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潤姃-
dc.creator金潤姃-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0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6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73-
dc.description.abstractRemicon industry introduced to Korea in 1965 is a local one including the properties of urban. However it has difficulties finding location in big cities because of the high rent, the ill effects to environment caused by pollution and the problems of securing raw materials. In this study, the growth of remicon industry and its form of location focused on companies registered in Korea Remicon Industry Institution in 1975, 1985 and 1994 in view of regional groups and scale has been investigated. First, the demand for remicon was small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n its usage and those days remicon industry was entirely occupied by Ssangyong Cement Co.,Ltd in 1975 Therefore seven remicon companies were located in big cities like Seoul, Pusan, Taegu, Pohang and Kumi in which many constructions were under the works and building sites were so small that mixed concrete couldn't be supplied enough. In the year of 1985 when remicon industry was brought up in earnest, the number of remicon enterprises and factories increased to 79 and 148, for cement and building block companies participated in remicon industry actively in purpose of self consumption of raw materials and extending market. In the late of 1980s, the number of remicon enterprises and factories increased to 493 and 610 resulted by the change of cognizance for the usage of remicon, the boom of internal construction, the participation of minor enterprises and big demands for remicon caused by the limit of building site and the construction of many storied buildings. Second, with regard to regional groups, while the number of remicon factor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aegu and Pusan has decreased in percentage, the number of remicon factories in Chungnam, Taejon, Kyongnam, Kwangju, Chonnam, Kyongbuk and Kyongnam has increased in percentage. The percentage of number of remicon companies has been stayed in low state in other area such as Kangwon, Chungbuk Chonbuk and Cheju. Third, the growth of scale including average production, the number of mixer trucks, forwarding amount per one factory has three characters and as followings. Average scale-production capacity, mixer trucks, forwarding amount-per one factory has been leveled up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large companies influenced by the pressure of construction works. In Pusan and Taegu area, the number of enterprises as been stagnant and the scale of industry has been widen so that the rate average of growth leads to that of metropolis area. In other area, minor enterprises are scattered around the places under the construction or their outskirts.;1965년부터 우리나라에 도입된 레미콘 산업은 지역형산업이면서 도시형산업의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대도시의 높은 지대, 부지확보의 어려움과 공해유발로 인한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 또한 최근 들어 나타나고 있는 원료확보의 문제등으로 대도시에 입지하기 어려운 모순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미콘공업협회에 등록된 전국의 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1975, 1985, 1994년도를 기준으로 각연대별, 지역별, 규모별 입지의 형태와 성장발달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75년대에는 아직 레미콘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레미콘에 대한 수요가 적었으며, 레미콘산업은 쌍용양회주식회사에 의해 독점되어 있었다. 그래서 건설공사가 많이 이루어 지고, 건설현장이 협소하여 현장 비빔콘크리트의 공급이 불리한 대도시지역인 서울, 부산, 대구, 포항, 구미등지에 모두 7개가 입지하고 있다. 레미콘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1985년에는 기존의 시멘트 업계나 골재업계들이 원료의 자가소비수단 및 판로확대를 목적으로 대거 참여하면서 업체수 79개, 공장수 148개로 늘어났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고도성장기로 레미콘에 대한 인식의 提高와 국내 건설경기의 活況, 중소업체의 대거 참여와 건설현장의 협소 및 고층화에 의한 수요의 증가 등으로 업체수 493개, 공장수 610개로 확대되었다. 둘째,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대구, 부산지역 레미콘 공장수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연대별로 점차 줄어들고 있는 반면, 충남, 대전, 경남, 광주, 전남, 경북, 경남등의 지역은 그 비율이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외의 강원, 충북, 전북, 제주등지는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연대별로 큰변화없이 꾸준히 낮은 상태에 머물러 있다. 세째, 1공장당 평균생산규모, 믹서트럭의 대수, 출하량등의 규모면에서의 성장은 다음의 세가지형태로 나타난다. 수도권지역은 건설공사의 폭주로 주로 대규모이상의 업체가 많아지면서, 1공장당 평균규모(생산능력, 믹서트럭, 출하량)가 꾸준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부산, 대구지역은 업체의 수는 정체상태이고 주로 규모면에서 확대되어 1공장당 평균규모의 성장비율이 수도권을 앞지르고 있다. 그이외의 지역은 건설공사가 이루어지는 곳이나 그 주변을 따라 중소규모의 업체들이 산재되어 입지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 1 B. 한국지리학에서 공업입지 연구동향 = 3 Ⅱ. 레미콘 산업의 일반적 고찰 = 10 A. 레미콘산업의 특성 = 10 B. 레미콘 산업의 입지요인 = 14 Ⅲ. 레미콘산업의 발달과 지역별 분포 = 18 A. 시대별 분포 = 18 B. 지역별 분포 = 22 Ⅳ. 레미콘 산업의 규모별 분포 = 30 A. 레미콘 생산능력 = 30 B. 레미콘 믹서트럭 = 47 C. 레미콘 출하량 = 55 Ⅴ. 결론 = 66 참고문헌 = 68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246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레미콘-
dc.subject레미콘산업-
dc.subject입지-
dc.subject공업입지-
dc.title레미콘産業의 立地와 發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Location and Growth of Remicon Industry-
dc.format.pagevii, 7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