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독서를 통한 지리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독서를 통한 지리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ffecctiveness of Reading Education in Geography Class
Authors
정미자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 지식기반사회는 단편적인 지식의 암기보다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고도의 창의력과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사회로, 이는 꾸준한 독서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 연계 독서를 통한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독서를 통한 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여, 지리 교과에서도 교과 연계 독서를 활용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실제 지리 수업에 활용했을 때의 학습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성별, 성적별 지리수업에 관한 학습 태도를 비교 분석하고, 성별, 성적별 교과 연계 독서를 활용한 지리수업을 실시한 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여 수업의 효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서울 소재의 H 고등학교로, 1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독서를 이용한 수업의 실질적인 효과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각각 4개의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실험집단은 2차시에 걸친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독서를 이용한 지리수업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SPSS를 이용하였고, 기본적으로 빈도분석을 점검하고, 집단별 분포의 차이를 보기 위해 교차분석(Chi-Square test)을 실시했다. 또한 평균비교에 적절한 독립표본 T검증(T-test)과 분산분석(ANOVA)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α)은 .05 이하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전 학생들의 사회학습 태도에 대하여 분석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지리 과목에 더 높은 흥미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지리과목에 대한 학습 준비가 미흡하고, 교과서의 내용이 적정하지 못하며, 지리 관련의 깊은 지식에 대한 욕구도 별로 없는 등 강의식 수업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현재의 교과서의 내용이 지리적 지식 습득을 풍부하게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현재의 학생들의 반응이 능동적으로 수행한다기 보다 수동적 행태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둘째, 실험수업 실시 후 학생반응 설문 결과 독서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중간 정도이나 상위권 학생일수록 독서를 통한 지리 수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택리지」를 활용한 수업보다도 시를 매개로 한 수업을 더 많이 선호하였는데, 이는 시가 훨씬 부담없이 읽을 수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독서 시간 할애 및 독서 후 과제 선정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강의식 수업에 익숙해져있고. 입시에 부담이 많은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평소와는 다른 생소한 수업을 전개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셋째, 2차에 걸친 수업 후 실시한 학업 성취도 분석 결과 비교집단보다 훨씬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독서를 통한 수업에 대한 평가가 그다지 좋지많은 않았지만, 해당 교과서의 이해를 상당부분 도왔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위에 언급한대로 입시에 바쁜 학생들에게 독서는 역시 부담스러웠었기 때문에 반응도가 높지는 않았으나, 긍정적 결과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내용이 어려웠던 「택리지」에 관련된 문항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상위권 학생들에게 매우 유익함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와 판서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독서 시간에의 할애와 과제 제시는 부담을 증가시키고, 흥미를 저하시킬 수 있었으나, 월등히 높은 학업성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독서를 통한 지리수업은 지리적인 개념을 습득하고 세계적 시야를 넓혀주는데 효과적인 교수 학습방법임이 분명하다. 또한 독서를 활용한 지리수업은 고도의 사고력, 창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라 말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앞으로 더욱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릴때부터 꾸준한 독서 습관의 형성이 믿바침되어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This study aim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reading in geography education. For the study twe hundred seventy eight students are chosen. All the students took the survey about learning attitudes before a reading lesson. Then, only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s took the reading lessons, and student learning achievements are evaluated by gender and grades levels. The results are analyzed the data with ANOVA and Chi-squire test The student were freshmen enrolled in high school in Seoul, Korea. This study selected four groups of students having similar grades of social studies at the middle term exam. The students are divided into control groups and experimental group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as a rule, female students showed better learning attitudes toward social studies than male students. In traditional lecture style classrooms, most students were not well prepared for the lesson of geography. They had little knowledge and interests in learning geography. Also, they held passive attitudes for learning social studies. This may be because a traditional lecture style bounds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es. Second, after a reading lesson, students'responses to social studie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previous grades and gender. Students who earned higher or middle grades had positive reactions on the reading lessons. Female students liked the reading lesson more than male students. Students preferred poem to Tackleegie as a method of learning geography. The reason may be that students felt more comfortable when they learned poem than Tackleegie. Especially, students seemed to be under the pressure of reading extra materials in class out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s may be caused by the facts that students had never been exposed to this new teaching style and faced college entrance exam. Third, experimental groups of students earned higher grades than control groups of students. Although the evaluation about the reading lessons was not good, the result supported the effectiveness of reading in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social studies. Interestingly, students in higher grades got right answers for the test items about Tackleegie more than other students. Based on this, reading is a more useful teaching method for students who have higher learning abilities. Taken together, this study provides fruitful evidences that reading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increasing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Reading helps students understand geographical concepts and opens their eyes to the real world out of the small classrooms. Furthermore, reading improves students'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such as crea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constructive thinking.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emphasizes reading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encourages social studies teachers to provide reading materials for their students. To lead the effective result of reading,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be accustomed to reading even when they were young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