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역사교육자료 활용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역사교육자료 활용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ing the Model of Using History Teaching Data : Focusing on the evaluation and using method of history teaching data in the library
Authors
이동연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7th curriculum, creative, independent learning is emphasized and various learning models which use discussion learning and research learning is also recommended in history courses. This study intends to introduce and show the way to use history teaching data easi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library has data which can possibly be used in the learning of history course. To accomplish this goal, I did the literature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and evaluation. For literature research, I studied the history teaching data which the library ha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I studied the aspects of teaching materials and opinions about the library with 25 randomly chose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Kyonggi. In presenting the usage model, I showed concrete examples of usage methods for the types of history teaching data. At that time, I made a checklist for the history teachers to evaluate the database. I also made a model of the usage method and used it to evaluate 2 history teachers. Here are the contents about the model of using history teaching data in this study. First, there are 11,793 libraries in Korea according to research based in late 2005. In a public library, we can use books, especially rare books, official gazettes, newspapers, data about Korea, or articles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to teach history. Among the research libraries, there is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Library. We can use the rare books, serial publications, data on modern Korean characters, a chronicle table of Korean history classified into age and theme, and multimedia data found there to teach history. Second, the history teaching data which is available in the university library can be separated into Off-Line data and On-Line data. Above all, there are monographs, serial publications, maps, chronicle tables, dictionaries, and information about people in the Off-Line history teaching data. We can check the location of copies to read directly or request document delivery services after doing a computer search for title, keyword, or author in KORIS-NET, RISS, or a home page of foreign libraries. They have various On-Line history teaching data in the universities. The history teaching data of major university libraries is separated into local data and foreign data, and there are 25 to 30 databases in it. I evaluated valuable databases useful for teaching history among the various databases using an evaluation form made up of 7 criteria (correctness, consistency, authority, content, completeness, currency, and arrangement) with 3 history teachers from the E middle school in Seoul. We can log-in and gain campus access after choosing a library from which to use On-Line history teaching data. You can search the appropriate data in full text by entering the book name, keyword or the name of the author in the checklist of the library database. Third, I presented the model to search the concrete data in Off-Line history teaching data and On-Line history teaching data by specifying the history teaching theme, which in my case was "the Holocaust." There are 4 levels (keyword selection, library selection, retrieval, and result evaluation) of using model of Off-Line history teaching data. The model of the using On-Line history teaching data is made of 5 levels which are keyword selection, database selection, Boolean retrieval, conducting research, and result evaluation. Off-Line history teaching data is reliable and easy to use however, the amount of data is limited and the data is not updated very often. On-Line history teaching data can be used everywhere, and we can use the curriculum about learning history, hand outs, and proposals about an evaluation, although it is not easy to use. After I presented the two models to history teachers who want various teaching data, I evaluated the models using an evaluation form which has 3 criteria (believability, conformity, and efficiency) and researched user satisfaction by interview afterwards.;제 7차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창의적, 독립적,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강조되고 역사과에서도 토론 학습, 탐구 학습 등 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모형이 권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과 학습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자료를 도서관에서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교사에게 필요한 역사교육자료를 소개하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이용 모형 제시 및 평가의 방법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역사교육자료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서울지역과 경기지역의 중․고등학교의 역사교사 25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이들의 수업자료에 대한 사항 및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이용 모형 제시에서는 역사교육자료의 유형별로 구체적인 이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때 역사교사들이 데이터베이스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용 방법을 모형화 하여 2명의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역사교육자료 활용 모형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는 2005년 말 을 기준으로 하여 총 11,793개의 도서관이 있다. 이 중 공공도서관에서는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각종 고서, 관보, 신문, 한국학 관련자료, 독립운동기사 등을 역사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전문도서관 중 국사편찬위원회 도서관에서는 각종 고서, 문서, 연속간행물, 한국 근현대 인물 자료, 시대별․주제별 한국사연표, 멀티미디어자료 등을 역사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대학도서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역사교육자료는 OFF-LINE 역사교육자료와 ON-LINE 역사교육자료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OFF-LINE 역사교육자료로 단행본, 연속간행물, 지도, 연표, 사전류, 인물정보 등이 있다. 이용방법은 KORIS-NET과 RISS, 외국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서명, 키워드, 저자 등으로 검색을 한 후 소장처를 확인하여 직접 열람하거나 원문복사서비스를 신청한다. ON-LINE 역사교육자료는 대학별로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다. 주요 대학도서관의 역사교육자료는 국내자료와 국외자료로 분류되고 25~30개의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많은 데이터베이스 중 역사교육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정확성, 일관성, 권위성, 내용성, 완전성, 현행성, 배열 등의 7가지 기준으로 작성된 평가지를 사용하여 서울 E중학교에 재직 중인 역사교사 3명과 함께 평가하였다. ON-LINE 역사교육자료의 이용방법은 먼저 도서관을 선택한 후 로그인과 외부인증을 통해 이용자를 확인한다.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선택한 후 서명, 키워드, 저자 등으로 검색하여 적합한 자료를 원문보기로 이용한다. 셋째, 유대인학살이라는 역사교육주제를 지정하여 OFF-LINE 역사교육자료와 ON-LINE 역사교육자료에서 구체적인 자료를 탐색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OFF-LINE 역사교육자료의 활용 모형은 키워드 선정, 도서관 선정, 검색실행, 결과 평가 의 4단계로 구성된다. ON-LINE 역사교육자료의 활용 모형은 키워드 선정, 데이터베이스 선정, 검색식 작성, 검색실행, 결과 평가 의 5단계로 구성된다. OFF-LINE 역사교육자료는 이용방법이 친숙하고 자료의 신뢰성이 있으나 접할 수 있는 자료의 수가 제한적이고 최신성이 부족하다. ON-LINE 역사교육자료는 이용방법이 복잡하나 지역적 제한이 없고 역사학습에 관련된 학습지도안, 학생 활동지, 평가에 대한 제언 등 다양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두 이용 모형을 다양한 학습자료를 원하는 역사교사에게 제시하여 신뢰성, 적합성, 효율성의 3가지 기준의 평가지로 평가하고 면담을 통하여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