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정윤-
dc.creator최정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8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2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5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2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기독교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회학교 교사들의 교사상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교사모집 및 교사교육의 실태, 그리고 교사들 자신의 자아이해 및 자기교육에 관한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이상적인 교사상을 정립하고 교사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요인들을 밝히며 그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교사론과 교사교육에 관한 이론적인 문헌연구의 방법 및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회교육 교사들의 이상적인 교사상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교사의 자질, 기술, 역할, 자격과 교사의 준비정도에 대한 인식의 경향은 어떠한가? 2. 교사 모집 및 선발의 실태는 어떠한가? -모집양상, 시기, 모집기준의 경향은 어떠하며 바람직한 교사선발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교사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예비교육과 계속교육의 이수정도, 형식, 내용은 어떠하며 원하는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교사교육의 행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4. 교사자신들의 자아이해 및 자기교육실태는 어떠한가? -공과준비유형, 진행방법, 교육자료 활용실태, 신앙성숙 및 학생이해의 노력, 교사직의 동기와 만족도는 어떠한가? 5. 교회교육의 발전을 위한 과제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에 실태조사에서는 서울, 경기지역에 위치한 22개 기독교 성결교단(기성)교회의 유치부, 유초등부, 중고등부 교사 330명에게 질문지의 배부를 통해 회수된 250명의 최종인원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30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SPSS통계처리하여 연구문제별로 각 문항에 대해 x^(2),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사모집과 교사교육에 관하여는 부분적으로 개교회 교역자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회교육 교사들이 인식하는 이상적인 교사상은 주로 영성이 강조되었고 그러한 영적요소외에 교육애(사랑), 인격등을 중시하였다. 신앙경력 및 학력에 대해서는 그리 중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들이 교회에서 받아야할 교육정도에 대하여는 대부분 사전 예비교육 정도만 받으면 된다고 인식하였다. 일반교직과 달리 교회교사는 '전문직'이라는 인식이 약하고 오직 사명직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교사모집 및 교사교육행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 교사모집에 있어서는 인력수급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 및 교육이 없고, 모집기준도 명확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 교사들의 인식조사결과 교사선발은 개교회의 교사양성과정을 수료한다음 원하는 부서에 배치하게 하거나 교사수급을 담당하는 교육위원회같은 기관이 교사지원자들을 심사하고 선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3. 교사가 되기전에 받는 예비교육의 실태는 반수가 받지 못했거나 목사님의 간단한 당부말씀만 듣는 둥 매우 부진했으며, 그 교육의 형식에 있어서도 강연이나 강의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육의 내용은 공과지도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단편적인 기술전수에 치우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가 되고난 후 받는 계속교육의 실태는 예비교육보다는 그 이수정도가 훨씬 나았지만, 그래도 14.8%라는 적지않은 수가 받지 못했다고 응답했으며, 주로 교단 주관의 연합강습회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체계적이고 제도화된 공식적 교사교육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계속교육의 내용도 공과지도법과 교수-학습방법에 치중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교사들이 원하는 교육내용은 의사소통기술 또는 상담법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이 경험해본 교육의 유형 또한 다양하지 않고 교사대학 강좌 및 교사강습회, 교사수련회에 치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교사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언급되고 있으나 과거에 비해 개선정도가 확연치 않으며 실천적인 면이 약하다. 교사의 질에 대한 전문성 인식 결여와 교단 및 교회지도자의 교육적 관심의 결여로 말미암아 개 교회 교육위원회의 역할이 유명무실하며 체계적인 교사교육의 지속적이고 단계적인 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4. 교사들의 자아이해 및 자기교육 실태 교사들의 공과공부 준비정도는 주로 성경본문과 교사지침서를 여러차례 읽거나 교재만 읽는 정도였으며, 진행방법에 있어서도 부서별 변인간에 차이는 있었지만 52.8%가 말로만 전달한다고 응답하였고, 교사들의 자료이용정도가 전체적으로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과준비시간과 교사직을 위한 기도시간은 앞서 나타난 이상적인 수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교사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인식에 비해 자신의 노력은 저조한 것을 볼 수 있다. 교사자신의 신앙성숙을 위해서는 주로 경건의 훈련 등 개인적 차원에 많이 의존하고 있고, 학생이해의 노력에 있어서도 주로 개인적 심방 및 상담, 학생들과 함께하기에 응답하고 있다. 교사직분의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보통이상이었으며 교사로 봉사하는 가장 중요한 동기는 소명감과 사랑으로 응답하고 있다. 5. 교회교육의 효율적 발전을 위한 필요과제에 있어서 1순위는 대부분의 교사에게 있어서 "적절한 교사선발과 양성"이라고 나타났다. 교육시설, 환경, 재정등도 중요과제이지만 역시 교사에 관한 문제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deal image of teacher, find out issues and factor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suggest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by investigating actual conditions of teach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oretical literature reserch methods and investigation research methods. The concret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nda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ideal image of teacher 2. The actual conditions on recruitment and selection of teachers 3. The actual conditions of teacher training - The degree of completion, form, contents of pre-service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4. Self-understanding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self-training 5. The recognition of the subjects for improvement of church education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30 Sunday school teachers of 22 Evangelical Holiness church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x^(2) test, frequencies and percentile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unday school teachers emphasized sprituality in the ideal image of teacher. Besides, they put emphasis on love and personality. They put little emphasis on church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st of them were just satisfied with pre-service training. They were lack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y seem to work with a consciousness of calling. And this recognition is regarded to have a great effect on recruitment and the administration of teacher education. 2. In recruiting teachers, it appeared there were no systematic plan and education, and the standard of recruitment was obscure. Teachers recognized it was desirable that recruitment was not supposed to be done until new teachers finished their training courses or education committee taking charge of recruitment should examine and select applicants. 3. It was found that half of teachers didn't take pre-service training and the form of training was mainly composed of lectures. The contents of pre-service training were mainly teaching guide of bible study. It means instruction of fragmentary technique. The actual conditions of in-service training were better than that of pre-service training, but 14.8 % of teachers didn't. take this course. The contents of in-service training were given weigh to teaching guide of bible study and teaching-learning method, too. On the contrary, teachers wanted to take cours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and counselling methods. A type of education they experienced were not various. As mentioned abov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has been pointed out for a long time, but the degree of improvement is insignificant. It seems that the lack of recognition on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of educational concerns of church leaders doesn't make active systematic and continuous teacher education. 4. Self-understanding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self-education. For preparing group bible study, teachers were just reading the guide book several times and they seldom made use of materials. 52.8% of them were just giving a message only by speeching. Also they didn't have enough time of prayer for the preparation of group bible study and their duty. Therefore it means their efforts are weak comparing with their recognition. The degree of complacency of their duty was higher than average and say that the main motive of service as a teacher is a conciousness of calling and love. 5. Most of teachers recognize that the urgent task for the efficient improvement of church education is the selection and training of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C. 선행 연구 = 4 D. 용어 정의 = 6 Ⅱ. 교사론 = 7 A. 지도력(leadership)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견해 = 7 B. 성서와 역사에 나타난 교사상 = 10 C. 현대 기독교교육의 이론적 접근에 따른 교사론 = 18 D. 이상적인 교사상 = 31 Ⅲ. 교사교육 = 43 A. 중요성 = 43 B. 교사 모집 및 선발 = 44 C. 예비 교육(기초 교육, Pre-Service Trainning) = 48 D. 계속 교육(In-Service Trainning) = 52 E. 교사 교육의 방향 = 58 Ⅳ. 조사연구방법 = 60 A. 연구 대상 및 표집 = 60 B. 연구 도구 = 63 C. 연구 절차 = 64 Ⅴ. 결과 및 해석 = 66 A. 교사상에 대한 인식 = 66 B. 교사 모집 및 선발 = 71 C. 교사 교육의 실태 = 72 D. 자아 이해 및 자기 교육 실태 = 77 Ⅵ. 요약 및 결론 = 84 A. 요약 = 84 B. 결론 및 제언 = 88 참고문헌 = 94 부록 = 98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932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회교육-
dc.subject교사상-
dc.subject교사교육-
dc.subject성결교단-
dc.title교회교육 敎師傷 및 敎師敎育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기독교 성결교단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age of Sunday School Teacher and Teacher Education : focused on the Evangelical Holiness Church-
dc.format.pageix, 10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종교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