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림-
dc.creator이경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5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9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6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987-
dc.description.abstract시각장애아동에게 있어 공간개념의 발달은 주위환경에 대한 이해와 원활한 이동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여러 학자들은 아동의 공간개념을 위상적(topological) 공간관계에서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사영적(projective)공간 및 유클리드식(Euclidian) 공간으로 전이된다고 했다. 그러므로 공간개념의 전이에 관한 연구는 아동의 공간개념교육에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아동과 정안아동의 공간개념발달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시력정도와 연령에 따라 위상적 공간에서 사영적 공간으로의 전이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맹, 약시, 정안아동 세 집단이며, 각집단은 6세, 8세, 10세 각각 10명씩 모두 90명이다. 피험자들은 언어성 지능검사와 위상적 공간 과제 검사를 통하여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도록 선별되었다. 검사도구로는 두 지점간에 수평선 및 사선을 똑바로 구성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 사영적 직선구성(construction of projective straight line) 과제가 사용되었으며, 아동마다 수행 정도에 따른 수행수준이 주어졌다. 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사영적 직선구성의 수행수준을 시력정도와 연령에 따라 변량분석과 Scheffe′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력정도와 연령에 따라 사영적 직선구성의 수행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상호작용의 효과는 없었다. 2. 각 연령별, 시력정도에 따른 사영적 직선구성의 수행수준에는 10세의 전맹집단과 정안집단간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정안집단이 전맹집단보다 사영적 직선구성의 수행수준에 있어서 더 높았다. 3. 각 시력정도별, 연령에 따른 사영적 직선수성의 수행수준에는 시력정도에 따른 세 집단 모두에서 6세와 10세의 연령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6세보다 10세가 사영적 직선구성의 수행수준에 있어 더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시력이 낮고 연령이 어린 집단일수록 사영적 직선구성의 수행수준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수행수준의 평균치를 분석해 보았을 때, 시력정도에 따른 세 집단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의 경향성을 보이고 있으나 전맹집단이 가장 지체되어 발달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사실은 시각장애아동의 공간개념발달을 위해 적절한 훈련방법과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It is very importan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 to develop the concept of space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surroundings and to move smoothly. Some authors concluded that the childrens' concept of space have transferred from the topological concept of space t o the projective and Euclidian concept of space. A study on transition of the concepts of space, therefore, is a requisite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way of childrens' transition from the topological concept to the projective concept according to their age and degree of vision with comparing the development of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s' concept of space with that of sight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ree groups such as totally blind, partially sighted and sighted children, and each group is composed of 30 children who are 6, 8, and 10 years old. With the tests of their verbal intelligence and topological task, the subjects are sample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ne group and another. The test is examined using the subject of construction of projective straight line, which inspect the childrens' ability of constructing the horizontal and oblique line straightly, and their performance stages according to performance level is given. The statistics of results are analyzed by Anova and Scheffe´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ir degree of vision and age of performance stage in the construction of projective straight 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stage of the construction of projective straight line under their age and degree of vision, and no main interaction effects are given.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otally blind ten-year-old children's performance stage and sighted children in the construction of projective straight line under their age and degree of vision. Sighted group did better than totally blind in the performance stage of the construction of projective straight line. 3.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re given between six-year-old children and ten-year-old children o f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vision in the performance stage with each group's degree of vision and age. Ten-year-old group did better than six-year old in the performance stage of the construction of projective straight line. Under the basis of above mentioned results, we can acknowledge the lower childrens' age and degree of vision is, the lower their performance stage is in the construction of projective straight line. Also, analyzing mean of the performance stage,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s of vision are tend to develop in accordance with their aging in the three groups. But the totally blinds' developing progress are the most retarded. This point suggests that the necessity of proper curriculum and systematic training are required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s'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pa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및 가설 = 6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공간개념에 대한 이해 = 8 B. 일반아동의 공간개념 발달 = 11 C. 시각장애아동의 공간개념발달 특성 = 21 D. 사영적 공간으로의 전이에 관한 선행연구 = 31 Ⅲ. 연구방법 = 40 A. 실험설계 = 40 B. 실험대상 = 40 C. 위상적 공간 과제 검사 = 44 D. 실험도구 = 47 E. 실험방법 및 절차 = 48 F. 자료의 통계적 처리 = 55 Ⅳ. 결과 = 56 Ⅴ. 논의 및 제언 = 64 A. 논의 = 64 B. 연구의 제한점 = 67 C. 제언 = 67 참고문헌 = 69 부록 = 76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702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시각장애아동-
dc.subject공간개념발달-
dc.subject위상적 공간-
dc.subject사영적 공간-
dc.title시각장애아동의 공간개념발달에 관한 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위상적 공간에서 사영적 공간으로의 전이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i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