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6 Download: 0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특수교사의 소진(燒盡)에 관한 연구

Title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특수교사의 소진(燒盡)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job burnou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Authors
서석림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내외통제성사회적지지특수교사소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장애학생들은 개개인이 지니고 있는 특수성으로 인해 특별한 시설과 특별한 교육방법 그리고 특별한 훈련을 받은 교사를 필요로 한다. 특히 학교교육이 교사와 학생의 직접적인 인간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장애학생들의 개별적 요구에 부합된 교육제공에 있어 특수교사가 차지하는 역할의 중요성이 상당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특수교사의 경우 장애학생과 관련된 직무 특성으로 인해 일반교사의 자질 외에 일반교사와는 다른 역할 및 능력과 그에 따른 책임이 요구되어지며 이러한 점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누적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행동적 증상들을 수반하는 하나의 증후군인 소진(Burnout)에 보다 취약할 것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특수교사의 소진은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장애학생 더 나아가 학교조직으로 그 부정적인 영향을 확대시켜 나가며, 전체 교육전달 체계의 효과성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특수교육의 정상적인 발전을 도모하는데 있어 특수교사의 정신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일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하에 최근 소진의 대처 및 예방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소진의 유발요인들이 교사 개인의 특성과 학교 조직 및 이들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된다는 점을 고러할 때, 소진의 대처 및 예방을 위한 방안의 모색에 있어서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제하에서 소진대처를 위한 구체적인 노력들이 행해질 때 특수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율성은 향상,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특수교사들의 소진정도를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인 교사의 연령, 특수 교직경력, 담당 장애영역, 담당 학생의 학년별에 따라 알아보고, 선행연구들을 통해 소진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기능을 가진 변인으로 제시되어온 두 변인 즉 교사 개인의 성격특성인 '내외통제성' 및 환경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소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특수교사 소진의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실제적인 방안모색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특수교사 320명을 그 대상으로 교사 소진척도(Iwanicki & Anderson, 1984), 내외통제성 척도(차재호 등, 1973), 사회적 지지 척도(이종규, 1992)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자료들을 연구문제에 따라 일원변량분석(F검증)과 t검증 및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e' 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소진경험의 전체수준은 평균 2.31(5점척도 기준)로 소진을 '때때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개인적 성취감의 상실을 가장 많이 느끼고 그 다음이 정서적 고갈의 順이었으며, 비인간화를 가장 적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특수교사의 배경변인別(교사의 연령, 특수 교직경력, 담당 장애영역, 담당학년)에 따를 특수교사의 소진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이를 각 변인別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특수교사의 연령별에 따른 소진정도의 비교에 있어 20대와 30대 특수교사들이 50대 특수교사들에 비해 유의하게 보다 높은 소진정도를 나타낸다. 둘째, 특수 교직경력별에 따른 특수교사의 소진정도에 있어 특수 교직경력 7-9년의 특수교사들이 특수 교직경력 1-3년과 10년 이상 교사들에 비해 유의하게 보다 높은 소진정도를 나타낸다. 셋째, 특수교사의 담당 장애영역별에 따른 소진정도에 있어 시각장애 담당 특수교사들이 정서장애, 정신지체, 지체장애, 특수학급 담당 특수교사들 비해 유의하게 가장 낮은 소진정도를 나타냈고, 이러한 시각장애 담당 특수교사들과는 달리 소진전체의 평균점수에 있어 정서장애 담당 특수교사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정신지체, 지체장애, 특수학급 담당 특수교사의 順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교사의 담당 학년별에 따른 소진정도에 있어, 초등과 중등 담당 특수교사들이 중, 고등학교를 함께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에 비해 유의하게 보다 높은 소진정도를 나타냈다. 3. 특수교사의 개인 성격특성인 내외통제성에 따른 소진정도의 비교에 있어, 외적통제 특수교사들에 비해 내적 통제 특수교사들이 유의하게 보다 낮은 소진정도를 나타냈다. 4.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학교 행정가 및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른 소진정도의 비교에 있어, 학교 행정가 및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보다 높은 수준으로 지각하는 특수교사들의 경우,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하는 특수교사들에 비해 소진정도가 유의하게 보다 낮게 나타났다. 5. 특수교사의 소진에 대한 사회적 지지근원(학교 행정가 및 동료교사)의 상대적인 영향정도를 비교한 결과, 학교 행정가의 사회적 지지가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에 비해 특수교사의 소진정도와 보다 유의하게 관련됨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볼 때 특수교사의 배경변인들 즉, 교사의 연령과 특수 교직경력, 담당 장애영역 및 담당 학년이 특수교사의 소진정도와 유의하게 관련되며, 이들 변인들과 소진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들을 통해 소진의 위험성이 큰 특수교사의 특성을 예측할 수 있게 되였다. 또한 이러한 특수교사의 소진경험이 특수교사의 내외통제성과 학교 행정가 및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에 의해 완화될 수 있으며, 특히 학교 행정가의 사회적 지지가 특수교사의 소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동해 밝혀진 결과들에 의할 때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장애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육에 있어 교육의 효율화를 높이기 위해서는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완화 및 소진대처의 필요성이 제기 되며, 특수교사 소진의 효과적인 대처를 위해서는 특수교사의 개인 특성 변인과 학교 조직의 환경적 변인에 대한 포괄적인 고려와 더불어 실제적인 소진대처 방안모색에 있어 소진경험을 완화시켜주는 변인으로 밝혀진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고려의 중요성이 제시된다. 또한 이러한 사회적 지지가 학교 조직 내에서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학교 행정가를 중심으로 하는 학교 조직차원의 사회적 지지 체계의 구축 및 활성화가 요구되어진다. 그리고 특수교사들을 위한 직전 및 현직교육에 있어 특수교사들이 직무수행을 통해 겪게 될 자신들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방법 및 스트레스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전략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ur personal characterstic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teacher's age, speci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special education category and student grade - on job burnout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related burnou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as buffering variables. For these purpose 32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from special school and special class in Seoul.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Iwanicki & Anderson, 1984),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Cha, 1973), and Social Support Scale(Lee, 1992) were used to measure each variables - job burnout,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NOVA, T-test and Two-Way ANOVA using SAS were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groups. Scheffe' post hoc test was used to compare pairs of group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burnout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 was 2.31 (5 point Likert-type Scale), and they had higher score in personal accomplishment's lost, high score in emotional exhaustion and then lower score in depersonalization among subscales. 2.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four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teacher's age, speci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special education category, and student's grade - and the job-related burnout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more detail finding of each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20 ages and 30 age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f burnout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50 age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7-9 years special educaton teaching experience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burnout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1-3 years and 10 years in special education experience.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student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burnout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emotional disordered students, mentally retarded students,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and students in special class. And the ranking of the mean scores of burnout was shown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emotional disordered students, mentally retarded students,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and students in special class. Fir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burnout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 of middle & high school. 3.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internal locus of control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burnout than those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4.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der high supporting principal and co-worker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burnout than those with low supporting princial and co-workers. 5. Compared with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from principal and social support from co-workers on the job-related burnou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ocial support from principal was shown to have more significant effect on job-related burnout.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s a way to buffer the job burnou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enhancing cognition level of social support and improvement in internal locus of contr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