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梁承惠-
dc.creator梁承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8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4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4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 teaching guidance plan for cultivation of time concepts which is one of the historical concepts, especially concerned with teaching method using chronology. Historical chronology is a designed materials to arrange and systematize historical facts or thought on the stream of time, it helps students grasp with before & after connection and mutual relations of historical facts easily. So it is necessary materials for comprehension of basic concept in history, the sense of time. Historical time concepts is formed gradually on maturity degree of the students, also it can be promoted throughout designed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Especially, middle school 2nd grade is a great transitional period of historical consciousness, during this period, time concepts can be improved by applying proper historical materials. Then, this study was proceeded under the hypothesis that development and practical use of the proper chronology material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of students. As the subject of study, the middle school 2nd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and group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lessons were given using chronology and unit arrangement throughout preparation of blank chronology. On the other hand, for the comparative group, the lessons were given with general metho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by producing a testing tool which has 25 questions, we got th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as being grasp the date on some events of history by practical use of chronology and confirm the position in that time, ability which understands the question of 'the sense of time' in total history and the time gap in current was improved. Second, being understand horizontal connection and vertical dependence of effect on cause between historical facts throughout the chronology, can judge historical facts synthetically. Third, this method let the students understand systematic grasp which can observe in the stream of history as well as grasp fragmentary historical facts. Furthermore it leads the students consider specialty of Korean history in relation to world history. Therfore, chronological learning is the most proper learning method in raising and developing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historical thought. But the study on chronological learning is insufficient yet, even the theory of chronological learning is not established definitely After this, profound follow-up study on production of chronological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 should be continued.;본 연구는 역사의 기본 요소 중의 하나인 시간개념 함양을 위한 학습지도방안으로 연표를 활용한 수업방법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역사 연표는 역사적 사실과 사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하고 체계화한 것으로서 역사 사실의 전후관계와 상호간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자료이다. 그러므로 '시간성'이라는 역사의 기본 요소를 이해할 수 있는 필수적인 자료이다. 역사적 시간개념은 학생들의 성숙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형성되며, 또한 계획된 교수-학습활동을 통해 촉진될 수 있다. 특히 중학교 2학년은 역사의식의 큰 전환기를 맞이하는 시기로서, 이때 적절한 연표자료를 이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적절한 연표자료의 개발과 그 활용이 학생들의 역사적 시간 개념 뿐아니라 더 나아가 역사의식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가설 하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반과 비교반을 선정하여 실험반은 연표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마지막 시간에는 백연표 작성을 통해 단원정리를 하였다. 비교반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25문항의 평가도구를 제작하여 두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연표 활용에 의해 역사적 사건의 연대를 파악하고, 그 시간적인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전체 역사에서 시간성의 문제와 현재와의 시간적 거리감을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연표를 통해 역사적 사실간의 횡적 연관성과 종적인 인과관계를 이해하게 되어, 역사적 사실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세째, 연표 수업은 단편적인 역사적 사실의 파악에서 더 나아가 역사의 흐름속에서 역사를 관찰할 수 있는 계통적 파악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세계사와의 연관에서 한국사의 특수성을 성찰할 수 있다. 따라서 연표학습은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 기능을 육성하고 발달시키는데 무엇보다도 적절한 학습 방법이다. 그러나 아직 연표학습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으로, 연표학습에 대한 이론조차 확실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앞으로 연표수업 자료 제작과 그 수업 방법에 대한 깊이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2 1. 연구 방법 = 2 2. 연구의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중학생의 역사의식 = 3 1. 역사의식의 개념 및 구조 = 3 2. 중학생의 역사의식 발달 단계 = 6 B. 연표학습의 이론적 배경 = 9 1. 연표의 정의 = 9 2. 역사연표의 교육적 효과 = 10 3. 역사연표의 종류 = 11 4. 연표 활용과 역사적 시간개념의 발달 = 13 Ⅲ.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연표 분석 = 16 A. 중학교 국사 교육과정의 목표 = 16 B. 교과서 연표의 종류 및 형식 = 18 C. 교과서 연표의 시대별, 분야별 내용 분석 = 22 D. 교과서 연표의 문제점 및 개선점 = 24 Ⅳ. 연표 학습의 실제 = 34 A. 실험 준비 = 34 B. 연표학습의 실제 = 35 1. 단원명 = 35 2. 단원 설정의 근거 = 35 3. 단원 지도 목표 = 35 4. 단원 지도 계획 = 36 5. 본시 지도안 = 39 C. 연구 결과 분석 = 43 Ⅴ. 결론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0 부록 = 54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600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생-
dc.subject역사시간개념-
dc.subject연표-
dc.subject역사의식-
dc.subject역사연표-
dc.title中學生의 歷史的 時間槪念 涵養을 위한 學習指導方案의 摸索-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年表學習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Search for teaching guidance plan for cultivation of historical time concepts of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chronological learning-
dc.format.pageviii, 6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