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1 Download: 0

청년기자녀가 지각한 부-모간 상호작용과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이 자녀의 결혼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itle
청년기자녀가 지각한 부-모간 상호작용과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이 자녀의 결혼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parent's marital interaction and attachment and autonomy to parent on image of marriage of adolescent
Authors
이지은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Keywords
청년기자녀지각부모간상호작용자율성자녀결혼이미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rent's marital interaction and attachment and autonomy of sons and daughter to parent on image of marriage of adolescent. The subject consisted of 657 male and female students of highschool and University dwelling in Seoul. Th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used the parent's marital interaction by Yoo, KaHyo(1989) and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scale(IPPA) by Armsden & Greenberg(l987), translated by Yoo, EunHee (1991) and autonomy scale which were made by Kang, Jin Kyoung(1996) & Yoo, EunHee(l991). The analysis methods of the data applied were person correlation, t-test, stepwise regression and cronbach's Alpha for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went's soio-emotional interaction perceived by adolescent has significant sex difference only in university students group. College weman estimate in high than male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difference by school attendance level in only men's group and highschool boys evaluate it high than 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in case of attachment to parent of adolescent children, there is no difference in gender of children and school attendence level and in ease of autonomy, there is difference in only school attendance level. i.e., university Student's autonomy is higher than highschool Student. Third, in image of marriage of adolescent Children, female and highschool students is positive than male and university students. Fourth, the quality of parent's soio-emotional interaction, attachment and autonomy, image of marriage are closely related one another. i.e., if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parent's soio-emotional interaction is high, attachment is high, autonomy is low, children's image of marriage is higher. Fifth, if man has high attachment to his mother and high evaluation of father's role., his image of marriage is positive. If woman has high evaluation of father's role and low autonomy to father, her image of marriage is positive. In case of highschool students, if the have high evaluation to father's role, their image of marriage is positive. In case of university students, if they have high attachment to their mother, their image of marriage is positive.;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기 자녀가 관찰하고 인지하는 부-모간 상호작용과 부모-자녀 상호관계측면에서 부모에 대한 자녀의 애착 및 자율성이 자녀의 결혼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자녀의 성과 연령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결혼역할모델로서 부모의 영향력의 양상을 밝혀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간 상호작용으로서 부모의 사회-정서적 관계의 질은 자녀의 성 및 취학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청년기 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은 부모-자녀의 성과 자녀의 취학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청년기 자녀의 결혼이미지는 성 및 취학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부모의 사회-정서적 관계의 질,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결혼이미지 각각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다섯째, 부모의 사회-정서적 관계의 질,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자녀의 성 및 취학수준이 자녀의 결혼이미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학생 65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부모의 사회-정서적 관계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유가효(1989)의 부부 상호작용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애착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은희(1991)가 Armsden과 Greenberg(1987)의 IPPA Scale을 한국 문화에 맞게 수정, 확대한 것을 사용하였고, '자율성'의 측정을 위해서는 강진경(1996), 유은희(1991)가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결혼이미지'의 측정은 Osgood의 의미분별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상관계수, 일원변량분석, Scheffe′검증, t 검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청년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사회-정서적 관계의 질에 있어서 성차는 대학생 집단에서만 나타나 여대생이 남대생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취학수준의 차이는 남자집단에서만 나타나 남고생이 남대생보다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청년기 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에 있어서 전반적인 경향은 자율성보다 애착이 높고, 애착은 부보다 모에서 높고, 자율성은 모보다 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애착의 경우 자녀의 성 및 취학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율성의 경우 취학수준에 따른 차이만 나타나 고등학생보다 대학생의 자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3. 청년기 자녀의 결혼이미지는 성 및 취학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자보다 남자가 긍정적이며 대학생보다 고등학생이 긍정적이었다. 4. 청년기 자녀의 결혼이미지, 부모의 사회-정서적 관계의 질,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은 각각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청년기 자녀의 결혼이미지는 父자율성*성*취학수준과 母애착*성*취학수준에서 가장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