등자연과에 반영된 STS교육내용은 아직까지 과학교육 전체에 고루 반영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목표수준과 내용영역에서도 과학·기술과 관련된 지식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의 수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바탕이 되는 기술습득과 가치의 내면화를 통해 실천적인 행동의 기회를 제공해 주는 차원의 STS교육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STS교육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에 비해 이를 위한 내용의 전개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STS교육내용에 포함된 주제와 활동 역시 특정영역만을 많이 다루고 있어 다양한 주제와 활동이 제시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데 이것을 보면 우리나라 자연과에 반영된 STS교육내용이 충분한 연구를 거쳐 도입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볼 때, 우리나라 초등자연과에서의 STS교육은 국가수준의 교육과 정상에서는 강조되고 있는 반면에 실제 교과서에는 아직까지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STS교육내용과 방법을 충분히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STS교육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양적인 비중과 내용수준을 높여감과 동시에 우리나라 교육여건에 맞는 STS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보급함으로써 이론이나 문서화된 교육과정에만 머물러 있는 교육이 아닌, 실질적으로 아동의 탐구능력과 과학적 사고력을 길러주는 올바른 과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STS교육이 되도록 해야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