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문희-
dc.creator박문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3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8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6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88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distinctive style of Arnold Sch¨onberg's atonality music works. Sch¨onberg suggested new direction of music in 20th century by creating atonality. The disintegration of tonality began with the post-romanticism in 19th century has reflected in the many works of the early 20th century. Thus it can be said that Atonality has systematically established by Sch¨onberg, who had a great impact upon the history of music in 20century. In this thesis, it is dealt with the character of Sch¨onberg's Atonality and Asthetic background through his works. "Drei Klarvierst¨ucke" op.11, and "Pierrot Lunaire" op.21. The first work of Atonality is op.11 which used harmony without solving disonance, dramatic contrast in dynamics and new style of sonority in piano music, and op.21 is the important work composed by Sch¨onberg who entered the period of expressionism music. In this music "Sprechstimme" is new vocal style which is influenced by atonal expressionism. The study of his two works can be very useful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composition of Atonality and modern music.;쇤베르크(A. Schonberg)는 무조음악을 창안함으로써 20세기 음악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19세기 후기 낭만주의 시대부터 시작된 조성의 붕괴는 20세기 초엽의 많은 작품들에서 나타났으며, 이 시점에서 쇤베르크에 의하여 비로소 무조음악이 체계적으로 확립되었고, 무조음악을 보완할 필요성으로 인하여 12음 기법이 창안되었다. 이와같이 20세기에 들어와서 현대음악은 근본적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에 음악의 근본적 특징, 음악기법, 그리고 미학적 측면에서 변화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20세기 음악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쇤베르크의 '무조음악을 다루었다. 먼저 무조음악의 일반적 특징과 음악기법 그리고 미학적 배경으로서의 표현주의를 살펴보고 무조음악의 대표적 작품인 "Drei Klavierstucke" op.11과 "Pierrot Lunaire" op.21을 분석하였다. Op.11은 최초의 무조음악 작품으로서 기법에 있어 12음을 똑같이 자유롭게 사용하였으며 불협화음의 해방으로 협화음과 불협화음을 해결없이 사용하였다. 또 모티브의 전개와 대위법적 기교의 발전, 다이나믹의 극단적 대조 그리고 Piano의 새로운 음향 기법, 음역의 확대등을 특징으로 볼 수 있다. Op.21은 쇤베르크가 무조표현주의 음악을 구성한 작품으로 "Sprechstimme"라는 노래와 말의 중간기법으로 되어있고 또 실내악적 관현악 반주로 무조표현주의가 잘 나타나 있다. "Sprechstimme"를 통하여 인간의 내면세계를 순수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표현주의 특징과 무조성 기법을 잘 조화시켰다고 하겠다. 표현주의에 의하면 예술은 진실하여야 하고 자기 표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쇤베르크 음악에서 표현주의는 반음계적 조바꿈을 빈번히 사용함으로써 마침내 무조음악을 창안하게 되고 또한 음열 기법을 확립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그의 표현주의는 무조주의 음악의 타당성을 확립시켜준 것이다. 이 두곡의 연구에서 무조음악의 구성과 특징 그리고 구체적 양식과 미학적 표현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쇤베르크 음악의 특징적 구성과 기법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음악을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두곡의 연구는 무조음악의 구성과 특징, 그리고 구체적 양식을 살펴봄으로써 현대음악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및 대상 = 1 Ⅱ. 본론 = 3 A. 이론적 배경 = 3 1. 쇤베르크의 음악양식 = 3 2. 무조음악 = 7 3. 무조음악의 미학적 배경 = 8 B. 분석 = 12 1. "Drei Klavierstu¨cke" op.11. = 12 (1) 제1곡 = 12 (2) 제2곡 = 19 (3) 제3곡 = 25 2. "Pierrot Lunaire" Op.21. = 31 (1) 작품배경 = 31 (2) Sprechstimme의 기법 = 32 (3) 제1부 = 33 (4) 제2부 = 47 (5) 제3부 = 59 Ⅲ. 결론 = 73 참고문헌 = 74 附綠 = 77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031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Schoenberg-
dc.subject무조음악-
dc.subjectDrel klavierstuke-
dc.subjectPierrot lunaire-
dc.titleA. Schoenberg의 무조음악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Drel klavierstuke" op.11과 "Pierrot lunaire" op.21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arnold schonberg's atonality-
dc.format.pagevii,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