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父母의 社會的 背景·知覺된 統制樣式과 子女의 內外統制성 및 自我槪念과의 關係

Title
父母의 社會的 背景·知覺된 統制樣式과 子女의 內外統制성 및 自我槪念과의 關係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BY A CHILD OF A PARENT'S CHILD BEHAVIOR CONTROL PATTERN AND CHILD'S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SELF-CONCEPT
Authors
孔晶淑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Keywords
부모사회적 배경통제양식자녀내외통제성자아개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사회적 배경에 따른 자녀의 내외통제성과 자아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통제양식과 자녀의 내외 통제성 및 자아개념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며, 자녀의 내외통제성과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밝혀 긍정적인 자아개념 및 바람직 한 통제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통제양식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남.녀 중학교 2-3학년생 2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조사를 위해 사용된 도구는 한국행동과학연구소에서 Nowicki 와 Strickland의 척도를 기초로 제작한 「학생용 내외통제성척도」와 김순화의 「부모통제양식측정질문지」와 정원식의 「자아개념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통제양식과 자녀의 내외통제성 및 자아개념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위해 Pearson단순상관계수를 내어 검증하였고, 부모의 사회적 배경에 따른 자녀의 내외통제성과 자아개념의 차이와 자녀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통제양식과 자녀의 내외통제성에 따른 자아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사회적 배경 중 교육수준과 직업에 따른 자녀의 내외통제성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2. 부모의 사회적 배경 중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의 자아개념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즉,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 자녀는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3. 자녀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통제양식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자녀의 양육에 있어 부모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두지 않으려는 사고방식의 변화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4.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통제양식과 자녀의 내외통제성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있었다.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통제양식 중 통제차원은 외적통제성과 상관이 있었고, 성숙요구차원, 대화차원, 양육차원은 내적통제성과 상관이 있었다. 5.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통제양식과 자녀의 자아개념에는 의미있는 상관이 있었다. 부모의 통제양식 중 통제차원은 총자아긍정과 약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성숙요구차원과 대화차원은 자아수용을 제외한 총자아긍정, 자아동일성, 자아행동과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며 양육차원은 모든 자아개념의 영역과 의미있는 상관을 보이고 있다. 6. 자녀의 내외통제성과 자아개념사이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내적 통제성향을 지닐 수록 자신에 대해 긍정적이며 자신을 가지고 행동하며 자긍심이 있으며 자기만족정도가 높고 자기생활의 장에서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 위의 연구결과에서 부모의 교육수준과 직업에 따른 자녀의 내외통제성의 차이가 없었으며,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의 자아개념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부모의 통제양식은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를 두지 않으며, 자아개념과 의미있는 상관이 있으며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을 인정하고 온정과 애정의 정도가 높은 경우 자녀는 내적 통제경향을 지니며 이러한 내적통제경향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l-External control, self-concept and parent's child behavior control patterns perceived by student's and to help to establish disirable parents and child relationship by showing the parent's child behavior control pattern that positive self-concept formation and disirable control patter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97persons; 2nd and 3rd grade students attending 4different middle school. The instruments applied for this study were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for students by Eun Joo Jung, Jin Hun Sohn and questionnaire of parent's control pattern of child's behavior percived students by Soon Hwa Kim and Self-concept Test by Won Sik Jung. The methods applied to the analysis of material collected were the t-test, for measu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s control pattern of child's behavior and the child's sex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obtained in order to analyze between the parent's control pattern and the child's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Self-concep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 background of parent and the child's Internal-External control.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ent's education background and child's Self-concept. The child whose parent with higher education level has more positive self-concept than the child whose parent with lower education level. 3.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iant difference between parent's control pattren percieved by child's and child's sex. 4. A significantly meaningful relativity was discovered between parent's control pattern perceived by child and child's Internal-External control.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s control and child's external control; maturity demand, communication, nurturance and child's internal control. 5. It was shown tha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child's self-concept and parent's control pattern. There was a meaningful relativity between parent's control and total positive self score; maturity demand, communication and total positive self score, self behavior score, self identity score except self satisfaction score; nuturance and all score of self concept. 6.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s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self-concept. The more the child has a internal control, the child has a positive self-concep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