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정희-
dc.creator손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7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1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5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124-
dc.description.abstractIn these days children are facing stress in their lives due to the changing society. The children experience hardship in dealing with the pressures of th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ources and level of stres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children in coping with stress. This study analyzes the stress in the daily lives of 408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wo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sources and level of stress.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in source of stress in children was found to be in parents' intervention and demands in the lives of children. The second source of stress was argument with other family members. The third source of stress was found to be in children's harassment by found to be in children's fellow students. 1.1 The most common area for source of stress in children was determined to be in the family environment. This was followed by friends, school, and society respectively. 2. The highest intensity of stress experienced by children came from harassment by fellow students. This was followed by failure in achieving personal goals, and neglect by friends. 2.1 The most common area for the intensity of stress was found in friends. This was followed by family, society and school respectively. 2.2 The study statisticall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 grades in relation to the level of stress.(p<.0l). The intensity of stress due to student harassment diminishes with higher student grade. Intensity due to failure in achieving personal goals was found to be highest among sixth grade students and lowest among second grade students. Stress due to insecurity from personal appearance was found to increase with higher student grade. However, the stress from news of major catastrophes was found to diminish with higher student grade. 2.3 The study statisticall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reas for intensity of stress in relation to the student grade (p<.01). Stress from friends and family was found to be highest among second Stress from the grade students and lowest among fourth grade student. pressures of society was found to diminish with higher student grade. 2.4 The study statisticall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relation to the level of stress.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stress than male students from (ⅰ) parents comparing them with other children ( p<.01), (ⅱ) teachers treating other students more favorably (p<.01), (ⅲ) parents treating other family members more favorably (p<.05), and (ⅳ) personal appearance (p<.05). However, mal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stress than female students from being tutored (p<.01). 2.5 The study statisticall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reas for intensity of stress in relation to male and female students (p<.05). al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stress than female students from dealing with family matters. While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stress than male students from dealing with school matters.;현대인은 급속한 사회 변화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특히 아동들에게는 학업에서 오는 스트레스까지 겹쳐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피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과 그 정도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아동의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그 대처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국민학교 2,4,6학년 아동 408명이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그 정도는 학년별, 남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2차에 걸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분석은 스트레스 유형의 파악과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 중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부모님의 지나친 간섭이나 잔소리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동생이나 형이 귀찮게 할 때나 형제끼리 서로 싸우게 될 때, 친구들이 놀리거나 때릴 때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1-1. 스트레스 유형을 크게 나누어 보았을 때 아동들은 가정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친구, 학교, 자신, 사회의 순서로 나타났다. 2. 아동은 친구들이 놀리거나 때릴 때 스트레스를 가장 크게 느끼고, 그 다음으로는 뭐든지 잘 하고 싶지만 되지 않을 때, 친구들이 나만 빼고 놀거나 이야기 할 때의 순서로 나타났다. 2-1. 아동이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는 친구에게 느끼는 것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가정, 사회, 학교의 순서로 나타났다. 2-2. 이동의 스트레스 정도는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즉 아동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질서를 지키지 않는 학생이 있을 때와 친구들이 놀리거나 때릴 때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낮아진다. 뭐든지 잘 하고 싶지만 잘 되지 않을 때에는 6학년의 스트레스 정도가 높고 4학년의 스트레스 정도가 낮다. 또한 내가 못생겼다고 생각 될 때에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높아지며, 큰 사고 소식을 들을 때에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낮아진다. 2-3. 아동의 스트레스 정도는 영역별로 학년에 따라 가정, 친구, 자신, 사회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즉 아동이 가정과 친구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는 2학년이 가장 높으며, 4학년이 가장 낮다. 자신에서는 6학년이 가장 높고 4학년이 가장 낮으며, 사회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진다. 2-4. 아동의 남녀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아는 부모님께서 자기를 친구와 비교해서 이야기하실 때(p<.01), 선생님이 다른 친구에게 더 잘 해 줄 때(p<.01), 부모님이 자기보다 동생이나 오빠를 더 잘해 줄 때(p<.05), 자신이 못생겼다고 생각될 때(p<.05)에 남아보다 받는 스트레스의 정도가 높다. 반면에 학원에 가기 싫을 때(p<.05)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는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5. 아동은 남녀에 따라 가정과 학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즉 남아는 가정에서 여아보다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높으며, 여아는 학교에서 남아보다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용어의 정의 = 3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스트레스의 개념 = 6 B. 아동의 스트레스 유형 = 11 C. 선행 연구 = 17 Ⅲ. 연구 방법 = 22 A. 연구 대상 = 22 B. 연구 도구 및 자료 처리 = 23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7 A. 국민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유형 = 27 1. 가정 생활 = 30 2. 학교 생활 = 32 3. 친구 관계 = 35 4. 자기 자신 = 36 5. 사회 문제 = 37 B. 국민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정도 = 37 1. 국민학교 아동의 학년별 스트레스 정도 = 40 2. 국민학교 아동의 남녀별 스트레스 정도 = 44 Ⅴ. 결론 및 제언 = 47 참고문헌 = 52 부록. 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문지 = 56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360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아동-
dc.subject스트레스-
dc.subject유형-
dc.subject초등교육-
dc.title국민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유형과 그 정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ources and Levels of Stres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dc.format.pageviii, 6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