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변지은-
dc.creator변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7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1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4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16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제 6차 교육과정 과학과목 교과서 8종 중 1종을 선택하여 생물영역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유의미 학습을 촉진시키는 교수 전략으로 사용되는 개념도를 이용하여 생물영역의 학습주제와 개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보충되어야 할 개념과 수정되어야 할 부분을 찾아 의미있는 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생물교육의 참고 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학년 단원인 「Ⅱ. 주변의 생물」을 이루는 소단원이 식물과 동물을 서식하는 환경인 땅과 물속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은 나중에 학습하는 「생물의 분류」 단원과 연관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개념간의 위계에 혼란을 가져오므로 소단원을 종자식물과 민꽃식물 그리고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2. 2학년단원인 「Ⅱ. 생물체의 구조와 기능」에서 식물에 관한 내용은 학년간의 연계가 잘 되고 있는데 반해 동물의 경우는 그 내용이 사람을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고 「생식기관」의 개념이 누락되어 있다. 「생식기관」에 대한 개념이 있어야 3학년의 「Ⅲ. 생명의 연속성」 단원의 「감수분열」, 「생식」, 「수정」의 개념과 연계되어 유의미학습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Ⅱ. 생물체의 구조와 기능」단원에 「생식기관」의 개념이 보충되어야 한다. 3.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건강과 관련된 내용을 충분히 다루어 학생들이 건강의 문제에 대하여 잘 이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단원에 갑자기 「건강」의 개념으로 소개되어 있어서 개념간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건강」단원에서 다루는 내용인 「비만」의 개념은 「소화기관」의 개념과 연관이 되며 「흡연」의 개념은 「호흡기관」의 개념과 그리고 「병원체」의 개념은 「순환기관」에서 「혈액」의 개념과 충분히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건강」단원에서 다루는 개념들을 각각 적절한 곳에서 다룬다면 보다 의미있는 학습이 될 수 있다. 4. 「Ⅲ.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는 「감수분열」의 개념과 「수정」의 개념의 연관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내용 전개에서는 「감수분열」의 개념이 생략되어 있어서 마치 수 분후에 감수분열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식물의 「수정」개념의 설명에서 종자식물의 「감수분열」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 좋겠다.;This study selected one of the 8 textbooks available for the sixth educational program and analyzed the content matter. The study purport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themes and the concepts in biology by analysing the concepts used by teachers as a teaching tool to induce significant learning. In searching for sections in which constructive revisions are needed to enhance significant study, the researcher emphasized the inter-relationship of concepts. The objective of the study lies in presenting effective supportive material for studying biology and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derived from the analyses. 1. In part Ⅱ, 'Biology in the Environment', the chapter is further divided into water and land as the environments that sustain plants and animals. This form of categorization is unsuitable for the continuity of the text since there is the possibility of misinterpretation in considering the following chapter 'Categorization of Life forms'. The aforementioned chapter needs to be revised into sections on seed plants and flowerless plants, and vertebrate and invertebrate animals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inuity. 2.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the chapter titled 'Structure and Function of Life forms' elaborates upon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plant life and animals dealt with in the chapter 'Biology in the Environment'. The continuity is exceptional concerning plant life, however, the conceptual connection for animals concentrate on the human being. Furthermore,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nimals', the textbook need to separate a section on 'reproduction systems'. It is important to cover the 'reproduction system' prior to the chapter titled 'Ⅲ. Continuity of Life', so that a relationship with concepts such as meiosis, reproduction and fertilization, in order to realize meaningful study. 3. Greater emphasis is placed on health in the sixth educational program, so that students have an understanding of health problems that they face. However, the sudden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health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nimals' shows a lack of continuity. It is suggested that dealing with health problems relative to each chapter may be more useful. For example, the concept of obesity could follow the section on digestive systems, smoking hazards could follow the section dealing with respiratory system and the concept of pathogenic organisms could be introduced in the section on circulatory systems by connecting with the concept of blood. 4. In the chapter titled 'Ⅲ. Continuity of Life', the concepts of meiosis and fertilization are not sufficiently inter related. In effect, the concept of fertilization which is divided into the two sections of seed plants and animals. For seed plants, fertilization is introduced as pollination followed by the union of the pollen and the ovules. This explanation omits the concept of meiosis, giving way to a possible misunderstanding of the two concepts. Therefore a clear and separate explanation of the concept of meiosis needs to be added to the section dealing with fertil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D. 선행연구 고찰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의미 학습 = 5 B. 개념도 = 6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 8 A. 중학교 1학년 생물단원 「Ⅱ. 주변의 생물」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 8 1. 중단원 「1. 식물의 구조와 생활양식」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 10 2. 중단원 「2. 동물의 구조와 생활양식」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 21 3. 중단원 「3. 생물의 분류」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 32 B. 대단원 「Ⅱ. 생물체의 구조와 기능」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 33 1. 중단원 「1. 식물의 구조와 기능」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 35 2. 중단원 「2. 동물의 구조와 기능」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 41 C. 대단원 「Ⅲ. 생명의 연속성」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 48 1. 중단원 「1. 세포분열」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 50 2. 중단원 「2. 생식과 발생」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 51 3. 중단원 「3. 유전」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 52 4. 중단원 「4. 진화」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 53 Ⅳ. 연구 결론 및 제언 = 54 참고문헌 = 57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146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과학교과서-
dc.subject생물영역-
dc.subject개념도-
dc.subject분석-
dc.title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물영역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MIDDLE SCHOOL BIOLOGY TEXTBOOKS BY CONCEPT MAP-
dc.format.pageviii, 6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