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정-
dc.creator이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5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5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6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54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자녀양육 지지체계를 조사·분석하고 부모의 자녀양육 지지체계가 유아의 인기도, 사회적 능력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아버지 - 어머니의 부모역할 지지체계는 각각 어떠한가? 1-1. 아버지 - 어머니의 부모역할 지지체계 중 지지구조는 어떠한가? 1-2. 아버지 - 어머니의 부모역할 지지체계 중 지지기능은 어떠한가? 2. 부모의 자녀양육 지지체계는 유아의 인기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1. 부모의 자녀양육 지지체계 중 지지구조가 유아의 인기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부모의 자녀양육 지지체계 중 지지기능이 유아의 인기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부모의 자녀양육 지지체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유아의 인기도에 따라 사회적 능력이 차이가 있는가? 3-2. 부모의 자녀양육 지지체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3개 유치원의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인기도 검사와 부모의 학력·생활수준을 조사하여 선정된 인기아 54명, 비인기아 52명을 포함한 총 106명의 유아와 그들의 부모 및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인기도 측정을 위해 또래평정 척도법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조사질문지, 부모의 자녀양육 지지체계 조사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의 분석을 위해서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t검증과 상관 계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버지 - 어머니간 자녀양육 지지체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구조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어머니 집단이 아버지 집단보다 친어머니, 형제·자매, 친구, 이웃들에게서 보다 많은 지지를 받았으며, 지지기능면에서도 어머니 집단이 아버지 집단보다 높은 지지도를 나타내었다. 2. 유아의 인기도에 따라 부모의 자녀양육 지지체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구조면에서는 비인기아의 부모들이 인기아의 부모들보다 더 많은 지지제공자 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인기아의 부모들은 비인기아의 부모들보다 지지제공에 대한 만족도, 접촉빈도, 지지제공자간의 밀도, 유사성과 지지 제공자에 대한 친밀감 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지기능면에서는 인기아의 부모들이 비인기아의 부모들보다 정보적, 정서적, 물질적, 평가적 지지 모두에서 더 많은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아의 인기도에 따라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기아가 비인기아보다 지도력과 유능성이 더 높게 나타났고, 비인기아는 인기아보다 과민성과 불안정성이 더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4. 부모의 자녀양육 지지체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구조면에서는 전체적으로 부모의 자녀양육 지지체계가 유아의 긍정적 사회적 능력과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유아의 부정적 사회적 능력과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지지기능면에서는 평가적 지지요인이 유아의 불안정성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ing support networks and the social competency of the children, through the present status of such networks. For this purpose, the study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1. How is the parenting support networks of father and mother ? 1-1. How is the supporting structure of father and mother ? 1-2. How is the supporting function of father and mother ? 2. Is there any difference parenting support networks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by the children's sociometric status ? 2-1. Is there any differenc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parenting support networks by the children's sociometric status ? 2-2. Is there any difference supporting function of the parenting support networks by the children's sociometric status ? 3. How is the relation between the parenting support networks and the social competency of the children ? 3-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ocial competency of children by their sociometric status ? 3-2. How is the corelation between the parenting support networks and the social competency of the children ?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6 children of 54 popular ones and 52 unpopular ones in 5-year classes of 3 kinder gartens located at Kangnam-Ku, Seoul which have been selected through popularity test, educational background of parents and their living standard,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As study tools, the peer rating scales to measure the popularity, the questionnaires on social competency of the children and on parenting support networks have been used.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have been gain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shows a difference by popularity of the children in lower factor of the social competence. The popular children have better leadership and capability than the unpopular ones, and the hypersensitiveness and apprehension are shown higher in unpopular group relatively. 2.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arenting support networks, by popularity of the children. In the aspect of supporting structure, while the parents of unpopular group have more upholders, the parents of popular group show higher in satisfaction on the upholders, contact frequency with them, intimacy among the upholders, similarity, and intimacy with the upholders. Meanwhile, in the aspect of supporting function, the parents of popular group have more upholding in all of informative, emotional, material and assessmental aspects. 3. The parenting support networks between father and mother show a difference too. In the supporting structure, the mother group have, in general, more upholding from their blood mother, brothers, sisters, friends and neighbors, and also show stronger upholding in the aspect of supporting function. 4. There i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ing support networks and the social competency of children in the view of support structure, and the parenting support networks have, in general, a static correlation with positive social competency of children. In the view of support function, there is notable differenc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ssessmental support factors and the apprehension of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사회적 지지체계와 분모역할 지지체계 = 5 B. 유아의 사회적 능력 = 13 C. 선행연구 = 18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연구도구 = 25 C. 연구절차 = 28 D. 자료분석 = 29 Ⅳ. 결과 및 해석 = 31 A. 부모의 부모역할 지지체계 = 31 B. 유아의 사회적 능력 = 43 C. 부모의 부모역할 지지체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 44 Ⅴ. 논의 및 결론 = 46 A. 논의 = 46 B.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1 부록 = 56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886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부모역할-
dc.subject지지체계-
dc.subject유아-
dc.subject인기도-
dc.subject사회적능력-
dc.title부모역할 지지체계와 유아의 인기도 및 사회적 능력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parention suport networks,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ocimetric status-
dc.format.pageviii, 7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