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문학사 교육 방안 연구

Title
문학사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ntents and methods for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uthors
서민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has been studied only showing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is field. However, this paper will analyze more deeply about the reasons why these things have happened and find out the concrete alternative contents and methods in the real curriculum based on those reasons. Therefore, I divided the study field into five parts; necessity and character of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nalysis of the current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provision of the new contents, the real plan for the effectiv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nd unfolded the arguments at the overall point of view in education like aim, contents, and method. In chapter II, I examined the necessity and character of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s the proposition of the study. In other words, I observed why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is required in aspects of education and human nature which will affect on human being(or students). Also, I searched for the characters of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based on Literature history's characters and educational epistemology. From this, I suggested Literature history be understood and taught in the view of constructionism when it becomes the subject for learning. In chapter III, I analyzed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nd indicated the problem, which is that Literature history is regarded as the constant knowledge although it is changeable according to the writer and era's value; therefore, all process of the education is moving in a wrong way. In chapter IV, I provided the new way of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focused on important issues in Literature history such as the point of view and period division in its description, the flow of style and tradition in Literature. As a result, I presented that it has to contain the contents that Literature history can be various in description and it is based on dynamic story of life and our literature tradition. And I also added that it should be able to make students understand our tradition of literature through our won culture and history. From all of these, I tried to make the real concreted plan containing the aim, contents, and methods under the contents and order of a unit in the current curriculum for the effectiv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Subjects of this studying are 9th grade, so I set up the aim, contents, and methods for their level. Moreover, I tried to make all the important issues of Literature history regarding the variety, dynamics and tradition learned step by step, and the literature understood based on the meaning that literature is the process solving the age's problem. In short, this paper is to make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learner-centered and the Literature history's useful knowledge in literature beyond the passive learning process by examining the characters and essential contents of the Literature history and make the real concrete plan for its education with the principal by which Literature history is written. The knowledge as educational subject is different from the metaphysical knowledge. So the effective educational process can be built only with the right recognition of the knowledge in the educational province. Therefore, we must recognize the literature history in the aspect of the constructionism and set up the aim, contents and method based on the essential character of the knowledge. Literature history will have to be the usefully centered knowledge that does effective function in Literature education only through these approaches. I would like this study to help solve the essential problem of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nd improve th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본 연구는 그 동안 문학사 교육의 문제에 대한 논의가 현상적인 차원에서만 머물러 오던 것을 넘어서, 현상에 대한 원인을 규명해봄과 동시에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학사 교육에 대한 구체적 대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의 내용 범위를 문학사 교육의 필요성과 성격, 문학사 교육의 현황 분석, 문학사 교육의 새로운 방향 설정, 문학사 교육의 실제로 나누고 교육의 현상을 구성하는 목표, 방법, 내용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논의를 진행해 보았다. 먼저 II장에서는 문학사 교육의 논의에 대한 전제로 문학사 교육의 필요성과 성격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즉, 문학사 교육이 왜 필요한지를 학습적, 인성적 측면에서 살피고, 아울러 문학사 교육의 성격을 문학사의 지식적 성격과 교육의 인식론에 비추어 고찰해 보았다. 이에 문학사는 교육적 패러다임 속에서 구성주의에 속할 수 있음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사 교육의 방향이 설정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제시하였다. III장에서는 현재의 교육과정에서 문학사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문학사는 사실명제와 가치명제의 합으로 이루어진 상대성을 지닌 지식체계인데, 교육과정은 문학사를 사실명제로만 규정하여 실현과정에 있어서까지 오류를 만들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V장에서는 문학사의 주제재가 되는 문학사관, 시대구분, 양식의 흐름, 전통성을 중심으로 문학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즉, 문학사는 다양성과 역동성 그리고 우리 문학전통이라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문학사 교육을 통해서는 이러한 의미들이 모두 학습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또한 문학사가 전통의 계승을 위한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문학을 주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V장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종합하여 문학사 교수-학습의 실제를 구안해 보았다. 본고의 학습 대상은 중학교 3학년 학생으로 학습단계와 학습자의 인지 수준에 맞는 목표, 내용, 방법을 설정해 보려 하였다. 그리고 학습 내용에 있어서는 문학사의 내용 요소가 되는 다양성, 역동성, 전통성과 관련한 내용들이 단계적으로 학습될 수 있도록 하고, 작품의 감상에 있어서는 문학사 속에서의 작품이란 ‘당대의 문제에 대한 해결과정’으로의 의미를 지닌다는 관점에서 문학사적으로 문학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방법의 학습이 총체적으로 구조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요컨대, 본 논의는 문학사의 교육 대상으로서의 성격과 내용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실제의 문학사 교육에 적용해 봄으로써 문학사 교육이 단편적 지식 전달에서 벗어나 ‘이해’가 가능한 능동적 학습,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유용한 학습이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보고자 한 것이다. 교육의 대상으로서의 지식은 형이상학적인 지식과는 다른 차원의 것으로 교육적 인식의 과정에서 대상이 되는 지식을 본질적으로 규명할 수 있어야 그 지식에 대한 올바른 토대가 설 수 있다. 따라서 문학사 교육을 행함에 있어서는 문학사의 본질적 성격이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올바로 규명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교육내용과 방법이 문학사적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설정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질 때 문학사는 문학 교육에 있어 구심점이 되는 유용한 지식으로 설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문학사 교육의 문제에 대한 본질적 규명이 앞으로의 문학사 교육에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는데 토대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또한 이론적 토대를 근거로 구상해 본 문학사 교육의 교수-학습 과정 안이 이후의 국어과 교수-학습방향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