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9 Download: 0

통합적 접근법에 의한 유아 미술활동의 효율성 분석

Title
통합적 접근법에 의한 유아 미술활동의 효율성 분석
Authors
차명은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통합접근법미술활동유아효율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주제와 관련된 통합적 접근에 의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작업과정과 작품표현방식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미술지도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작업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2. 미술지도의 통합적 접근이 미술작품의 표현방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Y대학 부설 연구소의 만5세반 두 학급의 유아 38명으로서, 한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집과 꽃이라는 두 가지 주제에 대해 실험집단은 통합적 접근법에 따른 미술활동을 하면서 집만들기와 꽃그리기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주제와 관계없이 제시된 미술활동으로서 집만들기와 꽃그리기를 실시하였다. 작업과정에서의 유아행동관찰은 Barnes(1992)의 작업과정(process of working)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작품분석을 위해서는 오종숙(1988)이 작성한 미술표현방식에 관한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간의 작업과정에는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이 두 가지 주제 모두 창의적인 사고, 호기심과 흥미, 작업수행능력, 몰입하는 정도, 협동적 작업, 어려움 극복에서 통제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작업에 소요한 시간도 실험집단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간의 미술표현방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이 두 가지 주제 모두 주제의 특성, 재료사용의 다양성, 세부적 묘사에서 통제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art activity based on integrated approach would affect children's process of working and expression style. I chose thirty-eight five-year-old children of lab school of Y-university in the seoul, dividing them into two classes, one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ontrolled group. With two subjects, house and flower,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did house-making and flower-drawing, after experiencing art activity based on integrated approach, and those of the other group did the same things as a given art activity regardless of the subject. I have observed children's behavior by using the term Barnes(1992)' 'process of working', and exploited Jong Suk Oh(1988)'s evaluation criteria of art expression style for the analysis of children's work. With collected data, I did ANOVA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rocess of working. The study showed that, with respect to the two subjects- house and flower, experimental group was ranked higher than controlled group in creative idea, curiosity and interest, perseverance with artwork, the degree of absorption when working, cooperative work, and ability to overcome difficulties. Second, there was also some promine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rt expression style. The study revealed that experimental group surpassed controlled group in characteristics of selected subjects, diversity and detailed descrip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