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대양-
dc.creator최대양-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6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6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82-
dc.description.abstract교육을 하는데 있어 목표를 확실하게 설정하는 일은 중요하다. 목표가 설정된 이후에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내용의 선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교육 내용은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한 내용이어야 하고 교과서 역시 정해진 목표를 잘 반영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은 발달면에서 볼 때 주위현상을 통합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므로 통합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의 저학년 교육과정은 통합을 지향하고 있으며 과목별로 묶는 방법을 달리하여 교과의 통합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은 개정된 6차 교육과정의 2학년 「슬기로운 생활」의 목표를 고찰해 보고, 목표와 학습내용과의 일관성에 대해 살펴보며, 내용의 통합정도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목표는 교육부에서 나온 교사용 지도서와 6차 교육과정 해설집에 제시되어 있는 영역별 목표로 분석하였고, 내용의 통합정도에 대한 분석은 일반적인 통합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본 후 통합교육과정의 설계모형 중 간학문적 단원의 특징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1.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슬기로운 생활」의 영역별 목표가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일관되게 반영되어 있는가? 2.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슬기로운 생활」 은 통합교육과정의 설계모형 중 간학문적 접근방법에 비추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 이상의 내용분석을 통해 밝혀진 초등학교 2학년 「슬기로운 생활」 내용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역별 목표는 교과서에 학습내용으로 거의 제시가 되어 있으며, 영역별 목표중 탐구기능영역의 목표가 개정전과 다름없이 강조되어지고 있고 새로 추가된 영역으로는 습관및 태도의 영역인데 다루어진 비율은 극히 적었다. 탐구기능영역이 강조되어 있으나 탐구기능을 위한 여러가지 활동(다른 사람과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능력, 초보적인 탐구 능력, 관찰하거나 경험한것 표현하기)중 관찰하거나 경험한것을 표현하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새로 추가된 습관태도 영역의 목표는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 인식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 반영된 비율은 극히 적었다. 현상면에서 사회현상을 다룬 단원과 자연현상을 다룬 단원을 쉽게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통합의 형태를 띄고 있다. 그러나 1학기 7단원의 <여름>과 2학기 5단원의 <겨울>은 사회현상과 자연현상을 간학문적으로 통합한 정도가 강하였다. 통합학습면에서는 제재를 이용한 통합, 즉 공기단원에서는 공기실험을 한 후에 공기와 우리생활과의 관련이라는 식의 제재중심 통합이 주를 이루고 있다. 1학기 「슬기로운 생활」 의 주요현상은 사회과와 자연과가 거의 반반의 비율로 이루어져 있으며, 2학기 「슬기로운 생활」 의 주요현상은 사회과가 자연과보다 강조되어 있다. 즉, 2학기 교과서가 1학기에 비해 사회현상을 좀 더 다루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간학문적인 통합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목표와 내용간의 일관성은 있으나 통합성의 정도는 간학문적인 통합방식에 비추어 약하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슬기로운 생활을 현장에서 지도함에 있어서 교사들은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사회과와 자연과의 공통분모를 찾는 노력을 시도해야 하고, 학습활동을 구성할 때에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학습자 내부의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istency between goal and learning contents of the Social-Science Studies Textbook and to identify some of unification of contents that is classified according to character of social studies and Science. The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How are goals in each area of the Social-Science Studies Textbook in the Sixth Curriculum reflected in the textbook? 2. How is the Social-Science Studies Textbook in the Sixth Curriculum in view general character of the interdisciplinary unification curriculum applied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Goals in each area were presented in learning contents. 2. Goals that deals with inquiry ability occupied 62.1% of them. 3. The area of attitude was added newly, that percentage merely 8.1% of them. 4. The area of inquiry ability was emphasized that mostly included presentation of observation and experience. 5 . The area of inquiry ability was 62.1%, intelligence 29.7%, attitude 8.1% , therefore there were gaps of the percentage among the three areas. 6. In the area of attitude the goal was not concrete, the goal didn't preset definitely in textbook. 7. All of the unit were mostly divided into unit deals with Social Studies and Science. 8. Learning contents added newly appeared intention inter-disciplinary unifying Social Studies and Science. 9. Experimental activity was simply dealing with action of observation and consequence of observation. 10. In the Social-Science Studies Textbook of the first term, proportion of Social Studies and that of Science was alike. 11. In the Social-Science Studies Textbook of the second term, Social Studies was 64.3%, Science was 35.7%, hence Social studies was more emphasized than Science. 12. Some of unification was a little prominent in text book of the second ter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 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 = 4 1. 목표와 내용 = 4 2. 교과서의 역할 = 8 B. 통합 교육과정으로서의 「슬기로운 생활」 = 10 1. 통합 교육 과정 = 10 2. 「슬기로운 생활」의 성격 = 21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분석방법 = 25 Ⅳ. 「슬기로운 생활」 분석 결과 = 27 A. 목표와 교육 내용과의 관계 = 27 B. 교육 내용의 통합성 = 47 Ⅴ. 요약 및 결론 = 66 참고문헌 = 68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725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통합교육-
dc.subject초등학교-
dc.subject슬기로운 생활-
dc.title통합교육 측면에서 본 초등학교 2학년 「슬기로운 생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Social-Science Studies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dc.format.pagevii, 7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