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미혜-
dc.creator윤미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3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3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6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308-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 between numerical conservation and understanding of fractional number concepts, between two-dimensional figure(circle, rectangle, regular square, triangle)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fractional concepts. For the above objectives, four study questions were made as follows: 1. Is there any ability of understanding fractional numb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numerical conservation concepts? 2. Is there any ability of understanding fractional numb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age? 3. Is there any ability of understanding fractional number, according to quantity of fractional number? 4, Is there any ability of understanding fractional number,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wo-dimensional figure? a. A understanding of fractional number 1/2 according to two-dimensional figure( circle, regular square, rectangle, triangle) b. A understanding of fractional number 1/3 according to two-dimensional figure( circle, regular square, rectangle, triangle) c. A understanding of fractional number 1/4 according to two-dimensional figure( circle, regular square, rectangle, triangl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78 children ages of 5 & 6 years old, in H & B kindergartens and E primary school in Seoul city. The checklist designed by the researcher was used also individual interview was applied to numerical conversation, understand fractional concepts( 1/2, 1/3, 1/4 ). The data was analyzed by four-ways ANOVA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ied factor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Children who have the good formation of numerical conservation is higher understanding ability in fractional concepts than children who have not the numerical conservation. (P = .00, F = 29.353) 2. Six-year-old children were higher understanding ability in fractional concepts than five-year-old, but this hadn't statistical meaning. (P = .118, F = 2.44) 3. The easiest concept for the children was 1/2, latter than 1/4, 1/3 in order. (P = .00, F = 307.924) 4. The easiest material was square, circle, triangle in order. (P = .00, F = 77.877);본 연구는 유아의 수 보존 개념과 분수 개념(1/2, 1/3, 1/4)이해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연령과 분수 개념(1/2, 1/3, 1/4)이해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2차원적 자료의 종류(원, 정삼각형, 직사각형, 삼각형)에 따른 분수 개념의 이해정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분수 이해 능력은 수 보존 개념 형성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분수 이해 능력은 연령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분수 이해능력은 분수 1/2, 1/3, 1/4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유아의 분수 이해 능력은 분수의 유형(1/2, 1/3, 1/4) 및 2차원적 자료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a. 2차원적 자료의 종류(원,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에 따른 분수 1/2의 이해 b. 2차원적 자료의 종류(원,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에 따른 분수 1/3의 이해 c. 2차원적 자료의 종류(원,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에 따른 분수 1/4의 이해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H유치원에서 16명, B유치원에서 20명, 그리고 E국민학교에서 42명의 유아로 총 78명이었다. 대상 유아의 평균 연령은 5년 11개월과 6년 11개월로 거의 6, 7세에 가까운 나이였다. 연구방법은 실험자가 유아들과 개별적인 면접을 통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수 보존 형성 정도와 분수 개념 이해 능력을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를 본 연구자가 작성한 검사지에 체크해 나가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사원변량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존 개념이 형성 된 유아가 비보존 유아보다 분수 개념 이해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 F=29.353) 2, 6세 유아가 5세 유아 보다 분수 개념 이해 능력이 높았으나 통계적인 의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 118, F=2.443) 3. 유아는 분수 1/2을 가장 쉽게 이해했고 l/4, l/3순으로 이해했다. (P=.00, F=307.924) 4-a. 분수 1/2의 이해에서는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에서 가장 높은 이해를 나타냈다. b. 분수 1/3의 이해에서는 직사각형에서 가장 높은 이해를 나타냈다. c. 분수 1/4의 이해에서는 직사각형에서 가장 높은 이해를 나타냈다. (P= .00, F= 14.639)-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미 및 목적 = 1 B.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수 = 5 B. 분수 = 11 C. 연구의 문제 = 26 Ⅲ. 연구 방법 = 27 A. 연구의 대상 = 27 B. 실험도구 및 방법 = 27 C. 연구 절차 = 31 D. 자료 처리 = 32 Ⅳ. 결과 및 해석 = 33 Ⅴ. 결론 및 논의 = 39 참고문헌 = 42 부록 = 45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75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분수-
dc.subject수개념-
dc.subject유아교육-
dc.title5·6세 유아의 분수(½, ⅓, ¼) 이해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Fractional Number-
dc.format.page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