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세미-
dc.creator강세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3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5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35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3-year-ol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adjustment to kindergarten, and to examine the actual gender differences and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social adjustment to kindergart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ha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by gender in the 3-year-ol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2. Are there any differences by gender in the 3-year-old children’s adjustment to kindergarten? 3.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the 3-year-ol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adjustment to kindergarten by gender?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11 children (101 boys, 110 girls) from 9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The ‘Teacher Report Form of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Kyoung-Hoe Kim, 1999) was selected as the primary instrument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to measure and assess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 second instrument,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Won-Shin Lim, 2006), was also utilized for this study to assess children’s positive kindergarten adjustmen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s in the present study was generally found to be well-developed. With respect to gender, a few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revealed between boys and girls. Girls appeared to have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than boys. 2. The children in the present study were generally found to be well adjusted to kindergarten. With respect to gend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to exist between boys and girls. The results showed girls were more positively adjusted to kindergarten than boys. 3. The central goal of the present study,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any influences of contex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adjustment to kindergarten by gender, was successfully achieved. Based on the results, children demonstrating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were found to have better adjustment to kindergarten.;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 처음으로 입학하는 만 3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의 일반적인 정도를 평가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며, 남ㆍ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하며, 입학초기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유아의 적응도를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어느 정도 예측하고 유아의 유치원 적응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3세 유아의 정서지능은 어떠하며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은 어떠하며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만 3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은 어떠하며 남ㆍ여 유아의 정서지능 과 유치원 적응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9개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 3세 유아 211명(남아 101명, 여아 110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정서지능 측정을 위하여 김경회(1999)의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유치원 적응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PAQ를 번안하여 사용한 임원신(2006)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만 3세 유아의 정서지능은 5점 만점에 평균 3.9이상으로 나타나 유아의 정서지능이 대체로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유아의 성별에 따른 정서지능을 살펴본 결과 모든 하위요인과 전체 정서지능 척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2.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은 5점 만점에 평균 3.7이상으로 나타나 유아들의 유치원 적응도가 대체로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치원 적응을 살펴본 결과, ‘자아상태’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과 전체 유치원 적응 척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3. 만 3세 남ㆍ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만 3세 유아의 경우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도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치원에 처음으로 입학하는 유아의 적응을 돕기 위해 정서지능을 높일 수 있는 만 3세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의 교사들이 학기초에 유아의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할 때 유아의 정서지능을 미리 측정하여 유치원 적응도를 어느 정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5 A. 유아의 정서지능 5 B. 유아의 유치원 적응 13 C.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 17 Ⅲ.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연구도구 20 C. 연구절차 24 D. 자료분석 2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5 A. 유아의 정서지능 25 B. 유아의 유치원 적응 27 C.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 28 Ⅴ. 논의 및 결론 32 A. 논의 32 B. 결론 및 제언 35 참고문헌 38 부록 45 ABSTRACT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35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만 3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 between the 3-year-old children’s-
dc.creator.othernameKang, Se Mi-
dc.format.page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